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문제제기, 연구목적, 연구방법
Ⅱ. 문헌연구
1. 이론적 검토
2. 경험적 연구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분석방법
3. 자료수집
4. 변수측정
3. 자료수집
4. 변수측정
Ⅳ. 분석결과(세부적 내용), 표-1~6
Ⅴ. 개선방안
1. 문제점
2. 개선방안
Ⅵ. 맺음말 (정리, 연구의 한계, 제언)
참고문헌, 부록
Ⅱ. 문헌연구
1. 이론적 검토
2. 경험적 연구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분석방법
3. 자료수집
4. 변수측정
3. 자료수집
4. 변수측정
Ⅳ. 분석결과(세부적 내용), 표-1~6
Ⅴ. 개선방안
1. 문제점
2. 개선방안
Ⅵ. 맺음말 (정리, 연구의 한계, 제언)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을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범죄성격상 범죄발생을 예방하기란 쉽지 않 은 과제이다.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일반시민들의 불안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순 찰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2) 범죄가 줄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
- 이러한 범죄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아 직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많은 자료를 이용하여 많은 분석을 통한 대응정책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그 대책이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 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노력을 거듭할 수록 범죄에 대한 좋은 대응정책으로 변해 갈 것 이다.
3) 대응방안 부족 및 경찰의 의지 부족
- 실제적으로 범죄는 계속발생하고 있는 것에 비해서 대응 방안이 많이 부족하다. 그리 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경찰의 의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 개선방안
1)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 순찰활동 강화
- 어느 달에 어느 시간에 어느 요일에 어떠한 범죄가 많이 발생하고 전체적으로 어느때에 범죄가 발생하는지 공식통계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면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그 시간때에 맞게 순찰활동을 강화하는 것이다. 매일 똑같은 방식으로 순찰활동을 하는 것 보다는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때에 경찰력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2) 범죄예방을 하기위한 대응방안
- 이를 막기 위한 범죄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앞에서 언급한 순찰활동 강화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홍보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이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범죄가 일어나면 사람들은 공포에 떨게 된다. 밤에 돌아다니기가 무섭고 사람이 드문 곳은 가기를 꺼려한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해서 국민에게 홍보를 하는 것이다. 범죄가 어디서 많이 발생하는지 공개를 하고 주의할 점 등을 홍보하는 것이다. 쉽게 볼 수 있는 여름휴가철에 절도범죄 대한 주의이다. 그리고 교통사고다발지역에 경고판을 설치하는 것처럼 범죄발생다발지역에도 이러한 경고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면 범죄자들에게는 심리적인 압박을 일반시민에게는 주의를 요함으로써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 범죄분석요원의 전문화
- 최근 범죄분석요원에 관한 얘기가 나오고 있듯이 경찰에서도 범죄분석요원을 채용하여 전문화 하여야 한다. 미국에서는 범죄분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자료를 통하여 그에 맞는 대응정책을 핀다면 더욱 더 객관적이고 효율적일 것이다.
Ⅵ. 맺음말 (정리, 연구의 한계, 제언)
- 지금까지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 범죄발생양상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자료를 통하여 범죄를 예방하는 것이다. 자료가 뻔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가 같은 시간, 월, 요일에 계속 발생한다면 이는 잘못된 것이다. 범죄를 완벽하게 다 예방하고 막을 수는 없다. 범죄가 어디에서 어떻게 발생할지 까지 모두 예측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느 시간에 범죄가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면 그시간에 적어도 우범지역에 순찰활동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동안 어느 곳에서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지를 검토하여 그 위주로 순찰활동을 강화 한다면 어느 정도는 범죄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범죄분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많은 자료 많은 통계를 확보하여 끊임없이 분석, 검토할 때 좋은 대응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경찰에서도 범죄분석요원을 모집하는 것을 볼 수 있듯이 하나하나씩 해결해 나가다 보면 좋은 해결책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공조가 필수 이다. 형사정책연구원, 검찰청 범죄통계등과의 공조를 통하여 좀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에 관한 범죄발생양상에 대해 작성하면서 다시 한번 느낀점은 제일 먼저 우선되어야 할 것은 범죄예방이라는 것이다. 물론 범죄가 발생한 것에 대한 대응 즉, 진압 또한 중요하다. 하지만 가장 좋은 것은 범죄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 문헌
이민식(2001) “범죄예방행위의 개념화와 측정” <피해자학연구>
최창운(1998) “상황적 범죄예방전략에 관한 고찰” <한국공안행정학괴보> 한국공안행정학회
부 록
<참조 1> 월별, 요일별, 시간별의 전체범죄
* 출처 : 범죄분석, 대검찰청 홈페이지(2005, 6, 1)
2) 범죄가 줄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
- 이러한 범죄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아 직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많은 자료를 이용하여 많은 분석을 통한 대응정책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그 대책이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 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노력을 거듭할 수록 범죄에 대한 좋은 대응정책으로 변해 갈 것 이다.
3) 대응방안 부족 및 경찰의 의지 부족
- 실제적으로 범죄는 계속발생하고 있는 것에 비해서 대응 방안이 많이 부족하다. 그리 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경찰의 의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 개선방안
1)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 순찰활동 강화
- 어느 달에 어느 시간에 어느 요일에 어떠한 범죄가 많이 발생하고 전체적으로 어느때에 범죄가 발생하는지 공식통계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면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그 시간때에 맞게 순찰활동을 강화하는 것이다. 매일 똑같은 방식으로 순찰활동을 하는 것 보다는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때에 경찰력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2) 범죄예방을 하기위한 대응방안
- 이를 막기 위한 범죄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앞에서 언급한 순찰활동 강화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홍보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이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범죄가 일어나면 사람들은 공포에 떨게 된다. 밤에 돌아다니기가 무섭고 사람이 드문 곳은 가기를 꺼려한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해서 국민에게 홍보를 하는 것이다. 범죄가 어디서 많이 발생하는지 공개를 하고 주의할 점 등을 홍보하는 것이다. 쉽게 볼 수 있는 여름휴가철에 절도범죄 대한 주의이다. 그리고 교통사고다발지역에 경고판을 설치하는 것처럼 범죄발생다발지역에도 이러한 경고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면 범죄자들에게는 심리적인 압박을 일반시민에게는 주의를 요함으로써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 범죄분석요원의 전문화
- 최근 범죄분석요원에 관한 얘기가 나오고 있듯이 경찰에서도 범죄분석요원을 채용하여 전문화 하여야 한다. 미국에서는 범죄분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자료를 통하여 그에 맞는 대응정책을 핀다면 더욱 더 객관적이고 효율적일 것이다.
Ⅵ. 맺음말 (정리, 연구의 한계, 제언)
- 지금까지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 범죄발생양상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자료를 통하여 범죄를 예방하는 것이다. 자료가 뻔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가 같은 시간, 월, 요일에 계속 발생한다면 이는 잘못된 것이다. 범죄를 완벽하게 다 예방하고 막을 수는 없다. 범죄가 어디에서 어떻게 발생할지 까지 모두 예측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느 시간에 범죄가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면 그시간에 적어도 우범지역에 순찰활동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동안 어느 곳에서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지를 검토하여 그 위주로 순찰활동을 강화 한다면 어느 정도는 범죄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범죄분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많은 자료 많은 통계를 확보하여 끊임없이 분석, 검토할 때 좋은 대응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경찰에서도 범죄분석요원을 모집하는 것을 볼 수 있듯이 하나하나씩 해결해 나가다 보면 좋은 해결책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공조가 필수 이다. 형사정책연구원, 검찰청 범죄통계등과의 공조를 통하여 좀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에 관한 범죄발생양상에 대해 작성하면서 다시 한번 느낀점은 제일 먼저 우선되어야 할 것은 범죄예방이라는 것이다. 물론 범죄가 발생한 것에 대한 대응 즉, 진압 또한 중요하다. 하지만 가장 좋은 것은 범죄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 문헌
이민식(2001) “범죄예방행위의 개념화와 측정” <피해자학연구>
최창운(1998) “상황적 범죄예방전략에 관한 고찰” <한국공안행정학괴보> 한국공안행정학회
부 록
<참조 1> 월별, 요일별, 시간별의 전체범죄
* 출처 : 범죄분석, 대검찰청 홈페이지(2005, 6, 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