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개념, 일본교과서,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대한민국임시정부,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진주만공습(진주만공격),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중일전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개념, 일본교과서,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대한민국임시정부,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진주만공습(진주만공격),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중일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의 개념

Ⅲ.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의 일본교과서
1. 만주사변
2. 중일전쟁
3. 태평양전쟁

Ⅳ.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의 대한민국임시정부

Ⅴ.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과 진주만공습(진주만공격)

Ⅵ.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과 중일전쟁(중국과 일본의 전쟁)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되풀이하면서 미일교섭을 계속해도 그 타결의 전망이 없다는 말을 했을 뿐 국교 단절 등에 관해서는 일체의 언급이 없었다. 일본은 1907년의 `개전에 관한 조약`에 가입하고 있었다. 이것은 개전 절차에 관한 국제간의 조약으로서 그 제 1조에는 \"체약국은 이유를 첨부한 개전선언의 형식 또는 조건부 개전 선언을 포함한 최후통첩의 성질을 가진 뚜렷한 사전통고 없이는 상호간에 전쟁을 개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승인한다.\" 라고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의 최후통고에는 이런 것들이 일체 없었으므로 만일 이것이 진주만 공격 이전에 전달되었다 해도 무통고 개전이 되는 것이다.
일본 시각 12월 8일 상오 4시 20분(하와이 시간 상오 8시 20분).
진주만의 하늘에서는 제 1파 공격에 이어 즈이가꾸에서 발진한 제 2파 공격이 개시되고 있었다. 이제 제 1파 공격을 당하기 전에 당당하게 떠 있던 군함들과 지상시설들은 이제 상처투성이가 되어 검은 연기를 토해내고 있었다. 그리고 지상포화는 이제야 서서히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이윽고 소류 소속의 급강하 폭격기대가 동해안으로부터 산을 넘어와 침입하기 시작했다. 제 5항공대의 수평폭격대원 고미 일등병은 리시버에서 들려오는 돌격 준비 신호를 듣고 아래를 내려다보았다. 고도는 800m. 예광탄이 여기저기서 솟아오르고 있다. 다음 순간 폭격대원들은 일제히 250㎏폭탄을 떨어뜨렸다. 순간 폭풍으로 인해 기체가 사정없이 흔들렸다. 800m상공에서 250㎏폭탄을 떨어뜨린다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었다. 기체의 동요 때문에 잠시 정신을 잃었던 그는 동료의 목소리에 정신을 회복하고 아래를 내려다보았다. 버어버스 만과 산 부근 일대가 온통 검은 연기로 휩싸여 있었다. 그는 카메라를 꺼내들고 이 광경을 촬영하기 시작했다.
한편 아까기 소속의 야마다 대위는 대공포화가 가장 치열한 곳으로 급강하했다. 포화가 심한 곳에 가장 중요한 목표물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가 급강하하고 있는 곳이 육상포대라는 것을 알게 되자 그는 기수를 돌려 태평양함대의 기함 펜실바니아를 습격했다. 그가 폭탄을 투하하자 엄청난 폭음과 함께 검붉은 구름이 솟아오르기 시작했다.
당시 진주만에는 애리조나, 네바다, 메릴랜드, 테네시, 캘리포니아, 오클라호마, 웨스트 버지니아, 펜실바니아 8척의 전함을 중심으로 유조선과 예인선을 포함한 94척의 함선이 정박하고 있었다. 그러나 2회에 걸친 공격으로 애리조나는 대폭발을 일으켜 선체가 두 동강이 났고 오클라호마, 웨스트 버지니아, 캘리포니아는 침몰, 네바다, 테네시, 펜실바니아도 침몰이나 다름없을 정도로 대파되었다. 이밖에도 순양함, 구축함 등의 피해가 많았으며 약 300대에 달하는 비행기를 잃었고 비행장을 비롯한 여러 군사시설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것은 진주만에 정박 중이던 태평양함대 94척의 18%였으며 전함은 100%손상을 입었다. 그리고 비행기는 88%가 피해를 입었다. 이것은 1차 대전 당시 미해군이 입은 손실을 훨씬 상회하는 숫자였다. 그리고 폭격으로 전사하거나 불타는 바다 속으로 뛰어드는 등 전사자는 2,403명, 부상자는 1,178명이었다.
이에 반해 일본측의 손해는 전투기 8, 함상 폭격기 15, 함상 공격기 5대등 도합 28대의 항공기를 상실했고 55명이 전사했다. 제 2파 공격이 진행되는 동안 아까기에서는 공격의 지속 여부를 두고 격렬한 토론이 벌어졌다. 토론의 결과 이미 만족할 만한 전과를 올렸다는 이유로 공격부대를 철수하기로 결정하고 일본시간 8시 30분부터 북북서 방향으로 퇴피행을 개시했다. 약 2시간에 걸친 세기의 대기습이었다.
하지만, 마지막 결정타를 안 날린 것은 일본 측의 최대 실수였다. 만일 미국이 진주만에 있던 유류 저장창고를 피격당했다면, 그들은 6개월에서 1년까지도 함정을 운용할 수 없을 뻔했다고 한다. 다행히 일본이 제 3파 공격을 안 펼친 덕에 그 위기는 비껴갔으니, 이것은 미국의 행운인가? 일본의 실수인가? 오히려 진주만 기습은 미국 국민의 저력을 발동시키는 기폭제가 되었고, 기습에서 대파하였던 함정들은 불과 몇 일만에 수리를 끝내 피해가 없었던 태평양 함대와 함께 반격의 칼날을 갈게 되었던 것이다.
Ⅵ.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과 중일전쟁(중국과 일본의 전쟁)
만주에는 러 ·일전쟁의 결과로 일본이 획득한 특수권익이 있었으나, 중국의 국권회복운동이 거세게 일고, 소련이 1928년부터 추진한 제1차 5개년계획의 진척 등이 관동군을 자극하여, 일본은 1931년 9월 만철선로 사건을 계기로 군사행동을 개시했다. 더 나아가 만주를 지배하여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를 내세워 만주국을 건설한다. 국제연맹은 중국 측의 제소에 따라 리튼조사단을 파견하고 그 조사보고서를 채택, 만주국을 부인하여 일본군의 철수를 권고하였으나, 일본은 이를 거부하고 1933년 3월 국제연맹을 탈퇴하였다. 이를 계기로 일본 정국은 정당내각에 종지부를 찍고 파시즘 체제로 전환하였다.
중국에서 1936년의 시안사건을 계기로 항일민족통일전선이 결성되자, 일본은 이를 응징한다는 명목으로 1937년 7월 전면적인 중일전쟁을 도발하였다. 일본군은 삼광작전 등 잔학행위로 중국인 1200만 명을 죽였으며, 중국 민족 그 자체를 적으로 한 전쟁이라는 느낌을 주었다. 그러나 전쟁은 장기화 되었고, 일본은 이러한 국면 타개를 위해 ‘태평양전쟁’으로 확대함으로써 돌파구를 찾으려 하였으나, 오히려 전황을 악화시켰다. 1945년 8월 15일 포츠담선언(Postdam Declaration)수락하며, 일본은 중국 국민정부에 항복하였다.
참고문헌
기세찬(2011) : 태평양전쟁 초기 연합국의 동맹전략과 대일작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김동명(2007) :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식민지 참정권의 전개, 한국일본학회
김명섭(2005) : 아시아-태평양전쟁과 한국의 주권회복, 청계사학회
오태영(2011) :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의 위상 변동,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조수연(2009) : 한·중·일 세계사 교과서를 통해 본 태평양 전쟁, 성균관대학교
허임(2006) : 세력전이 관점에서 바라본 태평양전쟁 원인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