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교육]NGO(비정부기구)교육의 현황, NGO(비정부기구)교육의 제도화수준, NGO(비정부기구)교육의 강의, NGO(비정부기구)교육의 문제점, 외국의 NGO(비정부기구)교육 사례, NGO(비정부기구)교육의 평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GO교육]NGO(비정부기구)교육의 현황, NGO(비정부기구)교육의 제도화수준, NGO(비정부기구)교육의 강의, NGO(비정부기구)교육의 문제점, 외국의 NGO(비정부기구)교육 사례, NGO(비정부기구)교육의 평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NGO(비정부기구)교육의 현황

Ⅲ. NGO(비정부기구)교육의 제도화수준

Ⅳ. NGO(비정부기구)교육의 강의
1. NGO의 활동 경향과 강의
2. NGO 강의의 요소 : 연구경향과 NGO 활동을 중심으로

Ⅴ. NGO(비정부기구)교육의 문제점

Ⅵ. 외국의 NGO(비정부기구)교육 사례
1. Seton hall University
2.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New School University)
3. University of Washington
4. University of Pittsburgh
5. Syracuse University

Ⅶ. NGO(비정부기구)교육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에게 필요한 경영기법, 둘째 학기는 재무관리와 자원개발, 셋째 학기는 마케팅과 PR, 전략적 리더십을 학습한다.
4. University of Pittsburgh
행정대학원(Graduate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의 MPA 학위 과정의 전공 중 하나로 Public and Nonprofit Management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정부나 비영리기구에서 관리자로 일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인적자원관리, 재무관리, 조직발전 방향과 전략의 개발과 집행, NPO가 직면하고 있는 독특한 이슈들에 대한 이해와 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한 분석적 기법의 활용 등을 주요강의 내용으로 한다.
NPO 전공과 직접 관련된 과목들은 1) 공공 및 비영리조직 관리, 2)공공 및 비영리조직의 전략적 관리, 3)발전을 위한 NGO 재무관리, 4) NPO와 NGO 등이 있고, 이 외에도 일반적인 조직, 인사, 재무, 정책학, 계량 과목들과, 대학원의 특성상 국제문제(international affairs)에 대한 과목들이 상당수 개설돼 있다.
5. Syracuse University
Maxwell School의 행정학 석사과정(MPA)의 여섯 개 세부전공중의 하나로 “Public and Nonprofit Management\" 가 자리 잡고 있다. International public and ngo management, Nonprofit leadership, Nonprofit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in nonprofit organizations 등의 4과목이 현재 개설되어 있다.
Ⅶ. NGO(비정부기구)교육의 평가
시민사회의 발전에 따라 NGO에 대한 교육 및 연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제고되면서 몇몇 대학에서 NGO대학원을 설립하였으며 관련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견 매우 바람직해 보인다. 그러나 NGO현상이 아직 학문체계로 정립되지 못한 관계로 10개 대학이 대학원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으며 학부에는 겨우 2개가 있을 뿐이다. 그나마 관련 학과나 전공이 대학마다 다른 대학원 내에 소속되어 있으며, 그 규모 역시 매우 영세하다.
그나마 이 분야의 교육체제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몇몇 대학에는 재학생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으며, 학생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심지어 NGO관련 교육 프로그램 폐쇄까지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분명히 시민사회의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그 영향력이 제고되고 있고, 이 분야에 대한 연구 필요성과 함께 인재양성에 대한 수요가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각 대학이 겪고 있는 다음 몇 가지 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첫째, NGO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수요자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인지 공급자의 교육적 필요에 의한 것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 설립목적을 이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과 교과외과정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하는 점이다. 셋째, 각 교육프로그램 이수자들의 진출경로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는 개설과정의 대상학생들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와 관련되는 것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학생 유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NGO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교수나 연구자의 배경은 매우 다양하다. 정치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행정학, 정책학, 경영학, 경제학, 법학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학문의 전공자들이 강의와 연구, 나아가 NGO의 전문가 그룹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NGO를 전공한 교수가 많지 않다는 한계성에서 오는 제도교육의 이상성과 실무분야의 현실성이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조화되고 반영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참고문헌
ⅰ. 강상욱(2001), 우리 나라 NGO의 성장에 관한 연구 :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학위 논문
ⅱ. 김운호(2002), 한국 NGO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행정학회 겨울 학술세미나
ⅲ. 김해성(1995), 시민사회의 성격과 시민의 역할: 시민교육을 위한 예비적 탐색, 특집1 : 세계화·통일·민주시민교육, 한국사회과교육학회
ⅳ. 박상필(2001),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서울 : 한울
ⅴ. 조희연 편(2001), NGO가이드 : 시민·사회운동과 엔지오 활동, 서울 : 한겨레신문사
ⅵ. 차병직(2002), NGO와 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8.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