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의 악론에 대한 분석적 고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순자 사상의 기본 구조

3. 순자 이전의 음악론

4. 음악의 본질과 기원

5. 음악의 기능

6. 악론의 의의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공명을 일으키고 나아가 정치와 사회의 상황을 반영하고 사회 구성원의 일반적 정감을 소통시키며, 인민의 정서와 염원을 표현할 수가 있는 것이다. ■■論語■■ 學而. 詩可以興, 可以觀, 可以, 可以怨. 참조.
그러므로 군주는 음악을 신중하게 취하고 선택해야 한다.
6. 악론의 의의
순자는 공자 이후 많은 유가 학파가 공자 사상을 왜곡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자의 진정한 가르침과 전통을 지키려고 노력했다. 벤자민 슈월츠 지음, 나성 옮김.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살림, 1996, p. 438 참조.
순자의 악론은 구성 체계에서 볼 때 묵자의 비악에 대해 비판하고 공자의 예악의 가르침을 체계적으로 보완한 것이라 하겠다. 공자는 예와 악의 정신을 제시하고 음악이 이상적인 사회에 꼭 필요한 수단임을 거듭 주장하였지만, 음악의 기원과 본질, 기능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순자는 공자의 음악 사상을 계승하여 음악이 본능적으로 감성적 쾌락을 추구하는 인간의 자연적인 본성에서 나온 것이며 음악을 즐기고 정감을 표현하는 것은 타고난 본성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음악의 정신은 조화를 추구하고 감정을 순화하는 것이므로 이런 음악의 기능이야말로 이상적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한다. 그런 점에서 순자는 음악의 본질과 기능을 설명하면서 묵자의 음악 부정론을 조목조목 비판한다. 본성의 표현이 도리에 맞도록 이끌기 위해 성인이 음악을 제정한 것이니 음악이야말로 착한 마음을 감동시키고 사악한 기운을 멀리하여 사회를 올바르게 이끌 수 있는 수단인데 묵자는 이를 부정한다. 또 음악은 여러 악기의 합주로 아름다운 형식을 이루는 것이므로 사회를 도리에 맞게 이끌고 만물의 변화를 다스릴 수 있는 것인데 묵자는 이를 부정한다. 음악은 온 세상의 질서를 바로 잡고 알맞게 조화시키는 규범인데 묵자는 이를 부정한다. 또한 이상적인 제왕의 정감 표현 수단으로서도 유효한 것인데 음악은 이를 부정한다. 묵자가 음악을 부정하는 철학적 입장은 소박한 실용주의, 공리주의와 생산 계층의 입장에서 음악의 효용과 기능을 비판한 것이다. 음악은 악기 제작, 연주, 감상 등 전반에 걸쳐서 오랜 시간과 많은 재화, 그리고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비생산적인 행위이므로 부정한 것이다. 이에 대해 순자는 이상적 사회의 기획에 반드시 필요한 것임을 역설하고 있다. 인간이란 어차피 감성적 쾌락과 욕구를 추구하는 존재이므로 이를 무조건 부정할 수는 없다. 이런 욕구와 충동이 오히려 인간의 문명과 문화를 이루는 원동력이다. 그러므로 이상적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런 힘을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교육의 수단이 예와 악이라는 것이다.
순자는 예론과 악론을 통해 예와 악의 기능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분리한다.
음악은 바꾸고 변화시킬 수 없는 조화이며, 예는 바꾸고 변화시킬 수 없는 이법이다. ■■荀子■■ 樂論. 且樂也者, 和之不可變也, 禮也者, 理之不可易者也.
악은 모든 것을 다같이 화합시키는 것이며, 예는 모든 것을 따로따로 구별시키는 것이다. ■■荀子■■ 樂論. 樂合同, 禮別異.
근본을 추구하고 변화의 극치를 지향하는 것이 악의 실정이고, 성실을 드러내고 거짓을 제거하는 것이 예의 원리이다. ■■荀子■■ 樂論. 窮本極變, 樂之情也, 著誠去僞, 禮之經也.
순자는 이처럼 음악과 예의의 기능을 분리한 다음 다시 예와 음악이 인간의 마음을 주관하는 기능을 공통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밝힌다. ■■荀子 樂論. 先王之道, 禮樂正其盛者也.
故先王導之以禮樂而民和睦.
禮樂之統, 管乎人心矣.
예와 음악은 이상 사회를 구성하는 수단이지만 예는 차별적 원리를 지향하고 음악은 조화의 원리를 근간으로 한다. 차별을 통해 각자의 직분과 역할, 자기 표현의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조화를 통해 각 구성원의 개성을 단합하여 이상적 사회를 이루어가고자 하는 것이다.
순자의 악론은 선진 음악 이론을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헌이다. 악론의 의의는 공자에게서 비롯한 유가의 음악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예기■■ 악기와 ■■사기■■ 악서의 음악 이론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공자는 음악의 정신과 가치를 조화에서 찾고 음악이 이상적인 사회를 구성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밝혔다. 순자는 나아가 음악의 본질과 기원, 기능과 역할을 더 구체적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음악은 본질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인간의 자연적 정감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정감의 표현이 절제와 질서를 따르지 않으면 정감의 방일로 흘러 혼란과 갈등이 생긴다. 그래서 성인이 정감을 순화하고 절제있게 표현할 수 있는 음악을 제정하여 조화있게 정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음악의 본질과 기원에 관한 순자의 설명은 그의 철학적 구도, 특히 인성론과 긴밀하게 연관을 맺고 있다. 곧 인간은 타고난 본성적 욕구를 가지고 있고 욕구 충족 과정에서 갈등과 투쟁이 일어나므로 교화를 통해 욕구를 순화하여 사회 전체의 질서와 조화를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사회적 정치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 가운데 인간의 내면적 정감에 호소하는 음악이 중요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순자의 악론은 역시 묵자가 음악을 부정하는 근거로 삼은 피지배 계층의 예술 향수에 대한 소외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지는 않다. 이점은 순자의 철학적 구도가 군자 지배라는 유가의 전통적 노선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尙書■■
■■周易■■
■■論語■■
■■墨子■■
■■孟子■■
■■荀子■■
■■呂氏春秋■■
■■禮記■■
벤자민 슈월츠 지음, 나성 옮김, ■■중국고대사상의 세계■■, 살림, 1996.
吳文璋, ■■荀子的音樂哲學■■, 文津出版社(臺北 臺灣), 民國 83.
李澤厚, 劉綱紀 主編, 權德周, 金勝心 共譯, ■■中國美學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1.
福永光司, ■■藝術論集■■, 朝日新聞社, 1971.
홍정수, 오희숙 지음, ■■음악미학■■, 音樂世界, 1999.
梁勝姬, ■■樂記의 樂理思想의 哲學的 硏究■■, 成均館大 博士學位 論文, 1992.
유희성, 순자 철학의 이상 사회론, 사회와 철학 연구회, ■■한국 사회와 모더니티■■, 이학사, 2001.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