[대중문화A+]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이분법(드라마 속 선악구조 변천과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문화A+]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이분법(드라마 속 선악구조 변천과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 문제제기
ⅱ) 드라마와 사회 혹은 사회와 드라마
ⅲ) 논의의 범위 및 방향
Ⅱ. 본론
♠ 선악의 대립이 명확한 드라마
ⅰ-1) 드라마 <토마토>를 중심으로 분석한 드라마 속 이분법
※ 토마토와 비슷한 구조를 보이는 드라마 <이브의 모든 것>
ⅰ-2) 선/악 대립의 드라마 속 이분법 공식
1. 주인공은 항상 선으로 대변되는 인물이다.
2. 주인공을 괴롭히는 악인이 반드시 등장한다.
3. 선인과 악인이 일에 있어서나, 사랑에 있어서 항상 경쟁하게 된다.
4. 악인은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주인공을 괴롭히고 곤란에 빠뜨린다.
하지만 주인공은 그 괴롭힘을 다 극복해낸다.
5. 악인의 악행이 들통 나고 몰락의 길을 걷는다.
6. 주인공은 자신의 일에서 성공하고,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랑에서도 성공한다.
♠ 선악대립이 불명확해진 드라마
ⅱ-1) 드라마 <하얀거탑>을 중심으로 분석한 드라마 속 이분법
1. 하얀거탑은 사랑이 주제가 아니다.
2. 하얀거탑은 주인공이 선(善)인이 아니다.
3. 현실 VS 이상
♠선악의 대립이 없으나 또 다른 이분법이 드러나는 드라마
ⅲ-1)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을 중심으로 분석한 드라마 속 이분법
Ⅲ. 결론
ⅰ) 드라마, 사회의 변화에 발을 맞추라!
근거 1. 악인의 변천사
동아일보. “TV속 악녀, 이젠 없다?”. 2002
근거 2. 변화된 사회가 반영된 드라마 삼순이
ⅱ) 이분법, 그러나 여전히 존재한다.

본문내용

제공해주지 못하게 된 것이다.
근거 1. 악인의 변천사
동아일보. “TV속 악녀, 이젠 없다?”. 2002
1970년대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종속적 권력관계가 확고했던 시대의 악인은 ‘시어머니’였다. 1972년에 방영되었던 드라마 <여로>에서 시어머니는 며느리가 바보 아들 영구를 극진히 돌보는데도 다른 남자와 바람을 피웠다고 모함하는 등 ‘악의 화신’으로, 며느리는 불평 한마디 없는 ‘천사표’로 그려졌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활발해 지면서 악인은 ‘커리어우먼’으로 바뀌었다. 드라마 <미스터Q>, <토마토>, <이브의 모든 것>에서의 악인은 모두 회사 내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재원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그리고 한 직장에서 근무하는 부하 여직원을 괴롭히며 한 남자를 놓고 삼각관계를 이룬다. 이들은 일과 사랑 모두를 쟁취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어 남자 앞에서는 한없이 약하게, 여자 앞에서는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2000년대 들어서의 악인은 대체적으로 돈과 권력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드라마 <러빙유>, <유리 구두>에 등장하는 악인들은 철저한 계산 아래 대기업 후계자에게 접근하거나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재벌의 가짜 손녀가 되려고 많은 악행들을 저지른다. 21세기에는 시청자들의 요구수준이 점점 높아지면서, 이전의 드라마에 등장하였던 뚜렷한 선/악의 대립은 점차 사라진다. 그리고 과거처럼 주인공은 무조건 선하고 악인은 무조건 악한 것이 아니라 악인들도 주인공들만큼 아픈 과거와 합리적 이유, 뛰어난 능력을 가진 다양한 인물들로 그려지고 있다. 따라서 21세기의 악녀들을 바라보는 시청자의 시선은 항상 싸늘하지만은 않다. 드라마 <여인천하>, <겨울연가>의 악녀는 시청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기도 하였다.
근거 2. 변화된 사회가 반영된 드라마 삼순이
‘내 이름은 김삼순’은 예쁘게 각색된 트렌디 드라마의 주인공 보다는 오히려 리얼리티를 강조한 여주인공을 내세우며 트렌디 드라마의 기존 관습을 비꼬고 패러디하는 방식을 차용했다. 전통적인 트렌디 드라마의 이 같은 부진은 우선 그동안 너무 많이 만들어졌고, 새로운 상상력도 고갈되며, 일정한 트렌디 드라마의 공식이 다른 프로그램에서 패러디되고 희화화 되었다는데도 이유가 있다. 또한 트렌디 드라마의 주 소비층인 10대, 20대가 인터넷, 케이블 등으로 분산되며 TV 시청률이 낮아졌다는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판타지를 제공하는 것이 트렌디 드라마의 주요 임무라고는 하지만 현실에 발을 내리지 않는 판타지가 지금까지 여러 번 쓰였던 진부한 구조와 만났을 때 시청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진다는 진단이다.
ⅱ) 이분법, 그러나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우리가 조사를 하면서 드라마 속에서 이분법은 어찌되었든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드라마 삼순이에서도 비록 선악의 대립구조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빈부의 차이는 존재하였다. 부자인 삼식이에 비해 가난한 삼순이가 그와 연애를 하는 것이 결국 빈부의 차이, 신데렐라식 구조라는 이분법이 존재하게 되어 버린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드라마를 통해 시청자들이 잠시나마 이상을 꿈꿀 수 있게 해주기 위한 하나의 도구라고 볼 수 있다. 즉, 이 도구를 통해 시청자들은 삭막한 현실을 벗어나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이 되어 대리만족을 느끼며 잠시마나 현실을 잊고 이상을 꿈꾸게 되는 것이다.
또한 드라마는 그 제작 구조에서도 명확하게 이분법 구조가 드러난다. 드라마는 제작자와 연기자로 명확하게 선이 그어진 이분법적인 구조다. 드라마 제작자는 어떤 이유에서건 드라마 속 배우처럼 연기를 할 수 없으며 제작만 해야 한다. 그리고 배우는 제작자가 되어 편집을 하거나 카메라로 드라마를 직접 찍을 수 없다. 이것뿐만이 아니라 드라마를 찍는 과정 속에서도 실내촬영과 실외촬영으로 구분된다. 이렇듯이 드라마는 언제나 그 내적인 요소에도 외적인 요소에도 이분법으로 나눠진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 내적인 구조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점점 이분법적인 구조가 불분명해지고 있다는 것은 누구도 의심할 바 없는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이근삼, 매체의 특성을 살려야 할 TV 드라마, 〔방송개발95〕, 1995.
오명환,『텔레비전 드라마 사회론』, 나남, 1994.
오명환,『텔레비전 드라마 예술론』, 나남, 1994.
장기오,『TV드라마 바로보기, 바로쓰기』
방송위원회, 「드라마 분석」- 2002. 2.
「방송과 시청자」 99년 12월호, 2000년 1월호, 2000년 2월호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7.16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40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