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인력, IT인력]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청년실업자,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실업계고등학교,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유럽연합(EU),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싱가포르,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북한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기술인력, IT인력]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청년실업자,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실업계고등학교,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유럽연합(EU),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싱가포르,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북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청년실업자
1. 청년실업자를 위한 IT교육 2만 명 실시
1) 취업효과가 우수한 IT 우수교육기관을 통한 전문교육 확대
2) 대졸자를 중심으로 해외 유수 IT교육기관에 파견교육 실시
3) 일본취업 지원 정보화 교육 실시
2. 청년 인턴제 1만 명 추가 실시
1) 지원인원
2) 지원내용
3) 지원절차
4) 시행시기
3. 청년실직자 재취직 훈련 1만 명 확대 실시
1) 훈련인원
2) 훈련내용
3) 훈련기간
4) 지원내용
5) 지원절차
6) 시행시기
4. 장기실업 청년의 취업(2만 명 추가) 지원
1) 지원인원
2) 지원내용
3) 지원절차
4) 시행시기

Ⅱ.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실업계고등학교

Ⅲ.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유럽연합(EU)
1. 정보통신인력양성에 대한 EU의 정책방향
2. IT 교육 인프라 구축
1) EU의 Commission의 Strategy for Jobs in the Information Society에 따른 교육인프라 구축 계획
2) 아일랜드의 Schools IT 2000
3) 영국의 Computers for all
4) 스웨덴의 National Action Plan for IT in Schools
3. 외국 IT인력 유치
1) 독일
2) 아일랜드
3) 영국
4) 스웨덴
4. 교육 및 직업훈련
1) 독일
2) 스웨덴
3) 포루투갈

Ⅳ.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싱가포르
1. 인력 증가율(Manpower Growth)
2. 이직률(Turnover)
3. 업무수행능력(Top Technical and Non-technical Skills)
1) 기술관련 업무분야(Technical Skills)
2) 부상하는 전문기술(Emergent Skills)
3) 비기술 관련 업무분야(Non-Technical Skills)
4. 교육․훈련(Training)
5. 핵심 정보기술 자원 프로그램(CITREP)
6. 아웃소싱(Outsourcing)
7. 자격 인증(Professional Certification)
8. 경력과 업무환경(Career Issues and Work Environment)

Ⅴ.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북한

참고문헌

본문내용

산업인력개발부 부장인 토마스 예오는 \"조사결과는 IT 인력 및 전문기술의 중요한 격차를 지적하고 있다. 산업계의 인력요구와 실제 주요인력의 개발이 일치시키기 위해 NCB는 주요기술과 새로이 부상하는 IT전문기술 훈련을 CITREP에 포함시켜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ITREP에 대해 NCB는 모든 IT 훈련 프로그램에 대해 훈련비와 연구비의 50%를 지원해 주고 있다.
CITREP에는 69개의 IT 훈련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1,320명의 IT 전문가 훈련을 위해 4백만 싱가포르$를 기금으로 조성하였다.
NCB는 CITREP를 통해 중반까지 IT 전문인력 2,500명에 대해 100개의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6. 아웃소싱(Outsourcing)
조사대상기관의 40%가 자신들의 IT 인력 수요를 관리하는 업무를 외부에 위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웃소싱은 IT 사용자 조직(45.2%)과 IT 공급자(31.3%)로 구성된 민간부문보다는 공공부문(79.2%)에서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웃소싱되는 업무에는 Help Desk 서비스, 데이터센터, 컴퓨터 운용, 유지보수, 프로그래밍 등이 포함된다. 이 중 프로그래밍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업무가 싱가포르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IT 인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아웃소싱의 경향은 현재의 7.7%에서 \'99년에는 12.6%로 증가될 전망이다.
조사결과 조직(CIOs)은 주로 다음의 이유 때문에 아웃소싱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보다 전략적인 업무의 처리를 위해서는 IT 인력을 재배치할 필요가 있어서, 조직내의 IT 인력의 전문성이 불충분해서, 새로운 IT 인력을 채용하기가 어려워서 등의 이유가 그것이다.
7. 자격 인증(Professional Certification)
조직(CIOs)과 IT전문가의 72%가 사회적 인식의 제고는 물론 전문성의 표준이 정립되어야 하는 등 자신들의 전문성 혹은 직업이 인증되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조직의 76%와 IT인력의 68%가 IT 전문기술의 인증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경력과 업무환경(Career Issues and Work Environment)
IT 인력의 약 22%는 기술적 혹은 관리적 경력 어느 것에도 관심을 나타내지 않았다. 자신들의 선호를 나타낸 사람들 중 44%는 관리적 경력을 선호한 반면 34%는 기술적 경력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싱가포르 IT 인력의 75%는 기술적 경력을 가지고 있다.
IT 인력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업무 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은 IT 분야에 근무하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볼 때 IT 분야에서 경력을 쌓는 것이 전망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정보기술인력(IT인력)과 북한
현재 일반적인 북한 IT관련 인력에 대한 규모와 수준에 대한 평가에서는 보통 많은 수의 인력이 존재하며 그 자질 역시 노동력으로서는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남한의 관련업계는 북한의 인력규모에 대해서 최소 10여명에서 1천 여 명, 또는 10만 여 명까지도 제시하고 있으며 그 편차는 매우 심하다. 이는 관련 자료에 대한 정확한 분석 없이 대략적인 접근으로 인한 무분별한 인력 추측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인력에 대한 수준 평가 역시 단순히 몇 몇 소프트웨어 개발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몇 몇 뛰어난 전문가를 보통의 관련 인력 전체의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역시 객관적인 평가 자료의 부재로 인한 남한의 관련 기업의 성급한 판단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다음에서는 북한 IT관련 인력의 규모와 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통일부 내부자료에 따르면 한 해 동안 북한의 주요대학에서 배출하는 소프트웨어 관련학과 졸업생은 평균 2000여명으로 추산되나 이들이 졸업 후 취업할 조선컴퓨터센터와 평양프로그램센터의 현재 총 인력이 각각 800여명, 150명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약간의 의문점이 생긴다. 즉, 실제 북한에서 활동중이며 가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관련 인력은 남한에서 평가하는 그것보다 상당히 저조하리라 평가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 일반 주민의 노동력에 대해서 ‘우수하다\'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것은 단순히 11년의 의무교육에 대한 ‘기대감’으로 평가되어 되는 것으로 간주 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관련 인력에 대하 우수하다는 평가 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서의 ‘추측성 기대감’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북한 고등교육기관의 교과내용 중 41.2%가 사상교육과 관련된 내용이라는 점과 정규교육기관 외의 사교육(私敎育) 기관이 전무한 가운데 비효율적인 과학기술 정책, 낙후된 훈련설비 및 기술, 현대적 첨단기술지식을 갖춘 강의인력의 부족, 노력동원 등으로 인한 교육훈련시간의 노동력의 질적 수준이 높지 못할 것이라는 평가도 이루어 지고있다.
또한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북한은 현재 바세나르협정에 의해 486급 이상의 컴퓨터와 관련 부품의 반입이 금지되고 있다는 현실은 교육생과 피교육생 모두에게 가장 결정적인 한계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남한의 경우 4년제 대학 소프트웨어 관련학과 졸업자의 경우 취업 후 최소 6개월의 훈련과정과 2~3년간에 걸친 실무 과정을 거쳐야 필요인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나 북한의 경우에는 관련 소수 몇몇 기관 외에 이러한 과정을 제공할 기관 및 사교육 시설, 실제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소가 없음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현주, IT실업계 고등학교 발전방향 및 교과과정 개편연구, 정보통신부, 2003
김현아, 싱가포르 IT산업 인력현황, KOTRA, 2006
김상훈, 북한 IT 산업 평가와 남북경협에 주는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02
이요행 외 1명, IT 산업의 직업변동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08
재정경제부, 청년 실업자의 IT 인력화 및 40-50대 중장년층을 위한 보완실업대책, 기획재정부, 2001
KDI 경제정보센터, IT인력 확보와 사업환경 개선이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1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