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 사도의 목회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베드로 사도의 목회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베드로 사도의 목회관
Ⅱ. 대상
Ⅲ. 통일성
Ⅳ. 내용 및 특징
Ⅴ. 기록 연대와 장소

본문내용

국의 수도를 가리 키는 가명이다(4Esr. 3:28-29, syr. Bar. 67:7 등등, 묵시 14:8, 16 -18장). 묵시 문학은 이러한 가명을 통해서 이 수도의 악마성을 날카롭게 비판하며 심판 때 이들의 타락상이 폭로되리라는 것을 시사하였다."( W. Schrage), p. 23. )라고 하였다. 로벋손(A. T. Robertson)은 "우리는 언제 로마가 바벨론으로 일컬어지기 시작했는지 모른다. 아마 로마 대 화재 이후에, 네로가 그리스도인들을 박해한 결과로 그러한 호칭이 생겨난 것 같다. 그리스도인들은 네로가 통치하는 시대에 악행자(벧전 2:12)라고 일컬어졌다(Tacitus, Ann. ⅩⅤ. 44). 그래서, 우리는 로마를 기록한 장소로 생각하고, 또 베드로가 네로로부터 자기의 위치를 숨기기 위해 '바벨론'을 사용 한 것으로 생각한다."( A. T. Robertson, p. 74. )라고 하였다.
이 학설에 대해 반즈(A. Barnes)는 그렇게 이른 시대에 바벨론이란 이름이 로마에 적용되었다는 증거가 없다는 점, 사도들은 편지를 보낼 때에 으레 실제의 지명을 언급했다는 점, 자기가 있는 지역의 명칭을 별명으로 언급한다는 것은 사도의 존엄성에 걸맞지 않는다는 점, 바벨론이라는 이름이 의미하는바 사악성 때문에 로마를 바벨론이라고 했다면, 사도는 로마 교회를 존경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 등을 들어 반대하고 있다.( A. Barnes, p. 1393. )
그러나, 요한계시록을 비롯한 묵시 문학에서, 바벨론이 로마를 가리키는 것이 분명하다는 사실은, 그 이전부터 그러한 표현이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편지를 보낼 때 실제의 지명을 언급하는 것이 사도들의 관례이며, 가명을 쓰는 것이 사도의 존엄성에 걸맞지 않고, 또 로마를 가리켜 바벨론이라고 했다면 로마 교회를 존경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바울의 서신들 중에도 쓴 장소가 명시되지 않은 것들이 있고, 또 야고보서도 쓴 장소가 명기되지 않았다. 더욱이, 베드로전서는 박해가 행해지는 로마에서, 박해 아래 있는 로마 판도에 있는 교회들에게 쓴 것이다. 그러한 경우라면, 누구라도 로마 교회에 대한 박해가 더 극심해질 것을 우려하여 실제의 지명을 쓰지 않았을 것이다.
이 서신이 기록된 시기에 대해 반즈(A. Barnes)는, "이 서신이 기록된 시기를 확실하게 결정할 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 서신 자체는 물론, 그 밖에 어떤 자료도 없다. 라드너(Ladner)는 63년이나 64년, 또는 늦어도 65년으로 추측하고, 미카엘리스(M-ichaelis)는 60년경으로 추측한다. 만일 바벨론에서 쓴 것이라면, 아마도 58년과 61년 사이의 어느 시기일 것이다."( A. Barnes, p. 1394 )라고 하였 다. 그 밖에 헌터(A. M. Hunter)는 62년경,( A. M. Hunter, p. 80. ) 파이네(S. W. P-aine)와 켈리(J. N. D. Kelly)는 64년경,( S. W. Paine, p. 1443. J. N. D. Kelly, pp. 47-48. ) 블럼(E. A. Blum)은 62-64년경,( E. A. Blum, p. 212. ) 훼아톤(D. H. Wheaton)은 63-64년경,( D. H. Wheaton, p. 1237. 63-64년경. ) 카핀(B. C. Caffin)과 로벋손(A. T. Robertson)은 65년경,( B. C. Caffin, p. ix. A. T. Robertson, p. 72. ) 고펠트(L. Goppelt)는 65년과 80년 사이의 어느 시기( L. Goppelt, p. 47. )로 추측하고 있다.
특히, 켈리(J. N. D. Kelly)는 64년에 기록되었다고 주장하고 싶은 생각이 들도록 만드는 일련의 사건들이 있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 본서의 수신인들―또는 그들 중 대다수―이 최근에 개종한 자들인 것 같다. 곧 제2 세대의 기독교 신앙에 대한 암시는 전혀 없다. 아나톨리아(Anatolia:옛날의 소아시아이자 현재의 아시아 터어키)의 숱한 공동체들에 공존하던 이러한 상황은 십중팔구 1세기 말경보다는 이른 시기에 전개되었던 것 같다. 둘째, 그들이 준수한 교회―당시의 교회에서는 연령에 있어서도 연장자들인 장로들이 감독권을 쥐고 있었다.―질서의 유형은 특히 우리가 성직자의 정확한 계급 제도가 소아시아에서 얼마나 급속하게 발전되었던가를 기억할 때(이그나티우스의 서신을 참조하라.), 비교적 미발달 상태에 있었던 것 같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본서의 기록 시기를 늦게 잡으면 잡을수록, '함께 장로 된 자'(5:1)라는 베드로의 겸손한 자아 묘사는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이 된다. …… '미래의 소망과 현재의 실현을 긴밀히 투시하는 사상의 종말론적인 구조'(F. L. Cross), 윤리의 종말론적인 규정, 그리고 곧 나타날 영광에 대한 환희적 기대는 모두 초기의 표정들이다.
셋째, 본서의 신학은 명백하게 원시적인 색채를 띠고 있다.( J. N. D. Kelly, pp. 47-48. )
그런데 발(C. S. Ball)은 62-64년보다 더 이른 시기로 보아야 한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은 근거를 들고 있다.
첫째, 서신의 언어는 박해가 실제적이라기보다는 박두하고 있다는 것과 여전히 가능한 한 정부에 대해 충성하도록 충고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둘째, 초대 교회에서 아주 확고하게 믿었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해 여러 번 언급하고 있다(1:5, 7, 13, 2:13, 4:13, 5:1, 4).
셋째, 교회 임원들로는 장로들만 언급된 것으로 보아 조직이 아직도 매우 단순한 때이다.
넷째, 아마도 가장 강력한 논증은 "베드로전서의 신학이 교회의 초기 신학"( W. Barclay, p. 140. 더욱 자세한 내용은 Ⅰ. '저자'를 보라. )이라는 점이다.( C. S. Ball, p. 247. )
서신의 언어가 실제적인 박해를 암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박두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고 하는 첫째 견해 외에는 그대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나머지 견해들의 요지는 켈리(J. N. D. Kelly)의 것들과 같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28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