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교육이념과 교육목표,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특성과 보통교육,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과정과 교과목과 편제,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평가, 북한 인민학교와 남한 초등학교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교육이념과 교육목표,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특성과 보통교육,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과정과 교과목과 편제,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평가, 북한 인민학교와 남한 초등학교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의 교육이념

Ⅲ. 북한의 교육목표

Ⅳ.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특성

Ⅴ.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보통교육

Ⅵ.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과정

Ⅶ.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과목과 편제

Ⅷ.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의 교육평가

Ⅸ.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와 남한 초등학교의 비교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히 답변한 경우
- 우등 : 시험문제에는 완전히 답변하였으나 시험관의 보충질문에 답변을 못했을 경우
- 보통 : 시험문제중 35% 이상을 답변 못했을 경우
- 낙제 : 시험문제중 50% 이상을 답변 못했을 경우
한편 학년말에는 성적과 품행, 출석일수 등에 의해 진급과 유급을 결정하고 있는데 학년말 성적 중에도 여러 과목이 보통이면 총평을 보통으로 하여 진급을 시키고 1과목 이상이 낙제일 경우에는 다음 학년 초에 재검하여 결정한다. 4학년말에는 졸업시험을 보는데 자격은 과목 중 보통이 2개 이하이고 품행이 보통 이상인 학생에게 부여한다고 하고 있으나 이는 형식뿐이며 전원 졸업시키고 있다.
Ⅸ. 북한 인민학교(초등학교)와 남한 초등학교의 비교
남한의 편제는 제7차 교육과정으로 초등학교 3456학년을 대상으로, 북한의 편제는 과정안(교육과정)으로 인민학교 1234학년을 대상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북한
남한
교과
총시수
%
교과
총 시 수
%
공산주의 도덕
152
4.2
도덕
136
3.3
국어
1,142
31.7
국어
850
20.5
수학
834
23.1
수학
544
13.1
자연
222
6.7
과학
408
9.8
체육
304
8.4
체육
408
9.8
음악
304
8.4
음악
272
6.6
도화·공작
304
8.4
미술
272
6.6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 대원수님 어린시절
152
4.2
사회
408
9.8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원수님 어린시절
152
4.2
실과
136
(5,6학년)
3.3
력사
37
1.0
외국어(영어)
204
4.9
·
·
·
재량활동
272
6.6
·
·
·
특별활동
238
5.7

3,603
100.0

3,603
100.3
우선 표에서 보듯이 남북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를 보면 남한에 비해 북한은 사회, 실과, 외국어 및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이 없는 대신 김일성 부자에 관한 교과가 있다. 지난 1986년의 과정안에 있던 외국어가 오히려 최근에 빠져있다. 사회과목이 빠진 것은 역사와 김일성 부자의 교과에서 정치사상교육을 하기 때문이다.
남북한 모두 국어와 수학의 비중이 많지만 특히 북한은 두 과목의 비중이 54.8%나 된다. 반면에 역사는 1%에 불과해 기초과목을 튼튼히 하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학생의 교과 선택권이 북한에는 전혀 없으나 남한에는 6.6%를 차지한다. 남한의 경우 1,2학년 단계에 사회와 자연이 슬기로운 생활로, 음악과 미술, 체육이 즐거운 생활로 통합교과로 다뤄지지만 북한은 1학년 대부터 여전히 분과형 교과편제를 가지고 있다.
Ⅹ. 결론
북한은 분단 이전의 근대교육(근대교육 확립기, 혁명적 교육기반 형성기, 항일혁명 투쟁기 등)을 김일성 가계 중심으로 날조하는 가운데, 분단 이후 사회주의 체제하에서의 교육도 ①공산주의 도입기(1945.8 ~ 1950.6), ②한국전쟁 및 전후재건기(1950.6 ~ 1958), ③혁명전통교양 확립기(1959 ~ 1967), ④유일사상체계 확립기(1968 ~ 1976), ⑤주체교육 강화기(1977 ~ 현재)등의 단계로 우리와 매우 다른 길로 걸어갔다. 특히 변형된 폐쇄적 사회주의인 ‘주체사상’과 ‘김일성 부자의 우상화 책동’에 의해 교육이 본질을 벗어남으로서 우려를 낳고 있다.
참고문헌
ⅰ. 김경웅, 신북한개론, 서울 : 을유문화사, 1999
ⅱ. 김동규, 남북한 학교교육의 실태 비교와 통일에 대비한 학교교육 모델 연구, 민족통일과 남·북한 학교교육, 서울 : 도산아카데미연구원, 1992
ⅲ. 고대평화연구소, 북한교육의 조명, 서울 : 법문사, 1990
ⅳ. 박승규, 최신 북한이해, 서울 : 학문사, 2000
ⅴ. 한만길, 북한에서는 어떻게 교육할까, 서울 : 우리교육, 2001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8.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