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어 자음체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국어 자음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대국어 자음체계
Ⅲ. 고대 국어 자음 체계의 제문제
1) 유기음 계열이 존재했는가.
2) 유성음 계열이 존재했는가.
3) 후음 계열은 존재했는가.
4) 치음 계열에 몇 개의 음소가 존재했는가.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의 세 음소를 인정하고 있으며, 이기문과 김무림 사이에서는 고유명사 자료와 한국 한자음을 동시에 고려하여 치음 계열에 /ㅅ/, /ㅈ/, /ㅊ/의 세 음소를 인정하고 있다. 두 논의 모두 고대국어에서 /ㅿ/의 존재를 입증할 만한 결정적인 증거가 없음을 지적하였다.
박병채(1971)은 중세의 한국 한자음을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고대국어의 치음 계열에 /ㅈ/(c)와 /ㅅ/(s)의 두 음소를 인정하고 있다. 그 근거로는 한국 한자음에서 중고음의 치두음과 정치음의 구별이 무시되고 있고, 청탁의 구별도 무시되고 있으며, 차청자의 대응에 규칙성이 없을 뿐 아니라 중고한음에서 반치음으로 규정된 日母의 대응도 유동적이라는 사실을 들고 있다.
조규태, 박동규, 김동소는 고대국어의 치음 계열에는 마찰음/s/하나만이 존재했다고 보는데 이는 고유명사 자료에서 음독 대 음독으로 대비되는 글자의 한자음이 ‘ㅅ↔ㅈ↔ㅊ’ 사이에서 혼기를 보이는 것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단일한 ‘ㅅ’에서 후대의 ‘ㅈ, ㅊ, ㅿ’로의 분화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Ⅳ. 결론
이상으로 고대국어 자음체계 연구와 자음에 관한 선행 연구를 논쟁이 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전체 체계의 수립에 집중되었다면 이제는 미시적으로 정밀하게 접근하는 연구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조음 위치에 어떤 음이 존재하였고 그 음가는 무엇인가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새로운 자료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현재의 자료를 좀더 신중하게 다루고 앞에서 언급했던 문제들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계속 필요할 것이다.
■ 참고문헌■
김동소(1998),『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박동규(1995),『고대국어 음운연구Ⅰ』,전주대출판부.
박병채(1971),『고대국어의 연구』,고려대출판부.
박창원(1994),「15세기 국어 자음체계의 변화와 통시적 성격(1)」,『인하어문연구』창간호.이기문(1972),『(개정판)국어사개설』,탑출판사.
이숭녕(1956),「ㅿ음고」,『서울대논문집』3.
유창균(1980),『한국 고대한자음의 연구Ⅰ』, 계명대출판부.
유창균(1991),『삼국시대의 한자음』,민음사.
장세경(1990),『고대 차자 복수인명 표기 연구』, 국학자료원
조경하(2002),「고대국어 자음체계」,『국어음운연구사(1)』, 태학사.
조규태(1986),「고대국어의 음운 연구Ⅰ」,효성여대 박사학위 논문.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18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