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지역]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경제협력, 안보협력,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문화협력, 환경협력,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농업협력,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철도협력(BESETO)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북아지역]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경제협력, 안보협력,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문화협력, 환경협력,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농업협력,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철도협력(BESETO)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경제협력

Ⅱ.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안보협력

Ⅲ.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문화협력

Ⅳ.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환경협력

Ⅴ.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농업협력
1. 기본구상 : 「동북아 식량농업기구(FACO)」의 창설
2. 공동농업자원의 개발
3. 공동 농업기술 교류 및 개발
4. 지원(원조)
5. 국제협상에 대한 공동대응

Ⅵ. 동북아지역(동북아시아지역)의 철도협력(BESETO)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립이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즉 이지역의 대도시들 간의 새로운 관계정립을 위해 도시간의 협력포럼을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도시간의 관계정립에서는 국가간의 관계정립 시 요구되어지는 이데올로기의 차이 및 뼈아픈 역사적 경험을 극복해야하는 선결조건은 부담이 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북아지역의 중심기능을 담당하게 될 도시들은 서울을 비롯하여 북경, 상해, 대북과 동경 그리고 극동러시아의 하바로브스크이다. 이들의 영문자를 조합하면 BeSeToKhaShaTai가 되므로 향후 구성될 포럼은 BeSeToKhaShaTai Forum 또는 동북아시아포럼으로 칭할 수 있다. 물론 이 포럼의 지역적 범위는 한반도 전체를 포함하여 북경지역, 상해지역, 대북지역, 동경과 규슈지역 및 극동러시아의 전 지역을 포괄하는 지역이 된다.
이지역의 인구는 7억 정도가 되며 GDP로 볼 때 70억 달러에 이르는 거대한 지역으로 현재에도 상당한 교류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포럼이 구성되게 되면, 보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질 수 있어 지역간 교류협력관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국경을 초월한 대도시간의 협력사례는 미국-캐나다 동북부에 위치한 캐스캐디아 메트로폴리탄 포럼(Cascadia Metropolitan Forum, 1996)에서 찾을 수 있다. 이 포럼의 노력으로 미국의 유진-포틀랜드-시애틀-밴쿠버(캐나다)를 연결하는 고속철도의 타당성조사가 착수되도록 합의하였고 상호호혜주의에 입각한 협의방안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점에서도 BeSeToKhaShaTai 포럼의 구성의 필요성을 국가간의 협의체 구성에 앞서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다만 포럼구성 시 NGO와 민간전문가 및 경제인의 참여가 이루어져 지방정부뿐만 아니라 민간의 교류활성화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BeSeToKhaShaTai포럼이 구성되면 TKR과 TCR 및 TSR과의 연결문제도 훨씬 진척이 빠르게 될 수 있다. 즉 동북아지역의 대도시간 포럼이 구성되면 북한도 변화의 수용노력에 편승하리라 기대되기 때문이다.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면 결과적으로 후진상태로 남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방정부간 새로운 관계정립을 위해 경기도의 선도적 역할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포럼이 진척이 되면 프랑스의 지리학자인 Gottman이 제안한 “Megalopolis”(J. Gottman, 1980, 1990)라는 개념을 국경을 초월한 지역적 범위에 적용하는 사례가 되어 “International Megalopolis”라고 명명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갑식 - 동북아 지역안보 패러다임과 북핵문제, 평화문제연구소, 2009
민영선 - 동북아지역 환경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2004
신용철 - 동북아 지역의 문화공동체 구상, 동양사학회, 2000
이효선 - 동북아지역 농업교류 협력의 전망, 한국북방학회, 2001
정진상 - 동북아지역 경제협력에 관한 연구, 한몽경상학회, 2007
정성호 - 동북아 지역 철도연결망의 현황과 전망, 강원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02
  • 가격6,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