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기독교(고대 그리스도교)의 역사, 중세 기독교(중세 그리스도교)의 역사, 근대 기독교(근대 그리스도교)의 역사, 기독교(그리스도교)의 도입과 주체,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세계관, 기독교의 세속화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 기독교(고대 그리스도교)의 역사, 중세 기독교(중세 그리스도교)의 역사, 근대 기독교(근대 그리스도교)의 역사, 기독교(그리스도교)의 도입과 주체,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세계관, 기독교의 세속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대 기독교(고대 그리스도교)의 역사
1. 헤브라이즘
1) 바리새파
2) 사두개인
3) 엣세네파
4) 셀롯당원
5) 바벨론
6) 팔레스타인 지역 밖에 있는 유대인들의 전통과 삶
2. 헬레니즘
1) GREEK 반도의 지형적 특징
2) 고대희랍문명
3) Helen: 문명, Babarian: 야만인
4) Platon의 사상 "Idea"
5) Stoa 철학
6) Aristoteles 철학
7) 에피큐리안
8) 종교적인 Setting
9) Patrology
10) Patristics
11) History of Ancient christion Literature
3. 속사도교부
1) 용어의 정의
2) 용어의 기원
3) 오해점
4. 이레네우스와 터툴리안
5. 이레네우스 신학
1) 만족설(Satisfaction theory)
2) 보상설(Ransom theory)

Ⅲ. 중세 기독교(중세 그리스도교)의 역사

Ⅳ. 근대 기독교(근대 그리스도교)의 역사
1. 근대 과학과 철학의 시작
2. 기독교의 아메리카 이민
3. 이신론과 그 반대자들과 회의주의
4. 독일의 경건주의
5. 영국의 복음주의적 부흥, 웨슬리와 감리교
6. 복음주의적 부흥의 영향과 근대 선교의 발흥

Ⅴ. 기독교(그리스도교)의 도입

Ⅵ.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주체

Ⅶ.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세계관
1. 창조(Creation)
2. 타락(Fall)
3. 구속(Redemption)
4. 극치(Consummation)

Ⅷ.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세속화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러므로 예수님의 가시적이고, 인격적이며, 물리적인 재림을 믿어야 한다. 그리고 그 재림이 하나님 나라를 극치에 이르게 하며,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창조하신 그 목적을 종국적으로 이룰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세계관은 이런 과정을 걸쳐서 극치에 이를 하나님의 나라, 피조계의 미래를 바라며 이를 중심으로 한 세계 이해를 제시하려고 하는 것이다.
Ⅷ.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세속화
세속화 과정 자체는 무신론적 내지 탈종교화 운동이 아니다. 세속화 과정 자체는 독일의 세속화 신학자 고가르텐 이래 밴 퍼어센이 해석하는 바와 같이 “생활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모든 생물들을 다스리라”고 하는 창세기 말씀의 실현인 것이다.
하나님은 인간의 타락과 부패성에도 불구하고, 그가 지으신 인간에게 남아 있는 하나님 형상성의 부분적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시고, 만물의 영장의 직분을 그대로 위임하시고, 자연과 역사를 기술개발을 통해서 정복하게 하셨다. 현재 우리는 콕스가 말한 바와 같이 기계기술사회에 진입해 있다.
세속화 과정 자체는 콕스와 밴 퍼어센이 밝힌 바와 같이 신화론적 세계관이 종말을 고하는 계몽과 해방의 과정이다. 이 신화론적 세계상의 비신화론화는 창세기의 창조신앙이 증언하는 것 같이 하나님, 세계, 인간을 명확히 구분해 주므로 성서적 세계표상, 비신화론적 세계관과 일치하게 된다. 세속화 과정 자체가 이처럼 성서적 창조신앙과 일치하며, 세속화과정의 비신화론적 세계이해가 성서의 창조에 의한 세계이해에 일치한다면 콕스가 주장하는 것처럼 세속도시의 세대를 종교 없는 세대로 간주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세속도시인은 신으로부터 해방되었다는 탈종교 내지 무신론적 세계관을 가져야 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속화를 현대인간에게 그의 도구적 이성을 통해 선사하신 세속 속에 계시는 신에게 감사와 경배의 축제를 해야만 한다.
세속화와 세속주의는 구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세속주의는 이 세상을 절대화하는 내재주의적 세계관을 말하며, 이러한 세속주의의 두 가지 유형이 도오슨이 밝혀낸 전체주의적 이념과 자유주의적 이념들이다. 세속화는 기독교신앙의 관점에서 볼 때 인간에게 내려진 이 세상에 대한 청지기적인 관리의 사명을 수행하는 역사적 과정을 말한다. 물질문명의 풍요속 에 있는 현대 세속인의 정신적 비극은 그들 실존의 깊이요, 의미 차원이요, 의미 원천을 떠난 데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세속도시는 신이 퇴각한 인간만의 도시가 아니다.
현대문명의 위기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관리자적 관계가 자녀에 대한 인간의 예속관계로 변모한 데 존재한다. 인류의 문명은 진보하나, 인류의 정신과 영성이 진보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원죄성 -권력의지와 자율성-이 오히려 문명 속에서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감지해야 한다.
현대인은 과학기술주의가 역사의 해방, 역사의 구속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허위와 인본주의적 메시아 주의에 빠져서는 안 된다. 역사의 이상향은 인간의 기계기술주의를 통한 역사건설에 의하지 않고, 하나님의 종말론적 역사 구속에서만 실현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기독교적 종말론은 그러므로 이러한 자연에 대한 청지기 직분을 상실하고 예속관계 속에 있으며, 또한 하나님으로부터 자율화되어 자기의 인간성, 곧 창조적 동일성을 상실한 인간과 그의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구속을 말해 주고 있다.
Ⅸ. 결론 및 제언
기독교는 흔히 서구의 종교로 인식되어왔으며, 서구 문명은 곧 기독교 문명이라는 도식이 거의 일반적인 사실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기독교는 그 기원에 있어서 서방적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동방적이었다. 사실 초기에는 기독교가 구라파에 지극히 생경한 것이었는데 반해, 아시아의 일각에는 일찍부터 그 모습을 나타냈고 동양 전토에 널리 퍼진 것이다. 오늘날 기독교를 단순히 서구의 종교로만 인식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기독교의 역사에 대한 근본적으로 불균형한 조명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살펴본 바로는 기독교는 그 초기에서부터 자기이해의 개념적 다양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미 초대 교회에서부터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와 소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동방 교회의 정통에 대한 대립이 있었다.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라틴권’과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한 ‘동방 희랍어권’, 에뎃사를 중심으로 한 ‘동방 시리아권’ 등이 그것이다. 각각은 그 언어문화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된 것이 사실이지만 셋은 애초에 하나의 유기체, 곧 기독교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기독교의 다양성은 전체 기독교사를 통하여 크게는 동방 기독교와 서방 기독교의 흐름으로 전개되었으며, 나아가서는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프로테스탄티즘이라는 기독교의 3대 주류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기독교의 자기 이해의 다양성을 전제했을 때, 기독교가 4세기 초 로마제국의 정치적 질서와 타협한 후에 라틴 서방을 중심으로 전개된 서방 기독교사의 경험 속에서만 바라보는 것은 정당한 이해가 되지 못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를 모두 살펴본 것이다.
오늘날의 기독교의 위상에 대한 파악은 곧ㅂ로 기독교의 미래적 모습을 예견케 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제 기독교는 더 이상 자기네들만의 마당일 수 없다. 세계의 아픔에 함께 동참해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 기독교가 추구하고 있는 에큐메니즘의 정신과 해방적 관심은 계속해서 더욱 구체화 되어야 한다. 현재의 가장 첨예한 신학적 논의가 ‘평화’를 다루고 있는 것은 결코 우연한 것이 아니다. 기독교는 세계의 평화를 위해서 어떤 노력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지구촌의 세계적인 종교로서의 역할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홍기 저(1996), 평신도를 위한 세계기독교의 역사이야기
○ 박호영(1982), 개화사상에 미친 근대기독교 학교의 역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 이장식(1978), 기독교사상사 - 초중세편, 대한기독교서회
○ 오인탁 외 4인(1984), 기독교 교육론, 서울 : 대한 기독교 교육협회
○ 종교교재편찬위원회 편(1986), 성서와 기독교, 연세대학교출판부
○ 포이에르바하(1985), 기독교의 본질, 기독교명저 60선, 서울 : 종로서적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