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전후휴가][산전후휴가급여]산전후휴가의 의의, 산전후휴가의 현황, 산전후휴가의 임금, 산전후휴가의 신청자격, 산전후휴가급여의 정의, 산전후휴가급여의 수급요건, 산전후휴가급여에 대한 질의응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전후휴가][산전후휴가급여]산전후휴가의 의의, 산전후휴가의 현황, 산전후휴가의 임금, 산전후휴가의 신청자격, 산전후휴가급여의 정의, 산전후휴가급여의 수급요건, 산전후휴가급여에 대한 질의응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산전후휴가의 의의

Ⅲ. 산전후휴가의 현황

Ⅳ. 산전후휴가의 임금

Ⅴ. 산전후휴가의 신청자격

Ⅵ. 산전후휴가급여의 정의

Ⅶ. 산전후휴가급여의 수급요건

Ⅷ. 산전후휴가급여에 대한 질의응답
1. 산전후휴가급여를 받은 후 통상임금이 소급 인상되었을 경우 산전후휴가급여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지
1) 질의
2) 회시
2. 산전후휴가중 사업장이 폐업한 경우 산전후휴가급여를 청구할 수 있는지
1) 질의
2) 회시
3. 부당해고구제신청을 통해 원직 복직된 근로자에게 고용보험법상 산전후휴가급여를 지급할 수 있는지
1) 질의
2) 회시
4. 조기진통으로 산전후휴가를 산전에 일부 사용하고 산후에 나머지를 사용한 경우 고용보험법상 산전후휴가급여를 지급할 수 있는지
1) 질의
2) 회시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그의 “고용관계상의 지위”가 일단 해고처분 받은 때로부터 종료(대법원 1993. 6. 8. 92다42354 판결)되며, 고용보험법상의 피보험자격 역시 해고처분을 받을 때로부터 상실한다고 보고 있다.
- 그러나 당해 해고가 무효 또는 부당하다는 노동위원회에 의한 명령, 판정, 법원에 의한 판결 등이 확정되면 고용관계가 소급적으로 원상회복되므로 피보험자격 상실은 취소된다.
-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사업주가 부당해고구제신청을 통해 원직복직한 여성근로자에게 근로기준법상 산전후휴가를 해고기간중의 출산일부터 소급하여 부여할 법적인 의무는 없으나
- 사업주가 원상회복차원에서 부당해고기간 중 출산한 여성근로자에게 산전후휴가를 출산일부터 소급하여 부여할 수 있다고 본다.
-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한하여 사업주는 해고기간을 포함하여 90일의 휴가기간 중 최초 60일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여야 하고, 나머지 30일에 대해서는 고용보험법에서 산전후휴가급여를 지급함이 타당하다.
(평정 68240-170, 2003. 5. 19)
4. 조기진통으로 산전후휴가를 산전에 일부 사용하고 산후에 나머지를 사용한 경우 고용보험법상 산전후휴가급여를 지급할 수 있는지
1) 질의
임신 중 조기진통으로 11월부터 12월 중순까지 43일의 산전휴가를 사용하고 다시 출근하여 20여일 근무하다가 1월4일 출산을 한 후 나머지 47일의 휴가를 사용하고 출근한 경우 고용보험에서 산전후휴가급여를 지급할 수 없는지
2) 회시
근로기준법 제72조에 “사용자는 임신 중의 여성에 대하여 산전 후를 통하여 90일의 보호휴가를 주어야 하며, 휴가기간의 배치는 산후에 45일 이상이 되어야 한다.” 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 경우 산전후란 출산전후를 뜻하며 산전후휴가기간의 산정은 실제 출산한 날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휴가는 역월상 계속하여 90일을 사용하여야 한다.
- 또한, 고용보험법상 산전후휴가급여는 고용보험에 180일 이상 가입하고, 근로기준법 제72조에 의한 산전후휴가를 90일 연속적으로 부여 받은 여성근로자에게 지급하고 있다.
- 이러한 법 규정에 의거 출산일 이전에 사용한 휴가(43일)는 산전후휴가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되므로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90일의 산전후휴가를 부여받지 못한 것으로 고용보험법상 산전후휴가급여 지급요건에 해당되지 않는다.(평정 68240-204, 2003. 6. 11)
참고문헌
국회 여성특별위원회(1999) - 여성관련법률의 개정방안 모색을 위한 관계전문가 초청 의원간담회 결과보고서
노동연구원(2003) - 산전후휴가육아휴직 관련 실태조사
문미경(2007) - 출산휴가,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의 효율적 운영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박숙자(1993) - 여성과 노동시장, 여성과 한국사회, 사회문화연구소
이순호(1999) - 노동복지정책네트워크의 변화 : 고용보험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지연·정혜선·류임량·김수영·장은숙(2004) - 여성근로자 모성보호의 현황과 정책방안, 모성관련 휴가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도서출판 창보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0.1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