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한국 여성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기독교와 한국 여성교육

1) 조선시대의 전통적 여성교육
 (1) 사회적 위치
 (2) 교육적 환경

2) 기독교의 전래와 여성교육

3) 기독교계 여학교의 설립
 (1) 이화학당
 (2) 정신여학교
 (3) 배화여학교
 (4) 숭의여학교

4) 교육의 성격
 (1) 교육의 목적
 (2) 교육의 내용(교과내용)
 (3) 교육방법

본문내용

과과정을 정비하여 선생보충, 과목내용에 충실을 기하게 된다. 그러나 처음서부터 1904년까지는 초청되는 선생에 따라 새로운 과목이 첨가되는 형편이었다. 말하자면 교과과정이 짜여져서 각 과목을 전담하는 선생을 초빙하는 것이 아닐, 그 과목을 개설할 수 있는 선생이 옴으로써 비로소 새 과목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초창기의 교과과정의 내용을 보면 스크랜톤 당장이 그의 첫 학생에게 영어로 찬송가를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 미루어 초창기 교수용어가 영어였음을 알 수 있다.
1889년 4월 이경숙 선생이 옴으로 언문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1892년에 한문과목이 생겼는데 이것은 학생들의 대다수의 요구에 따라 첨가되었으니 아무리 신교육을 받는다 하여도 역시 한문을 배워야 제대로 공하는 것으로 생각하던 한문숭상의 당시 풍조를 엿볼 수 있다.
② 정신여학교
학과목은 초기엔 성경과 산술뿐이었지만, 1890년대엔 성경, 한문, 역사와 지리, 산술, 미술, 습자, 체조, 음악, 가사, 침공, 천체, 고용문답등으로 늘어났고, 생물시간에 인체, 생리, 화학, 생리학을 광혜원에 가서 배웠고, 서양사, 천문학은 Gale에게서 배웠다.
③ 배화여학교
교과목은 국문과 한문, 영어, 성경, 산수, 지지, 역사, 생리, 창가, 도화, 랄수 등과 과외로서 편물이 있었으나 가장 치중한 과목은 성경과 한문이었다.
(3) 교육방법
초기 기독교계 여학교의 교육방법은 거의 공통된 방법을 취하고 있었다. 당시 한국 정부와 한국인들이 외국인을 호의로써 대하지 않았기에, 이러한 실정에서, 교육방법도 조심성 있는 점진주의를 택하고, 한국의 고유의 풍습을 무시하거나 한국인의 감정을 상하지 않는 방향으로 교육을 해나갔다. 기독교계 여학교의 초기 교육은 맡은 선교사들은 그들의 서양 문화를 급격하게 한국인에게 전수하지 않고, 한국적인 것을 살리면서 한국 실정에 적합한 교육방침을 취하였다.
기독교계 여학교들이 공통적으로 그들의 교육방법에, 더욱 한국의 풍속과 예법을 존중하였던 것은 특히 여성교육에 대한 당시 사회의 인식이 별로 달갑지 않게 여겼기 때문이다. 더구나 외국인에 대한 선입관도 호의적이지 못하므로 되도록 한국교사들을 등용하여 한국의 예절과 풍속에 치중하여 한국가정과 사회형편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첩경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기독교인의 양성을 도모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더욱이 내외법이 심하였던 당시라 남자선생을 등용한다는 것은 생각치도 못하였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9.07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9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