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특성과 필요성,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배경과 관계형성,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사례,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발전방향과 시사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특성과 필요성,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배경과 관계형성,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사례,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발전방향과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특성

Ⅲ.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필요성

Ⅳ.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배경

Ⅴ.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관계형성
1. 협동 : 지식과 정보의 공유
2. 친교 : 경계허물기와 정서적 유대
1) 계층간·세대간·지역간 경계 허물기
2) 정서적 유대와 상호 보조
3. 평등한 참여와 새로운 위계의 형성
1) 평등화 현상
2) 새로운 위계의 형성

Ⅵ.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사례
1. 진보넷(www.Jinbo.Net)
2. 에듀넷(www.Edunet4u.Net)
3. 야학21(Kustat.Korea.ac.kr/~yahak21)

Ⅶ.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발전 방향

Ⅷ.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성격상 동호회의 목적 달성과 관련된 수단적 리더십이라 할 수 있고, 사교성에 바탕한 리더십은 집단 성원 사이에 조화와 애착심을 조성하는 것과 관련된 표출적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한 사람이 두 가지 리더십을 동시에 발휘하는 경우도 많다. 이 같은 비공식적 리더십과 권위는 차후 운영진에의 진입으로 대표되는 공식적 리더십과 권위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인터넷을 매개로 형성되는 동호회에서는 기존의 사회적 위계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회원들 간의 평등한 참여가 촉진되는 한편, 이전과는 다른 기준에 따라 회원들 간에 새로운 계층화와 위계가 발생한다. 평등의 이념은 모든 공동체가 추구하고 표방하는 것이지만, 어떤 공동체에서도 그 내부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위를 귀속시키는 기준이 발달하게 마련이고 비공식적인 계층화와 위계가 발생한다. 동호회와 같은 가상공동체에서도 이는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동호회 내에 존재하는 위계는 다른 사회조직에서와는 달리 엄격한 서열적 의미를 갖지 않으며, 원활한 운영 이라는 필요로부터 비롯되어 회원들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Ⅵ.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사례
1. 진보넷(www.Jinbo.Net)
진보넷은 초창기에 ‘참세상’이라는 BBS로 출발하여 현재 인터넷 방송, 웹호스팅 서비스, 웹진 등을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로까지 발전하였다.
인터넷 방송에서는 기존의 언론 매체에서 다루지 않는 부분들을 전달하고 있으며, 웹 호스팅 서비스를 통해서 각종 사회단체들이 인터넷상에 사이버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것을 지원하고 있다.
2. 에듀넷(www.Edunet4u.Net)
‘교육의 정보화’를 위해 시작된 이 사이트는 현재 많은 현직 교사들을 회원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주된 활동으로는 교육 자료 공유 운동, 교사 참고 자료의 운영, 교육 활동 우수 사례 등등 주로 실제로 수업에 사용될 수 있는 교육 자료들을 공유하고, 제작하는 일을 하고 있다.
3. 야학21(Kustat.Korea.ac.kr/~yahak21)
야학을 대상으로 하는 격월간지 야학 21을 발간하는 단체에서 제작한 사이트이다. 야학 운동의 방향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며, 개별 야학을의 홈페이지 링크, 야학 관련 자료실 운영, 야학 관련 문제에 대한 토론을 주로 하는 야학 사랑방 운영 등 개별화된 야학들 사이에서 공통된 문제를 제시하고, 야학의 미래상에 대한 고민을 제시하는 사이트이다.
Ⅶ.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발전 방향
바람직한 가상 공동체는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가상 공동체와 지구적 두뇌의 진화 논리에 충실할 때 우리는 네트워크의 자생성, 상향성, 개방성의 논리를 따르면서 가상공간의 연결 고리들을 강화하고, 그 활용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지구적 두뇌와 다양한 가상 공동체들, 그리고 그 사용자들 사이에 호혜적 상호작용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 우리는 네트워크의 논리를 추종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우리가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하이퍼텍스트의 네트워크 공간에 올려야 하며, 이 텍스트간의 연결 고리들을 활성화시키고, 정보를 더욱 폭 넓게 공유함으로써 살아 있는 네트워크의 공간을 만들어가고, 그 혜택을 공유하는 수밖에 없다(Kelly, 1999). 여기에서 우리는 네트워크가 호혜성을 기반으로 성장한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호혜성의 이익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내가 모르는 객관적 타자와의 호혜적 연결망이 구축되어 이들과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의 세계를 열어가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전략은 가능한 모든 것들을 연결시키고, 연결된 노드들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닫힌 시스템이 열려질 때마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다른 모든 시스템들과 상호작용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연결되는 것만으로는 네트워크 공동체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연결되는 것과 더불어 끊임없이 높은 ‘평판’(refutation)을 획득할 수 있는 내용물들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행위자들의 ‘관심’(attention)을 끌어들어야만 한다. 결국 네트워크는 평판과 관심을 먹고 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행위자들은, 공동체의 성원들은 수많은 피드백 고리들을 통해 서로에 대한 평판을 공유하고, 높은 평판을 확립하고, 유지하는 행위자들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들과의 연결 고리들을 활성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Kelly, 1998).
Ⅷ. 결론 및 시사점
전자공간과 가상공동체의 출현은 공동체의 개념에 있어서 지역성보다는 사회적 관계망과 소속감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게 하였다. 그러나 지역공동체와 같은 실제공동체 자체도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기보다는 구성원들의 상호작용과 동류의식에 기초해서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전자의사소통에 기초한 전자공동체도 공동체의 한 종류로 보는데 큰 문제가 없다. 단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소속감, 연대감의 수준에 따라 공동체성이 강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약하게 나타나기도 하는 것이다.
가상공동체는 지역공동체의 기능과 역할을 어느 정도는 대체할 것으로 보이나 지역공동체의 중요성은 여전히 클 것으로 보인다. 가상공동체는 지역공동체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고 그래서 두 개의 공동체는 병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우리의 실천과제는 실재 도시와 지역공동체에서 발생하고 있는 여러 가지 모순과 갈등을 줄여나가기 위해 전자공간과 가상공동체의 특성과 한계를 인식하면서 성찰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윤길(2000) - 온라인 게임에서의 가상공동체 형성과 특성,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영민(2000) - 사이버공간의 정치
윤영민(1996) - 전자정보공간론, 전예원
유종윤(2000) - 인터넷과 가상공동체 문화의 발전, 논문
한상진(1999) - 정보사회에서의 공동체의 변화, 도시와 공동체, 도서출판 한울
한국언론정보학회편(2002) - 인터넷과 가상공동체, 현대사회와 매스컴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