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사회학의 패러다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기능주의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1. 파슨즈의 사회화 기능론

Ⅱ. 갈등주의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1.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서의 교육
 2. 콜린스의 지위집단이론
 3. 급진적 학교 개혁론 (Illich)

Ⅲ. 해석학적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1. 상징적 상호작용론

Ⅳ. 대자적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1. 저항이론(will)
 2. 탈재생산이론(Apple)

참고자료 및 출처

본문내용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교 사회구성원들 간의 관계, 학업성취, 행동양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건강한 자아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자아가 을 행복하게 해 줄 것입니다.
Ⅳ. 대자적 교육사회학 패러다임
1. 저항이론(will)
흔히 학교에서 문제아라고 불리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이 학생들은 학업 성적이 낮고, 학교에 적응 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항이론은 나름대로 의식을 갖고 학교의 지적 교수나 생활지도에 대해 반대하는 문화로 접근 합니다. 즉 계급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습니다. 학생 자신이 노동계급에 속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노동자 계급으로써의 문화적 정체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저항이론은 행위자의 대자적 의식과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행위자간의 능동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것의 잘 알려진 예로는 '위험한 아이들'이란 영화에서 노동계급에 속하는 아이들이 학교에 가르치는 시에 대하여 한 학부모가 '생산적 직업에 필요한 기술이 필요하지 의사나 변호사가 될 일없으니 머저리 같은 아이들에게 시 나부랭이나 가르치라'며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 이유를 말한 것을 들 수 있습니다. 공부를 못하여서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계급에게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배우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시를 배우지 않는 것은 자신의 계급 정체성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선택적 행위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이와 비슷한 예로는 대안학교를 들 수 있습니다.
대안학교라고 하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학생들이 가는 학교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대안학교에 가보면 자신이 선택하고 희망하여 대안학교를 지망하는 학생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학생이 성적이 낮아서 구조화된 교육체계의 능력주의에 의한 선발에 따라 선택권 없이 육체노동직에 떠밀려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계급정체성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선택적 행위인 것입니다. 기능주의 관점에서 보면 대안학교를 가는 학생의 기존의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이고 갈등주의 관점에서 보면 불평등한 구조적 관계에서 노동계금의 학생들이 재생산되는 것으로 보여 질 것입니다. 하지만 저항이론에서는 행위자의 대자적 의식과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행위자의 능동성을 강조하여 실질적으로 행위자가 행하는 행위보아 이와 같은 예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탈재생산이론(Apple)
Apple은 학교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적인 헤게모니를 산출하기 위하여 작용한다고 하였습니다. 경제는 이러한 이데올로기적인 과정들을 주지만, 학교는 분명한 독립성을 드러내므로 계급관계의 재생산에 대한 학교의 영향은 미요하고 간접적입니다. 그는 헤게모니를 사용하여 학교를 지배 헤게모니의 재생산과 이에 대항하는 헤게모니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보았습니다. 그리고 탈재생산이론은 대항 헤게모니의 창출을 강조하고, 대항 헤게모니는 계급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식민주의시기에, 식민 통치 정부들은 교육에 대해서 어느 정도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20세기 이전까지 대다수는 토착민들이 교육을 시키기에는 너무 원시적이라고 생각했다. 이후에 교육은 지역의 엘리트들이 유럽의 이해와 생활방식에 순응하게 하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교육의 결과는 오히려 불만과 저항을 선동하는데, 그 이유는 반 식민 투쟁과 국가주의적인 운동을 주도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유럽에서 학교 및 대학을 다닌 엘리트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유럽 국가들의 민주적인 제도와 모국에서의 민주주의 부재를 비교할 수 있었다.'라고 현대 사회학 488p에 나와 있습니다. 이는 학교가 지배와 저항이 공존하는 모순의 공간이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교는 교육을 받아 노동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곳일 뿐만 아니라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시민적 권리와 민주적 가치 창출하는 투쟁, 문화적 이해관계 등을 배우게 되면서 교육에 대해 역동적으로 이해하게 만듭니다.
참고자료 및 출처
북한의 『공산주의도덕』 교과서 분석을 통해서 본 북한 청소년의 인성교육 연구/ 홍성찬
북한 어린이 만화에서 나타난 덕목 분석 / 이경호
『교육사회학』/김경식
『아이를 위대한 사람으로 만드는 55가지 원칙』/론 클라크
조선일보 2009년 11월 19일자 신문
국민일보 2009년 10월 22일자 쿠키뉴스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이종태
『새 교육학개론』/김형구
『현대 사회학』/앤서니 기든스
국민일보 쿠키뉴스 2009년 10월 26일자 뉴스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5.14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5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