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론 -고운 시인 고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작가 연보
2. 고은 생애
3. 고은의 시 세계
3.1 초기
3.2 중기
3.3 후기
4. 고은의 산문 살펴보기

Ⅲ.결론

·덧붙이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다. 하지만 이제부터 그가 가서 만날 사람은 스승이 아니라 중생일 터이고, 그 중생의 본성이야말로 부처라고 할 때 궁극적으로 만나는 것은 수많은 부처일 것이다. (530-531쪽)
우리는 고은의『화엄경』을 물론 내가 무지한 불경에 빗대어 읽지도 않았고, 그의 다른 방대한 문학적 저작들과 연관 시켜보지도 않았으며, 오직 하나의 소설로서만 그 문자들을 따라왔다. 그랬기 때문에, 소설『화엄경』이 얼마나 불교적 사유에 깊이 베어들어 있는 것인지, 시인으로서 사상가로서 행동가로서의 그의 한없이 넓게 펼쳐진 정신과 영혼에 선재의 깨달음의 과정이 어디에 얻어들이고 있는지 제대로 가늠하지 않는다. 나로서는 다만 그의 30대 후반 그가 정열적으로 자신의 내적 번뇌에 탐닉함으로써 영원한 구도를 향한 꿈을 그리던 시기와, 50대 후반 바깥 세상의 그릇됨에 온몸과 마음으로 싸워 공동체의 이타적 삶을 추구해오던 시기의 그의 사유의 진전에 눈길을 모아두었을 뿐이다. 그 두 시기는 한 파란 많은 개인의 상반된 두 역사가 집중적으로 긴장을 일으키며 타올라 있었고 그 긴장의 삶이 세계와 현실과 그리고 인간을 새로이 보는 관점을 투영시키고 있었다. 고은 자신이, 17년을 사이에 두고 앞과 뒤의 맥락이 달라지고 있음을 고백하고 있었다.
Ⅲ.결론
지금까지 고은의 시 세계를 살펴 보았다. 여러 차례의 자살 기도와 출가, 그리고 다시 환속을 거쳐 역사와 시대의 상처를 치유하는 시인이 되기까지 그의 인생과 그의 시는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이것은 시인의 체험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하는 동일선상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본다.
그의 시는 초기의 죽음에 대한 탐미적이고 허무주의적인 시절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70년 전태일의 분신 자살이 황석영에게 『객지』를 쓰게 했듯이, 고은은 이 때부터 자신 내면에 대한 관심을 시대와 역사에 대한 것으로 투영하게 된다. 당시 70년대의 가부장적이고 폭압적인 사회 분위기는 전태일의 죽음과 유신헌법 개헌을 거치며 한국의 현대문학사에 하나의 기반을 조성한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고은은 직접 시대에 개입하며 자신의 체험과 고민, 시대와 역사에 대한 사고의 지평을 시로써 말하기 시작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고은은 80년대 후반, 그리고 90년대 들어 서사시 『만인보』,『백두산』의 창작으로 한국의 역사와 그 험난한 역사 속에 살아 왔던 사람들에게 다시금 생명을 부여한다.
그 자신이 ‘자신의 후기 문학은 내년쯤이 될 것이다’라며 문학에 대한 식지 않는 열정을 보여주고 있는 고은, 앞으로의 그의 문학은 또 어떻게 펼쳐질지 기대해 본다.
◎덧붙이는 말
전소현 : 시인 고은은 유년기의 체험 등으로 내면화된 비극, 아픔을 치열한 자기반성과 몸부림으로 걷어내었다. 그리고 자기만의 단절된 세계에서 세상이라는 망망대해로 나아가 내면의 고통을 부조리에 대한 끝없는 투쟁으로 승화하였다. 고은 조사 초기엔 그가 여느 시인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양의 작품을 쏟아내는 것에 대해 다소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스스로를 의미 있게 변화시켜나가는 그의 행보를 알게 되면서, 번뜩이는 깨달음 하나하나를 소중히 여겨 그대로 작품에 옮겨놓자 하는 그의 작품관을 이해할 수 있었다. 비록 시에서 시상이 집약되지 못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그의 시에서 세상에 대한 넓디넓은 애정과 웅장한 포부를 대하며 나 자신을 넓혀가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하경진 : 과제를 하기 전까지는 고은 시인을 노벨상과는 인연이 없는 시인(?)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그의 문학 세계는 상당히 방대했고, 그가 살아온 생애는 그의 문학에 영향을 끼친 만큼 굴곡도 많았다. 조사를 하면서 개인적인, 비극적인 감정에 치우쳤던 시인이 점점 현실과, 역사를 깨달아가는 과정에서 그가 우리의 역사를 보듬어가려 한다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일만 겨레를 하나씩 시로 호명하겠다,”라고 전언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그의 시 속에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을 모두 다뤘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어디서 읽은 기사에서는 이제 그가 동·서양의 사상을 아우르는 작품을 쓸 예정이라고 한다. 나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문학에 대한 식지 않는 열정을 보여주는 시인에게 존경을 표하고 싶다.
최원민 : 고은 시인에 대해서 처음 알게 된 것은 학창시절에 배운 ‘열매 몇 개’ 라는 시를 알고서였다. 제목도 유치한 듯 하고 시도 짧고 해서 뭐 그냥 동시를 쓰는 시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 고은 시인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다시 이 ‘열매 몇개’란 시를 보고 잘은 모르겠지만 뭔가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는 시인 것 같은 느낌도 받았다. 어쨌든 고은 시인이 꼭 노벨상을 받았으면 하고 같이 과제한 경진씨와 소현씨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를 내주어서 작가에 대해 잘 알게 해준 교수님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참고문헌
·고은,『고은 전집』,김영사, 2003
·정주한,『고은 시 연구: 시 경향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이건청, 「절망의 심연과 방대한 힘의 언어」,『해방 후 한국 시인 연구』,새미,2004
·김주연,「죽음과 행복한 잠」,『고은 문학의 세계』, 신경림ㆍ백낙청, 창작과비평사, 1993
·염무웅,「고은의 시세계」, 고 은,『부활』,민음사, 1974
·장경렬,「문의(文義) 마을과 청진동(淸進洞), 또는 초월 세계와 인간 세계 -고은의 70년대 시」황지우 엮음, 『고은을 찾아서』,버팀목, 1995
·고은,「회상으로서의 전진 -내 시적 자화상」, 황지우 엮음,『고은을 찾아서』,버팀목, 1995
·이경호,「허무의 바다에서 화엄(華嚴)의 땅으로」, 황지우 엮음, 『고은을 찾아서』,버팀목, 1995
·이동순,「‘존재의 전이’에 대하여」, 신경림ㆍ백낙청 엮음, 『고은 문학의 세계』, 창작과비 평사, 1993
·송기한 ‘고은 : 민족문학에의 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년
·http://blog.naver.com/love1set
·http://kr.blog.yahoo.com/sumloss/48989
·전북일보 『20C 전북50인』

키워드

고은,   작가,   시인,   고은론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1.10.1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