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터러시, 문식성, 독해발달, 학습구조, 언어습득, 전통적 교육]리터러시(문식성)의 독해발달, 리터러시(문식성)의 학습구조, 리터러시(문식성)의 언어습득, 리터러시(문식성)의 전통적 교육 분석(리터러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터러시, 문식성, 독해발달, 학습구조, 언어습득, 전통적 교육]리터러시(문식성)의 독해발달, 리터러시(문식성)의 학습구조, 리터러시(문식성)의 언어습득, 리터러시(문식성)의 전통적 교육 분석(리터러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리터러시(문식성)의 독해발달

Ⅲ. 리터러시(문식성)의 학습구조

Ⅳ. 리터러시(문식성)의 언어습득

Ⅴ. 리터러시(문식성)의 전통적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그것이 표방했던 바와 같은 ‘열린’ 교육이 아니라 문화적으로 제한된(culture bound) 교육이었다는 점 때문이다. 개인의 통제, 학생 중심 학습, 학습자의 동기 유발, 목적 있는 글쓰기, 개인성 등은 어린이 중심의 가족에서 자라난 중산층 어린이의 도덕적 기질과 문화적 포부에 부합하는 것일 뿐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밖에도 진보주의 교육이 전통주의 교육에 비해 학생들의 동기 유발을 썩 잘 한 것도 아니었다는 점, 교사의 역할을 전문가로 향상시키기는커녕 수업 운영자 정도로 축소시켜 버렸다는 점, 학교 바깥 세계에서 학생들에게 이미 부여된 불평등을 재생산했을 뿐이라는 점 등은 진보주의가 비판받은 주요 내용이었다.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은 전통주의자들에게서도 나왔는데, 이들은 학생들이 ‘기본’(basics)도 모르고 학교를 졸업한다고 불평하면서 전통적인 문법과 정전의 교육으로 돌아가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E.D. Hirsh의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 주장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진보주의 교육이 전통적 교육에 행했던 비판이 의미 있는 것이었다는 점, 그리고 그것을 더 급진적으로 밀고 나간 것이 탈진보주의 교육이라는 점을 인정할 때, 전통적 교육으로 돌아가자는 보수주의자들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최근에 영어권 국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문식성 교육(literacy education), 구체적으로 비판적 문식성 교육(critical literacy education)에 대한 연구는, 근대 사회로부터 벗어나고 있는 현대, 즉 탈근대 사회의 문화 속에서 영어교육이 어떻게 새롭게 자리매김 되어야 하는가를 고민하는 가운데 나온 문제의식이라 할 수 있다. 비판적 문식성에 대한 연구는 위에서 본 탈진보주의자들의 주장과 맥락을 같이 한다. 여기서 말하는 문식성은 기술(skills)이나 문학성(literariness)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언어 텍스트가 갖는 사회성과 그것의 사회적 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 수사학(rhetoric), 담론 분석(discourse analysis) 등의 형태로 진행되고, 이러한 관점이 영문학 연구에 영향을 미치면서, 영어권 국가의 영어영문학과 교육은 영어학과 영문학의 이분법을 상당한 정도로 극복해 왔고, 이는 초중등학교에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에도 영향을 미쳐 왔다. 비판적 문식성은 이른바 영어/영문학의 이분법을 뛰어 넘는 ‘텍스트 수용 및 생산 능력’ 전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연구는 학교 체제와 커리큘럼을 통한 이 능력의 교육이 어떻게 해서 사회적 힘과 개인적집단적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불평등을 만들어 내는가에 관심을 갖고, 이의 극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즉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문학 연구를 비판하며 등장한 수용자 중심의 문학 연구와 맞물려 학생(독자)의 읽는 능력에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논의 과정이 우리에게 흥미롭게 여겨지는 것은 국어교육/문학교육을 둘러싼 사정도 영어교육을 둘러싼 논의들과 별반 다를 바 없기 때문일 것이다. 제 4차 교육과정기까지의 문법 중심의 국어교육과, 정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지금까지의 문학교육은 전통적 교육과 통하고, 제 5차 교육과정 이후 실제적인 말하기듣기읽기쓰기 능력을 중시하는 국어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진보주의 교육과 통한다. 문학교육의 경우 제 5차 교육과정에 명목상으로는 학습자 중심으로 교육한다고 나와 있지만 실제 학습 활동이나 교육 방법, 제재 구성 등에는 그러한 원칙이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통적 교육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영어권 국가의 자국어교육과 일맥상통할 수밖에 없는 것은 한국에서의 언어학과 문학, 그리고 교육학에 대한 연구가 미국의 영어학과 영문학 및 교육학 이론을 상당 부분 수용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참고문헌
심민희, 구조 중심 협동 학습이 초기 문식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2004
이문정 외 1명, 문식성 습득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이임순, 매체 문식성의 개념과 그 교육적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고려대학교, 2006
이차숙, 초기 문식성 평가 방법 탐색, 한국교육학회, 2007
이재기, 문식성 교육 담론과 주체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5
정혜승,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