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성공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리더십-완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주 大學(대학)과 리더십
2주 리더십
3주 격물(格物)
4주 치지(致知)
5주 성의(誠意)
6주 정심(正心)
7주 가족(家族)
8주 부모
9주 정치, 권력
10주 위민 위국
11주 비전, 성공
12주 의사소통(communication)
13주 경청
14주 중용(中庸)

본문내용

역옥사건
이순신은 역모사건에 휘말려 죽을 수도 있으나, 자신의 죽음에 두려워하지 않고
불의를 보면 참지 못했고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② “죽고자 하면 살 것이요, 살고자 한다면 죽을 것이다.”
무슨 일에서든지 일을 도모함에 있어 목숨을 걸고 한다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나타난다는 뜻으로 이순신의 성격을 단적으로 나타낸 말이다.
③ 유비무환의 자세
이순신의 전라 좌수사 시절에 자신의 지역에 군기를 세우고, 병력 동원을 원활히
하고 거북선이라는 그 당시에는 생각지도 못할 획기적인 무기를 만듦으로서
다가오는 왜란에 대비할 수 있었다
(3) 원칙과 가치(관)
① 원칙
첫째, “대장부 세상에 태어나 나라에서 써주면 죽음으로 충성할 것이요, 써주지
않으면 밭을 갈며 살리라.” 이 한마디는 그의 원칙과 성격 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출세에 연연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충을 우선시 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둘째, 어떠한 경우라도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다.
소년시절부터 같은 동리(洞里)에서 자라온 유서애(柳西厓)는 그의 초인적인 능력을
일찍이 알아 왔는데 그때에 전랑(銓郞)(정부의 인사관)이었던 이율곡이 서애를
통하여 상면을 청하였으나 “우리는 종친이라 당연히 만나야 하지만 전랑으로 있을
때에는 만날 수 없다.”고 거절하였으니 이는 그의 청렴함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
이다.
② 가치관
첫째, 대장부라는 것은 제일 중요한 것을 "충"이라고 보고, “장부로 태어나 나라가
날 버릴지언정 나는 나라를 위해 죽겠다.”는 그야말로 살신성인의 굳은 절개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그 당시는 당쟁이 난무하고 향음과 잘못된 간언이 판을 치던 시절이었다.
그렇지만 이순신은 그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큰길만을 고집했다.
(4)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첫째, 굳은 의지 <뚜렷한 목표> : 나라에 충성
둘째 ,리더로서의 도덕성과 큰 것을 보는 눈을 가졌다.
셋째, 솔선수범과 강한 카리스마이다.
넷째, 긍정적 사고와 자신감이다.
다섯째, 유비무환의 자세와 부하들을 존중하는 것이다.
(5) 업적은 무엇인가?
첫째, 이순신 장군의 최고의 업적은 무엇보다도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했다는
것이다.
둘째, 군인으로서 뛰어난 전략 전술로 군인의 본보기가 되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셋째, 세계 최초의 철갑선 제조이다.
(6) 후세인들이 그 사람을 어떻게 평가하며, 그렇게 표현하는 이유
유별난 청렴결백뿐만 아니라 겸허한 마음가짐에 따른 유비무환의 자세, 솔선수범과
인간애에 바탕을 둔 리더십, 용기와 결단, 거북선 개발과 같은 창의성, 철저한 기록
정신, 뛰어난 정보활용능력과 전략 등은 오늘날 우리가 경제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를 지닌 분으로 ‘성웅’칭호를 받는다.
3) 도산 안창호
(1) 태어난 배경
1878년 11월 9일 평안남도 대동강 하류 도로성에서 안흥국의 3남으로 태어남.
19세의 청년 도산은 독립협회에 가입하고, 독립협회의 판서지부를 조직하였으며,
평양에서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여 탁월한 웅변으로 명성을 알렸다.
그는 국민계몽과 교육을 위해 21세 때 점진학교, 30세 때 대성학교, 47세 때
중국 남경에 동명학원을 설립했다.
그는 뛰어난 조직가로 1907년 29세 때 비밀결사 조직인 신민회를 결성하여
구국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1909년에 청년학우회, 1912년 대한인 국민회,
1913년에 흥사단, 1928년에 한국독립당을 조직하였다.
(2) 성장과정에서 우리에게 귀감이 되거나, 본받을 만한 사례
첫째로 도산은 일생에 세 개의 학교를 세웠던 위대한 교육자다.
그가 설립한 세 학교의 이름 즉,「점진(漸進)학교, 대성(大成)학교, 동명(東明)
학원」은 깊은 의미를 갖는다. 쉬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여(점진), 대성하는
인물, 대성하는 민족이 되어 아시아를 밝히는 동방의 밝은 등불(동명)이 되자는
뜻이다.
둘째로 감동적인 열변(熱辯)으로 만인의 심금(心琴)을 울렸던 뛰어난 웅변가
였다. 웅변은 도산이 그의 사상을 전파하고 독립운동을 하는데 놀라운 무기였다.
셋째로 역사의 눈서리, 비바람을 맞으며 59년 4개월의 생애를 민족독립(民族獨立)
과 국권회복(國權回復)의 숭고한 제단 앞에 바친 혁명적 정치가였다.
넷째로 도산은 탁월한 문필가(文筆家)였다.
다섯째로 도산은 훌륭한 사상가였다.
끝으로 도산은 지성일관(至誠一貫)의 수양인(修養人)이었다.
(3) 원칙과 가치(관)
첫째는 정직
둘째는 무실역행
셋째는 근엄 즉 절제
넷째는 솔선궁행
(4)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島山 安昌浩 선생은 국토를 지극히 사랑했다. 그는 나라가 국민과 국토와 주권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강조했을 뿐만 아니라. 국토인 ‘한반도’를 바로 조국 그 자체로
생각하여 나라 사랑을 ‘한반도’ 에 대한 사랑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5) 업적은 무엇인가?
도산 선생은 우리나라 근대 민족운동의 큰 지도자이면서 뛰어난 민족주의 사상가
였다. 그는 우리 겨레가 일제의 침략과 지배 아래 고통 받고 있을 때 위기에 처한
나라를 지키고 또 독립을 되찾기 위한 구국 독립운동에 앞장섰다.
그는 한말에 독립협회에 가담해 활동했고, 미국에서 공립협회(共立協會)를 조직해
지도했으며, 다시 국내로 돌아와서는 비밀결사인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해 애국
지사들의 구국운동을 뒤에서 총지휘했다.
그는 1910년에 미국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를 이끌었고, 흥사단을 조직
했다. 이어 3·1운동이 일어나자 중국에 건너간 그는 임시정부의 기초를 확립하고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를 여는데 힘썼으며,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만들었다.
(6) 후세인들이 그 사람을 어떻게 평가하며, 그렇게 표현하는 이유
첫째, 도산은 위대한 문장가요 웅변가였다. 그가 남긴 말은 일백년 세월이 흐른
오늘에도 구구절절 우리의 심금을 울린다.「죽더라도 거짓이 없어라」는 그의
절규는 당시보다도 오히려 오늘의 국민의식개혁에 절실히 요구되는 경구(驚句)
로 생각된다.
둘째, 도산은 이론가가 아닌 실천주의자였다.
셋째, 도산은 흥사단 입단문답의 예문에서 우리는 힘이 없어서 나라가 망하였으니
나라를 흥하게 하려면 힘을 길러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그 힘이란 건전한 인격과
인격간의 단결이라고 했다.
  • 가격8,000
  • 페이지수141페이지
  • 등록일2011.07.12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