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교화][유교 위상][유교 문화자원][향약][일본유교][유교 관련 제언]유교의 전래, 유교의 영향, 유교의 교화, 유교의 위상, 유교의 문화자원, 유교와 향약, 유교와 일본유교, 유교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교화][유교 위상][유교 문화자원][향약][일본유교][유교 관련 제언]유교의 전래, 유교의 영향, 유교의 교화, 유교의 위상, 유교의 문화자원, 유교와 향약, 유교와 일본유교, 유교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교의 전래

Ⅲ. 유교의 영향

Ⅳ. 유교의 교화

Ⅴ. 유교의 위상

Ⅵ. 유교의 문화자원
1. 귤림서원(橘林書院)
2. 삼성사(三姓祠)

Ⅶ. 유교와 향약

Ⅷ. 유교와 일본유교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과 복지증진단합을 위한 전체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농촌진흥 또는 지역사회의 복리증진 사업으로서 사회교육의 일환이라고 하겠다.
Ⅷ. 유교와 일본유교
- 종교가 아니라 공자에 의해서 만들어진 사상이다.
중심이면 [인] ; 부모형제애, 그것을 확대하여 국가를 다스린다는 사고
4세기, 5세기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 전래되었다.
헤이안 시대, 무로마치 시대 -귀족이나 불교 승려가 배웠다.
에도시대의 유교; 무사 중심의 봉건주의 사회를 이끄는 사상이다.
에도 막부는 유교의 주자학을 관학으로 정하고 무사에게 유교교육을 시켰다.
(무사에게는 충과 의가 효보다 특히 중시되었다.)
주자학뿐만 아니라 양명학파와 고학파, 절충학파 등의 유파도 발생했다.
메이지 정부와 유교
신도를 국가 이념으로 할 것을 모색했지만 단념하고, 에도시대 무사들의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했다.
교육칙어(1890) ; 유교와 서구의 근대적 도덕이 결합한 것이다.
근대 천황제 국가의 교육 이념을 제시한 것이다. 근대 천황제 사상의 선동적 역할 - 근대 일본인의 정신 형성에 중요 역할 담당했다.
Ⅸ. 결론 및 제언
공자는 사람이 인해야하는 이유를 天에서 찾고 있다. 공자는 그것을 수호하기 위해 자신의 생명까지도 바칠 수 있는 존재로 天을 인식했다. 天을 말하기를 \"원리의 원리요, 모든 생명의 원천으로 極尊無對한 것이며, 만물을 命하는 자요 여하한 物에도 명령받지 않는 것\"이라고 했다.
우리는 흔히 그리스도교의 사랑과 불교의 慈悲와 유교의 仁을 말한다. 그리스도교의 사랑의 근원은 하느님이요, 불교의 자비는 부처님에게서, 유교의 仁의 근원은 天에서 찾고 있다. 결국 仁은 天의 至上命令인 것이다. 인이 있음으로써 사람다워지고 不仁하다면 사람답지 않다고 했으나, 그러나 사람답지 않다고 해서 仁性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德이 있다고 하겠지만, 그 덕이 밝아서 成德이 되지 않고서는 원만한 인격을 형성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인은 인격을 원만하게 이룰 수 있는 모든 요소를 겸비하고 있으며 사람 누구에게나 주어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유교의 仁은 禮로서 구체화되는데 그것은 결국 나와 타인과의 관계규범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유교사상은 윤리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유교의 윤리는 父子, 君臣, 夫婦 등 작은 집단이나 사회에서 통용되는 것이고, 양심 혹은 공중도덕 사회윤리 같은 큰 집단이나 사회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가족단위를 중심으로 하고 그 다음 통치자와 피치자간의 통치적 도의를 말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유교의 인간관은, 유럽의 기독교사상이 개개의 인간을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로 보고, 누구라도 비인간적 처우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는 인간존엄사상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유교사상에서도 이웃에 대한 동정이나 왕의 백성에 대한 구휼이 있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베푸는 쪽에서의 선심일 뿐 의무 또는 책임이란 사상은 생겨날 수 없었다. 물론 善政을 베푸는 군주는 덕 있는 왕으로 칭송 받았고 또 그것이 王道라고 했지만, 그 자체가 책임이라고 하는 적극적 사고는 결여되어 있었다. 이러한 유교사상이 이조 5백년을 지배해 오면서 사회복지사업의 관주도화를 초래하게 되었고 사회복지의 공행정과 이의 법제화가 발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금준석 - 금부식의 유교사상, 한남대론문집 14, 1984
정진홍 - 한국의 종교문화와 민간신앙, 민속학술자료총서 민속신앙3, 터우리마당, 2003
최재목 - 오늘날 한국에 유교는 있는가, 유교는 철학인가 종교인가, 나의 유교 읽기, 소강, 1997
최봉영 - 조선시대 유교문화, 서울 : 사계절, 1997
최석만 - 탈현대와 유교
황목견오 - 불교와 유교, 평약사서점, 1972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02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