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문화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문화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미셸 푸코의 문화사
 1. 푸코의 역사 접근 방법
 2. 권력과 제도
 3. 몸과 섹슈얼리티
 4. 푸코 이론의 수용과 비판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놀로지는 일부 고대 철학자들과 중세 수도사들에게서 그 전형을 볼 수 있다. 말년에 그는 개인이 행사하는 지배의 테크놀로지에서 얼마나 개인이 자신에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역사, 즉 자기의 테크놀로지로 관심이 기울었다고 고백했다.
를 고전고대의 '삽입 모델(penetrative model)'에서 기독교 시대의 '발기 모델(erectile model)'로 전환시켰고, 이와 동시에 영혼과 살에서의 음욕의 무의식적 충동에 대한 파놉티콘적 감시가 수반되었다는 것이다.
11세기 후반 그레고리우스 개혁 이후, 성윤리의 엄격한 집행과 많은 금기의 부과와 같은 변화가 일어났다. 성직자에게는 독신을 강요했고, 평신도에게는 결혼을 허용하되 거기에 족외혼적 일부일처제, 결혼의 불가해소성, 많은 금기 등과 같은 갖가지 장벽을 설치했다. 유일하게 합법적으로 인정된 부부 관계는 쾌락을 배제한 출산만을 목적으로 해야 하며 그 밖의 '결혼 남용'에 대해서는 많은 금기가 부과되었다.
이와 동시에 '살의 죄'가 7죄종(罪宗) 가운데 하나인 음욕죄에 통합되었다. 살/영혼의 대조가 강화되고 살의 의미는 강생 일화에서 그리스도가 취한 인성으로부터 타락한 살의 의미로, 육체의 의미로부터 섹스의 의미로 변했다. 또한 '살의 죄'인 음욕은 악마의 소관이 되었다. 예컨대 12세기 '악마의 딸들'에 관한 예화에서 막둥이 음욕의 딸은 창녀가 되었다.
13세기에는 인간의 자연적 욕망에 대해 긍정하는 담론이 등장했다. 토마스 아퀴나스 같은 스콜라 철학자들은 카타르파 이단자들이 주장하는 영혼과 육체의 이원론에 맞서 이 양자의 '육체적' 결합을 주장하면서 자연에 대한 복권을 시도했다. 자연에 대한 이러한 재평가는 14~15세기 인구 감소의 위기와 겹치면서 소도미ㆍ동성애ㆍ자위 등처럼 출산을 초래할 가능서잉 없는 '반자연적 범죄(crime against nature)'에 대한 혹독한 비난으로 이어졌다. 반면에 이성간 성교를 통한 '자연적' 성범죄(예컨대 단순 간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자연의 행위인 결혼의 안정성을 해치는 성범죄(예컨대 간통)에 대해서는 가차 없는 태도를 취했다.
⑤ 결론
푸코의 몸과 섹슈얼리티 분석은 상식적인 모든 요소를 낯설게 만들고 우리 몸이 불변의 본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는 모든 주장들에 도전을 한다. 섹슈얼리티에 관한 푸코의 사상은 성적 선택과 선호의 문제와 정체성 사이의 관계를 근본부터 다시 질문하도록 요구한다. 그의 이론은 또한 정체성의 문제 자체를 재정립하는 데도 영향을 미쳤는데, 이를 통하여 우리는 정체성을 본질주의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수행적이고 실천적인 관점에서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푸코는 제도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권력관계가 우리 몸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고찰한다. 그러나 이 과정 속에서 몸을 단순히 수동적객체로 전락시키지 않는다. 그는 훈육적통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설명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저항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4. 푸코 이론의 수용과 비판
지난 20여 년 간의 고대사 학자들 사이에 벌어진 ‘푸코 논쟁’은 기본적으로 푸코 이론의 수용과 비판이란 특징으로 압축된다. 첫 번째는 적극적인 지지입장을 표하는 역사가들이 보인 경향으로서 이들은 푸코의 이론을 수용하여 연구 주제의 폭을 확대하거나, 또는 역사가로서는 부족할 수밖에 없는 푸코가 다루지 못한 사례들을 전문 사가의 풍부한 정보로 보완하는 것이다. 두 번째 유형은 비판적입장인데, 이 경우에도 비판의 대상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구분된다. 먼저, 푸코가 놓쳐버린 사료들에 주목하여 사료선별의 자의성이라든가, 고대와 현대의 차별성에 대한 간과 문제 등을 지적하는 경우이다. 그 다음에 이론적 측면의 비판이 있는데, 이것은 페미니스트 역사가들에게서 가장 강력하게 제기된다. 그러나 페미니즘은 푸코 이론에 비판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양자 사이의 상호 영향은 고대사 연구에 새로운 자극과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Ⅲ. 맺음말
“현재의 심장을 겨누다(Taking Aim at the Heart of the Present)”
1984년 57세라는 비교적 이른 나이에 푸코가 사망했을 때, 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는 짧은 헌사를 바치며 필생에 걸친 푸코의 작업을 이렇게 정리했다.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푸코의 저작은 새로운 문화적 역사의 접근방법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서있다. 다른 길을 통하여 여행을 하면서도 푸코는 모든 사회사에 내재하는 원리 자체, 즉 사회가 연구되어야 할 실재라는 것을 의문시한다. 역사가들의 다수는 푸코가 사회사의 틀과 얼마나 결별하였는지 인식하지도 못한 채 푸코의 역사 저술 중 한 두 개에서 영향을 받아왔다. 푸코의 저작이 사회사와 경제사를 괴롭히던 “이제는 명백한 문제점들”에 대한 반응이었다는 것은 아마도 사실일 것이다. 그렇다면 역사가들에 대한 푸코의 도전을 광범위하게 고려하여 본다면 푸코의 작품이 역사 서술에 끼친 기여는 물론 문화적 역사의 곤경이나 교차로에 대해서도 무엇인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린 헌트(조한욱 옮김).『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소나무.1996
차영길.「서양고대사에서 푸코의 성담론의 수용과 비판」.『역사와 경계』56.2005
로버트 워드나우 외(최샛별 옮김).『문화분석』.한울아카데미.2003
크리스 호록스(이지영 옮김).『푸코(Foucault)』.김영사.2003
리디아 앨릭스 필링햄(박정자 옮김).『미셸 푸코』.도서출판 국제.1995
김경현.「고대 로마의 동성애」.『역사와 문화』4.2001.p.34~76
고원.「미셀 푸코와 몸의 역사」.『서양사론』104.2010.p.89~107
유희수.「특집논문 : 서양역사 속의 몸과 생명정치 ; 중세 말 육체와 성에 대한 교회의 이념과 규율 메커니즘」.『한국서양사학회 서양사론』제104호.2010
양운덕.「그리스 성 담론에 나타난 에로스와 윤리적 자기 형성 - 「향연」을 읽는 상이한 방식-Nussbaum과 Foucault의 경우 -」.『철학연구』제39집.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연구.2010
미셸 푸코의 페이스북 : http://ko-kr.facebook.com/mfoucault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5.28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