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생명과학대학의 농업과학기술 교육의 실태와 발전전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농산업의 변화
1. 지식기반사회의 뜻과 의의
2. 지식기반사회의 특징
3. 지식기반사회에 따른 사회적 변화
4.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른 농업의 변화
가. 농산물 시장개방의 확대
나. 농업과학기술의 첨단화
다. 경지면적의 변화
라. 농기계 이용의 증가
마. 농촌 및 농업 정보화
바. 농업생산의 변화
사. 농산물 유통구조의 변화
아. 환경농업의 전개

Ⅲ. 농업과학기술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1. 농학계 대학 현황 및 학사 행정 구조 조정 현황
2. 농학계 대학의 학생 요인
3. 농학계 대학의 교육 내용 요인
4. 농학계 대학 교수의 연구 활동

Ⅳ. 농업과학기술 교육의 향후 전망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학원 중심 대학으로 나아가려는 교육 방향에 크다란 의문을 던지고 있다. 이것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이 대학원 중심 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학사 과정 정원을 줄인 결과에서 오는 것일 수도 있고, 대학원을 졸업하여도 그에 따른 인센티브나 메리트가 별로 없다는 현실적인 이유에서 오는 것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지 간에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이 대학원 중심 대학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될 중대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농업이 우리 나라 산업 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화되기 때문에 농생대 학사 과정 학생 수를 줄이고 대신에 대학원의 정원을 늘여야 한다는 발상이 현재의 사태를 초래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대학원 학생을 학보 하기 위해서는 학사 과정의 정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지방 대학 출신자들로 대학원 학생을 채워야 한다는 생각은 우리 나라 현실에서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우리 나라와 같이 대학이 서열화되어 있는 현실에서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는 능력과 관심을 가진 학생은 상위권 대학 출신들에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상위권 대학들은 모두 대학원이 개설되어 있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에 진학할 학생 수는 제한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서울대학교 대학원이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심각한 현실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의 좁은 인력 시장에서 대학원 졸업생들을 요구할만한 인력의 수요처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대학원을 졸업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취업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히 대학원 진학자가 줄어들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대학원 중심 대학에 대한 비전을 재고해보아야 할 필요도 있다고 판단된다.
넷째, 과거에는 연구비가 부족하여 연구를 할 수 없다는 말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이 수주하는 연구비가 과거에 비하여 크게 개선되었다. 연구비 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연구비를 제공하는 주체나 농업과학기술 교육의 수혜자인 학생, 산업체, 나아가 일반 국민들까지도 이에 상응하는 연구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것은 앞으로 농업과학기술 교육의 핵심 요소가 될 학생의 유치와 연구비 수혜에 크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일반 국민들이나 예비 학생들의 경우에 농업과학기술 발전에 관련된 정보를 주로 매스컴을 통하여 접하게 됨으로 이들 매체를 통한 대외적인 홍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Ⅴ. 결론
농업생명과학대학은 1904년 설립된 이래 우리나라 농학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왔다. 유능한 인재를 길러 우리나라 농학계는 말할 것도 없고 국가의 다른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1990년대 초반까지도 확장 일로를 걸어왔지만 1990년대 후반에 서울대학교가 대학원 중심 대학으로 그 발전의 방향을 정함에 따라 농업생명과학대학도 이에 맞추어 대학원 중심 대학을 지향하면서 학사 과정의 정원을 줄이고 대학원의 석사·박사 과정의 정원이 크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대학원 석사, 박사 과정에 지원하는 학생 수가 현저히 줄어 대학원 학생 수가 정원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이것은 대단히 심각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학생이 없으면 교육이란 존재할 수가 없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원인을 구명하고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학에서 가르치는 교육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몇 개 학과의 교과 내용을 분석하였고 학회 활동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에는 농학계 관련 학회가 44개에 이를 정도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어 대학 교육 내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교과 내용도 과거에 비하여 많이 변화되었다. 그러나 앞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발전하여 가는 산업 사회에 맞추기 위해서는 산업 현장의 발전에 맞는 교과 내용으로 끊임없이 개정할 필요가 있다.
교수들의 연구 활동은 연구비 수혜가 크게 증가함과 아울러 연구 성과도 크게 개선되었다. 앞으로 농업과학기술 교육이 끊임없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수들이 보다 더 현실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창출하고 이를 교과 내용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산업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업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홍보도 광범위하게 전개하여 농업과학기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졸업생들에 대한 취업 기회도 확대하여야 하며, 대학원 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수혜 기회도 넓혀서 학생들이 대학원 진학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Taneda, Tukio(1965). 農業土木學. 東京 : 理工圖書, 昭和40.
고재근, 유한열, 정창주(1975). 농공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고정삼(1987). 식품가공학. 서울: 아카데미서적.
김상순(1963). 식품가공학. 서울: 수학사.
김은실, 김병기, 정철원(2000). 식품가공학. 서울:문지사.
서울대학교 농과대학(1976). 수원농학칠십년.
송해균 외 공저(1987). 농업교육학. 서울대학교출판부.
이은웅, 이종훈(1988). 재배학범론. 서울: 한국통신대학교출판부.
이정재 외(2002). Introduce to : Natural Resource Engineering. 서울대학교.
정재동 외(1995). 최신 생물공학: 식물편 I.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정재동 외(1996). 최신 생물공학: 식물편 II.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정철영, 이용환, 나승일(2002). 21세기 지식기반 농업을 위한 농업인력 육성방안.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조재영, 이은웅(2000). 재배학범론. 서울: 향문사.
천계 송해균 교수 정년퇴임기념사업추진위원회(1999). 농업교육 100년의 발자취.
최범렬(1964). 재배학범론. 서울: 향문사.
한국농공학회지(2000∼2002). Vol 42. 1 ∼ Vol. 44. 3
한국농업교육사편찬위원회(1994). 한국농업교육사. 대학교과서주식회사.
한국식품과학회지(2000∼2002). Vol 32. 1 ∼ Vol. 34. 3
한국육종학회지(2000∼2002). Vol 32. 1 ∼ Vol 34. 2
  • 가격2,9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3.07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