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문화재의 의의와 유형, 유형문화재 및 무형문화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화재

Ⅰ. 문화재의 의의

1. 문화와 문화재의 의의
2. 문화재의 유형
1) 유형문화재
2) 무형문화재
3) 기념물
4) 민속자료

Ⅱ. 유형문화재

1. 유형문화재의 의의
2. 주요유형문화재
1) 원시미술과 토기
가) 원시미술
나) 줄무늬토기
다) 무문토기
2) 청자, 백자
가) 청자
나) 백자
3) 탑
가) 고구려의 탑
나) 백제시대
다) 신라시대
라) 통일신라시대
마) 고려시대
바) 조선시대
4) 불상
가) 종류
5) 건축
가) 목조건축
나) 석조건축
6) 서화
가) 삼국 및 통일신라의 서화
나) 고려의 서화
다) 조선의 서화

Ⅲ. 무형문화재

1. 무형문화재의 의의
2. 주요무형문화재
1) 연극
가) 인형극
나) 가면극
2) 음악
가) 아악
나) 민속악
3) 무용
가) 공중무
나) 민속무
4) 공예기술

본문내용

극은 손가락을 인형의 목에 넣고 막 위로 나타내어 조작하는 것이다. 그림자인형극은 인형의 그림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꼭두각시놀음은 대표적인 사인형극이다.
나) 가면극
연기자의 일부 또는 전원이 얼굴에 가면을 쓰고 등장하여 연출하는 극을 가면극이라 한다. 가면이 연극에 사용된 것은 문명사회나 미개사회를 막론하고, 또 민족이나 시대의 고금(古今)을 초월하며,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원시사회에까지 미친다. 가면은 얼굴을 가리는 특수한 조형품으로 특정한 목적과 용도를 지닐 뿐만 아니라 다른 인물 및 동물과 초자연적인 존재, 곧 신(神) 등을 의미하였다.
문헌상으로 뚜렷이 나타나는 한국가면극의 기원은 신라 때가 된다. 통일신라시대 말엽의 최치원이 지은 한시 향악잡영 5수(首)에 가면무를 묘사하고 있다. 가면극을 크게 분류하면, 서울중심의 경기지방, 경북 일대와 강원지방, 황해[海西]지방, 경남 해안지방 일대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분포되어 있다. 서울중심의 경기지역에 분포하는 산대가면극은 서울에 본산대가 있었고, 양주에는 별산대가 있었으며, 양주 별산대놀이와 송파 산대놀이가 전한다. 경북 일대와 강원지역에 분포하는 서남신제가면극은 하회 병산 주곡 강릉 등지에 있었으나 지금은 하
회와 강릉의 가면극만 전한다. 황해지역에 분포하는 해서가면극은 봉산 강령 황주 안악 재령 신천 은을 등 내록과 해안지방 등에서 공연되었으나 현재는 봉산 강령 은율의 것만 전승되고 있다. 경남 해안지방 일대에 분포하는 야유 오광대계열의 가면극은 초계 창원 통영 고성 김해 수영 동래 부산진 가산 등에서 공연되었으며, 통영 고성 수영 동래 가산의 것만 전한다.
가면극의 주제는 첫째, 양반에 대한 반항 둘째, 부부의 갈등 셋째, 파계승에 대한 풍자 넷째, 내세기원 다섯째, 서민생활의 실상 등을 다루고 있으며, 각 마당이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어 주제의 일관성은 없다.
(2) 음악
정악(교樂)은 아악 당악 향악 등 궁중이나 지식계급에서 쓰던 음악을 가리키고, 민속악(民俗樂)은 일반대중 사이에서 쓰던 음악을 가리킨다. 정악의 특징으로는 첫째, 발생연대가 비교적 길고 둘째, 문헌상 옛 악보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셋째, 음의 장식방법에 과장이 없고 담백하고 정아하고 넷째, 여러 악기를 사용하는 합주음악으로 설혹 독주나 명주곡이라 하여도 이는 합주곡에서 발췌한 것이며 다섯째, 궁정이나 지식계급 사이에서 즐기던 음악이다.
가) 아악
고려와 조선시대에 궁중의식에서 연주된 전통음악이다. 좁은 의미로 문묘제례악만을 가리키고, 별은 의미로 궁중 밖의 민속악에 대하여 궁중 안의 의식에 쓰던 당악 향악 아악 등을 총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아악은 정아(正雅)한 음악에서 나온 말로, 중국 주나라 때 궁중의 제사용악으로 사용하였다. 한국은 1116년 고려 예종 때 송나라 춰종이 대성아악과 관련악기 의복 등을 보냄으로써 시작되었다.
고려 말에는 악사를 명나라로 보내 악기를 들여오고, 명의 아악을 종묘 문묘 조회 등에 사용하였으나, 이후 아악에 쓰일 악기가 부족하게 되고 악기간의 조율이 맞지 않아 합주가 어렵게 되었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의 아악을 계승하여 세종 때에 크게 정리하였다. 세종은 박연으로 하여금 궁중아악을 정비하게 하였다. 1910년의 국권을 상실함으로써 제례가 폐지되고 여기에 사용하는 아악이 사라지게 되었다.
나) 민속악
서민층에서 사용되던 음악으로 사회의 기층문화에 속하는 음악이다. 민요와 민속무용음악이 해당하며, 민속예능에 부수되는 음악이나 동요를 포함한다. 민속악은 어떤 특정인에 의해 창작되지 않으며, 산조 판소리 잡가 민요 농악 등이 속하는데, 잡가에는 12잡가 휘모리잡가 서도잡가 산타령 가야금병창 선소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세속음악이 아닌 범패(努떴)나 무악(巫樂)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민속악은 흥겹고, 구성진 가락이 많으며, 지방에 따른 음악적 특징(토리)이 있고, 빠른 장단으로 생동감을 준다.
(3) 무용
가) 궁중무
궁중에서 발전 계승된 춤으로 정재(星才) 또는 정재무(星才舞)라고도 한다. 삼국대 이후 국가의 각종 행사나 의식 및 궁중의 연례 등에 춤이 쓰였으며, 유형적 형태에 따라 당악무용과 향악무용으로 나눌 수 있다. 당악무용은 고려 문종 때 송나라로부터 도입된 춤으로 춤의 시작과 론을 죽간자(竹半子)가 인도하고, 한문으로 된 창사를 부른다. 향악무용은 한국 고유의 춤으로 조선 세종 이후 체계화되었으며, 무원(舞員)들은 죽간자의 인도 없이 무대에 등장하여 한글가사로 된 창사를 부르다가 면복흥퇴(끓어 암아 엎드려 절하고 일어나서 퇴장함)의 형식으로 퇴장하는 춤이다. 조선 말에 이르러 구별이 없어줬다. 궁증무용의 특징으로는 춤의 주제가 개인의 감정이나 정서의 표현에 있지 않고, 조상의 공덕을 칭송하거나 군왕의 장수 등을 기원하는 데 있으며, 담담하고 유유한 장단과 우아한 춤가락을 가졌다.
춤을 추는 도중 춤의 내용을 담은 창사(唱詞)를 부르며, 현재 검무 처용무 춘앵전 학무 등이 전해진다.
나) 민속무
민속의 특수성과 향토의 특색을 갖추고 옛날부터 전해지는 전통무용이다. 특정한 사람에 의하여 안무되는 무용이 아니고, 기록방법이 없었으며, 향토색이 짙고, 민속의상을 사용한다. 내용으로는 농업 어업의 풍요를 기원하는 놀이로 발달한 것, 무속이나 민간신앙에서 기인한 것, 고장의 전설과 특정사실에서 비롯된 것, 오락적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승무 살풀이춤 강강술래 농악춤 소고춤 장고춤 등이 대표적인 민속무용이다.
(4) 공예기술
전통적으로 이어 온 공예기술로 실용적인 물건에 장식적인 가치를 부가함으로써 그 가치를 높이려고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한국은 고대부터 우수한 공예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삼국시대의 금속공예나 석공예 등과 통일신라시대의 많은 공예품, 고려의 청자, 조선의 분청사기 백자 등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신라의 토기 금속공예 석공예, 고려의 청자 나전칠기, 조선의 분청사기 백자 목공예 화각장 탈 금속공예 등에 대한 제작기술을 가진 사람들에 대하여 인간문화재로 지정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1.22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