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통령 선거에서 제 3 후보에 대한 지지 분석 정주영과 이인제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지역주의와 제 3 후보 지지: 집합 자료의 분석

Ⅲ. 제 3 후보에 대한 지지의 분석

1. 정파적 성향과 제 3 후보 지지

2. 이슈와 제 3 후보 지지

3. 후보자 개인

Ⅳ.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와 이러한 약화된 지역 지지의 공백을 대신한 새로운 제 3 후보의 출현 등과 같은 특징이 과거에 비해 약화된 지역주의의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여러 개의 분리된 소선거구에서 경쟁이 이뤄지는 국회의원 선거에 비해서 전국을 단일의 선거구로 하는 대통령 선거에서 보다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지도 모른다. 그러나 여기서 지적할 점은 절대적인 수준에서 1997년의 선거가 지역주의와 무관하게 혹은 지역주의를 뛰어넘는 다른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받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1992년에 비해 그 강도와 규모가 줄어드는 경향이 발견된다고 하는 것이다.
.
그런 점에서 본다면 향후 치러지게 되는 대통령 선거에서 지역주의가 갖는 정치적 호소력은 더욱 약해질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호남권의 집권으로 이 지역에서도 과거와 같은 강한 지역의 정치적 결집은 약화되기 쉽고, 1992년 선거와 같은 지역간 양극적 경쟁 구도가 다시 나타나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영-호남 어디에서도 과거 김대중, 김영삼과 같이 지역적으로 강력한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지도자의 등장도 어렵다는 점에서, 영남 지역뿐만 아니라 호남 지역 유권자의 지지의 분열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그렇게 된다면 향후 경쟁은 양자간 경쟁보다는 제 3 후보를 포함하는 다수 후보에 의한 구도로 나아갈 가능성도 있다.
이 글에서는 자세히 논의하지 않았지만 단순다수제 하에서 제 3 후보에 대한 불리한 효과는 우리 나라 선거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당선 가능성이 낮게 느껴지는 만큼 제 3 후보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에게 이전해 가는 전략투표의 기회는 우리 선거에서도 나타났을 것이다. 1992년이나 1997년 모두 군소 후보들은 이러한 전략투표로 인해 적지 않게 손해를 보았을 것으로 믿어진다 (예컨대 김재한 1998). 그런 만큼 이들 제 3 후보가 실제로 득표할 잠재력은 더욱 컸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선거에서 선전한 제 3 후보 현상을 뒤베르제의 법칙과 관련하여 살펴본다면, 1992년 선거에서 비교적 성공적인 제 3 후보의 출현은 양극적 경쟁 상황에서 정당 지지의 고정성(immobility of party choice)으로 생겨난 저항투표의 결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1997년 선거에서 제 3 후보의 출현은 김영삼의 퇴진 이후 특정 지역에서 밀집된 지역적 지지의 기반이 약화, 분열되면서 그 틈을 노린 political entrepreneur의 출현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어떤 경우든 단순다수제 하에서 치러지는 한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거듭하여 나타나는 제 3 후보의 선전은 정치학의 이론적 발전과 확대를 위해 매우 흥미로운 경험적 사례를 제공해 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강원택. 1999. “유권자의 선택과 TV 선거운동의 효과: 1997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8, 9 합병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pp.155-174.
강원택. 1998a. “유권자의 이념 성향과 투표 행태”.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 II: 제 15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푸른길, pp. 45-96.
강원택. 1998b. "정치적 기대수준과 저항투표: 단순다수제 하에서 제 3 당에 대한 지지의 논리". 『한국정치학회보』 32집 2호, pp. 191-210.
김재한. 1998. “선거방식과 전략적 투표”.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 II: 제 15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푸른길, pp. 315-355.
김재한. 1996. “제도적 정치과정과 한국 경제: 제 14대 대선을 중심으로”. 김우택 외. 『시장경제와 한국의 자본주의』. 소화, pp.447-471.
이현우. 1998. “한국에서의 경제투표”.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 II: 제 15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푸른길, pp. 97-150.
진영재. 1998. “대통령 선거에서 부동표의 성격과 측정”.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 II: 제 15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푸른길, pp. 151-195.
Duverger, Morris. 1964. Political Parties: Their Organization and Activity in the Modern State. 3rd edition. North and North, trans. London: Metheun.
Kang, Won-Taek. 1998. "The Rise of a Third Party in South Korea: the Unification National Party in the 1992 National Assembly Election". Electoral Studies vol. 17, no.1, pp. 95-110.
Kang, Won-Taek and Hoon Juang. 1999. "The 1997 presidential election in South Korea". Electoral Studies vol. 18, pp.599-608.
Park, Chan Wook. 1993. “Korean Voters' Candidate Choice in the 1992 Presidential Election: A Survey Data Analysis”. Korea and World Affairs vol. 19, no. 3, pp.432-458.
Park, Chan Wook. 1999.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1997: Kim Dae-jung's Victory as a Momentum for Democratic Consolidation". 『한국정치연구』 8,9 합병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pp.57-80.
Riker, William. 1982. "The Two-Party System and Duverger's Law: An Essay on the History of Political Scien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vol. 76, pp.753-66.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