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과 철학 중간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기술과 철학 중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단순히 보는 활동 이상의 것.
관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찰자가 자신이 본 것을 그의 지식 속에 포함시키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관찰이 세계에 관한 지식의 원천이라는 믿음
세계에 대한 우리의 관찰적 경험이 우리가 생존하고 소통하는 일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의 원천이라는 믿음
* 관찰의 구분
관찰은 관찰된 어떤 것 혹은 감관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주어진 것
첫 번째 의미의 관찰을 표현하는 문장이나 주장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 때 관찰 결과를 기록한 진술을 우리는 관찰보고 혹은 관찰진술(observational statement)이라고 부름. 이러한 의미의 관찰은 가설, 법칙, 혹은 이론에 증거를 제공하는 과학적 문맥의 문장을 말함
물리학과 같은 엄밀히 과학에서의 관찰은 측정 장비를 이용한 측정 결과
관찰은 기본적으로 우리의 감각기관에 의한 것이지만, 우리 감각기관에 의한 관찰은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반응이 각기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재현이 어려움.
관찰로부터 획득된 정보의 정확성, 질과 유용성을 증진하기 위해서 스팩트로미터, 오실로스코프, 카메라, 망원경, 온도계 등과 같은 다양한 측정 장비를 사용
* 객관성(Objectivity)
객관성은 어떤 사실, 사실에 관한 믿음이나 진술이 갖는 속성
어떤 명제가 어떤 관점, 지평, 편견 등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알려질 수 있을 때, 우리는 그 진술에 객관성을 부여.
\"구스타프 말러는 아홉 개의 심포니를 완성하였다\"는 진술은 객관적으로 참인 진술. 그것이 참임은 그것을 말하는 사람과 독립적으로 그것과 대응하는 사실에 의해서 보증됨.
\"구스타프 말러는 역사상 위대한 작곡가이다\"는 객관적 진술이 아님. 그것을 보증하는 객관적 사실이 없기 때문. 주관적 미적 가치에 따라서 어떤 사람은 그것에 동의할 수 있고, 어떤 사람은 그것에 동의하지 않음.
객관성은 주관성과 정반대의 것으로 여겨짐. 여기서 주관성은 사람들의 믿음, 가치판단이 그들이 처한 개인적 상황과 이해를 반영한다는 속성
* 객관성의 의미
객관성은 실재성을 의미 : 객관적인 것은 실재하는 것을 말함.
실재론자들에게 객관적인 것은 앎 혹은 의식의 대상인 실재
관념론자에게 객관적인 것은 앎의 주체인 우리의 마음.
경험론자에게 우리의 감각적 경험은 객관적, 그것은 감각 작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재를 표상하기 때문
경험론을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감각적 지식이 믿을 수 없는 것이며, 지식의 객관성은 지성적인 인식의 대상 혹은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도식에서만 발견됨
객관적이라는 말은 가치중립적이라는 의미로 사용. 객관적 진술이란 세계에 대한 가치중립적 주장.
* 관찰의 객관성에 대한 두 입장
관찰이 객관적이라는 것은 관찰이라는 경험적 지각이 세계의 실제 모습을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
그럴 수 있기 위해서는 우리의 관찰에 어떤 선입견이나 편견, 관점, 지평, 이론이 개입될 여지가 없어야
그러한 관찰을 기록한 관찰 보고는 참이거나 적어도 근사적으로 참.
관찰이 모든 인식의 원천이라고 믿었던 경험주의 철학자들은 관찰이 이런 의미에서 객관적일 수 있다고 믿음
칸트와 같은 철학자는 우리의 관찰에는 관찰자인 인간에게 선험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인식의 카테고리가 작용한다고 믿음. 따라서 우리의 관찰 지각은 우리 인식 주관의 카테고리를 넘어서 세계의 실제 모습을 반영할 수 없다고 결론 지음
* 객관적 관찰의 의미
전통적 의미의 \'객관적 관찰\'이라는 말은 적어도 두 가지 의미를 가짐
첫째, 관찰이 세계에 관해 주장된 진리의 확인된 원천이며, 관찰보고가 사람들이 각각 가지고 있는 이론적 입장과 무관하게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것
\'경험론적인 인식론적 토대주의\' : 관찰이 모든 진리의 객관적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것.
둘째, 객관적 관찰은 가설 선택을 위한 기준이 됨.
과학은 이론을 통제된 실험을 통한 테스트에 부과함으로써 관찰을 가설선택의 기준으로 삼음
과학은 가설을 수락하거나 거부하는 그것의 방법이 비자의적이고 비주관적이라는 의미에서 객관적이라고 생각됨
* 과학의 객관성에 대한 믿음
과학에서의 관찰이 객관적이라는 믿음에 의존
과학의 정확성과 성공은 과학이 탐구하는 실재에 대한 관찰의 정확성과 객관성에 일차적으로 기인한다는 생각
\"과학적 지식은 입증된 지식이다. 과학이론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경험적 사실에서 엄격한 방법을 통해서 이끌어 내어진다. 우리가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고, 만질 수 있는 것 등이 과학의 기초가 된다. 과학에는 개인적인 편견이나 선호, 사변적인 상상력이 개입 될 여지가 없다. 과학은 객관적이다. 과학적 지식은 객관적으로 증명된 지식이기 때문에 믿을 수 있는 지식이다.\"
* 소박한 귀납주의
소박한 귀납주의자들의 관찰에 대한 두 가지 기본적 가정
첫째는 과학이 관찰과 더불어 시작된다는 것이고,
둘째는 관찰이 과학적 지식의 굳건한 토대를 마련해 준다는 것
과학적 지식에 객관성을 보증해 주는 것은 관찰이라는 것.
관찰자가 과학자로서 제구실을 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이고 온전한 감각기관을 가지고 아무 것에도 사로잡히지 않은 채, 그가 보거나 듣거나 한 것을 기록해야
이렇게 기록된 것을 관찰진술이라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사람의 감각적 경험을 통해서도 그것이 참임이 확증될 수 있는 진술
관찰진술의 목록을 근거로 하여 보편진술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추리, 특수한 사실로부터 일반적인 사실로 나아가게 해주는 추리를 귀납추리라고 함.
그러므로 과학적 지식은 관찰진술로부터 귀납추리에 의해 확립됨
소박한 귀납주의는 17세기에 갈릴레오나 뉴턴과 같은 위대한 과학자들이 일으켰던 과학혁명기를 거치면서 형성
과학혁명의 결과로서 일반화되기 시작한 과학에 대한 뿌리 깊은 신념
이 신념에서는 갈릴레오의 과학적 태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갈릴레오는 관찰과 실험을 도입함으로써 전통적 인 태도와 결별하였다. 그는 관찰과 실험에 근거한 사실만을 사실로서 간주하고, 사실은 선입관적 관념과 무관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관찰 사실이 기존의 우주관과 일치할 수도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갈릴레오의 입장에서 볼 때 중요한 것은 사실을 받아들여 사실과 부합하는 이론을 구성하는 일이었다.\"

추천자료

  • 가격12,6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05.23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