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놀이(전통놀이) 특징, 민속놀이(전통놀이)와 남북한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서울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충청남도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축제, 향후 민속놀이(전통놀이) 현대화 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속놀이(전통놀이) 특징, 민속놀이(전통놀이)와 남북한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서울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충청남도민속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축제, 향후 민속놀이(전통놀이) 현대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민속놀이(전통놀이)의 특징

Ⅲ.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유형
1. 공기놀이
1) 수집기
2) 기둥 박기
3) 알 낳기
4) 알 품기
5) 알까기
6) 내리기
7) 솥 걸기
8) 불때기
2. 그림자 놀이
3. 눈싸움
4. 다리헤기
5. 딱지치기
6. 땅 빼앗기

Ⅳ. 민속놀이(전통놀이)와 남북한민속놀이
1. 남한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1) 강강수월래
2) 차전놀이
3) 농악놀이
4) 씨름
2. 북한의 민속놀이
1) 쾌지나칭칭나네
2) 시절윷놀이
3) 길쌈놀이
4) 꼭두각시
5) 그네뛰기
6) 널뛰기
7) 씨름
8) 활쏘기
9) 농악
10) 돌팔매놀이

Ⅴ.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서울민속놀이
1. 답교 놀이
2. 송파 산대놀이
1) 제 1과장
2) 제 2과장
3) 제 3과장
4) 제 4과장
5) 제 5과장
6) 제 6과장
7) 제 7과장

Ⅵ.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충청남도민속놀이
1. 거북놀이
2.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
3. 부여 은산별신제
4. 서산 볏가릿대놀이
5. 아산 줄다리기
6. 용대기 놀이
7. 임천충혼제
8. 청양 칠갑산 동화제․장승제․산신제
9. 총각대방놀이

Ⅶ. 민속놀이(전통놀이)와 축제
1. 축제의 정의
1) 현장성
2) 신명성, 가장성
2. 축제의 기능
3. 축제의 시간과 공간
1) 축제의 시간성
2) 축제의 공간
4. 축제의 전승
1) 구비전승
2) 행위전승
3) 현장전승
4) 환경전승
5. 축제의 전형
1) 마을굿
2) 별신굿
6. 축제의 분류
1) 시기에 의한 분류
2) 지역에 의한 분류
3) 담당층에 의한 분류
4) 목적에 따른 분류
5) 제의 형식에 따른 분류
6) 성에 따른 분류
7) 연행양식에 따른 분류

Ⅷ. 향후 민속놀이(전통놀이)의 현대화 방안
1. 민속놀이의 원형찾기
2. 놀잇감의 시각적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인식
3. 우리의 놀이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4. 앞으로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 상화에 따라서 전승
5. 축제의 전형
1) 마을굿
(부락제, 부락굿, 동제, 당제, 서낭제)
무당이 중심이 되는 형, 주민(농악대)가 중심이 되는 형, 제주가 중심이 되는 형(엄숙한 유교식 제사의식)
(1) 시기
정초, 단오
(2) 형식
제사의식 - 지신밟기 - 놀이 - 뒷풀이
(3) 제사의식
마을 수호신에게 제사
(4) 지신밟기
제사를 통해 신의 강림을 받은 마을 사람들을 농악을 울리면서 공동우물이나 동사 집집을 순회하면서 지신밟기를 한다. 성주신(마루), 삼신(안방), 조왕신(부엌) 등에서 집안의 평안과 무병을 기원
(5) 놀이
지신밟기가 끝나면 각종의 놀이가 펼쳐진다. 농악대가 중심이 되는 판놀이로 하고 주민들이 대거 참여하는 민속놀이도 한다. 줄다리기, 차전놀이, 강강술래
(6) 뒷풀이
놀이가 끝나면 마을 사람 모두가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는 즐거운 뒷풀이를 한다. ‘풀이’에는 해소·정화·제거·해결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뒷풀이를 통하여 쌓인 한이나 응어리진 감정, 상호 간의 불화와 반목은 해소 되고 공동체의식은 신장된다.
→ 마을굿이 끝나면 그 마을은 정화되고 새로운 마음으로 새로운 삶이 전개된다. 부정과 오락과 불합리한 묵은 삶이 사라지고 신성하고 밝은 생활이 열리게 된다. 풍농이 이루어지며, 우환이 사라지고 주민들이 화목하게 된다. 신의 축복 속에서 결혼과 출산도 증가된다.
2) 별신굿
마을굿보다 규모가 휠씬 크고 복합성이 짙다는 점에서 대동적인 축제의 양상을 드러낸다.
·매년 주기적으로 열리는 마을 굿과는 달리 3년 5년, 10년을 주기로 모든 신들을 모시고 별도의 커다란 제의를 갖는다. 마을 사람들뿐만 아니라 인근 다른 지역에서 대거 모여든다.
별신굿의 시간은 일종의 큰 해 Great year에 해당된다. - 세계와 인류는 주기적으로 창조, 존속, 소멸을 반복하는 큰 해(大年)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종교적인 인식인데, 사람들은 하나의 큰해의 주기가 끝나며 제의를 통하여 다시 새로운 큰 해 주기를 시작함으로써 재생과 갱신을 통한 영원에의 회귀를 기원하게 된다.
· 은산별신굿, 하회별신굿, 동해안 별신굿, 서해안 별신굿, 남해안 별신굿
6. 축제의 분류
1) 시기에 의한 분류
매년 혹은 몇 해를 일정한 주기로 하여 이루어지는 축제(세시풍속 등)
2) 지역에 의한 분류
축제가 전승되는 일정한 지역을 대상으로하여 그 독립성을 위주로 한다.(강릉단오제, 은산별신제)
3) 담당층에 의한 분류
축제에 참가하는 주민들의 성향에 따른 농민·어민·도시민 등
4) 목적에 따른 분류
풍농 풍어, 사령천도, 조상숭배, 흥행, 여흥
5) 제의 형식에 따른 분류
무당이 중심이 되고 농악대가 부수적인 것
농악대가 중심이 되고 무당이 부수적인 것
제주가 중심이 되고 농악대가 부수적인 것
절충식
6) 성에 따른 분류
남성, 여성
7) 연행양식에 따른 분류
종교의례적인 것, 민속놀이적인 것, 공연적인 것, 절충식
Ⅷ. 향후 민속놀이(전통놀이)의 현대화 방안
요즈음의 어린이들이 카드놀이나 전자오락, 컴퓨터 게임 등에 빠져 있는 것도 시대적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므로 몇 가지 놀이에 있어서는 시대감각에 너무 뒤떨어지고 순간적인 변화가 빠르고 시각 청각적인 강한 자극에 길들여진 요즘의 어린이들에게 흥미 면에서 다소 뒤떨어진다는 점인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통놀이 자체를 현대에 맞게 보완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지만 방법면에서 궁리해보면 불가능한 것만도 아니다.
1. 민속놀이의 원형찾기
모든 놀이는 원형에서 출발하여 여러 가지 규칙이 더해지면서 복잡하고 다양하게 발달해 간다. 비석치기, 사방치기, 투호 등의 놀이는 \'일정하게 떨어진 곳에서 정확하게 맞히거나 집어넣기\'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이것이 바로 원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렇게 원형을 찾은 후 놀잇감이나 방법 등을 어린이들 흥미에 맞게 변형시켜 본다. 돌 대신 깡통, 신발, 고무공을 이용해 놀아보기도 하고 볼링, 농구 게임 등을 접목해 보면 어떨까?
2. 놀잇감의 시각적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인식
놀잇감도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더불어 자신의 것이라는 소중함을 느끼게 해줄 필요가 있다. 예전같이 종이가 귀할 때에는 딱지 한 장도 귀했지만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한 장에 몇 천원하는 딱지도 쉽게 버리고 한번 눈길에서 벗어나면 찾지도 않는데 이제는 옛날 딱지도, 돈주고 사는 딱지도 아닌 자신의 노력이 담긴 개성있는 딱지를 만들어 놀게 해야할 때가 아닐까? 물론 다른 놀잇감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본다.
3. 우리의 놀이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국적있는 우리의 놀이에 익숙해지도록 어린이들을 많이 놀게 해야 한다. 우리의 자랑스러운 민속놀이야말로 서로 부비고 뒹굴면서 자연 발생되지 않았는가? 정말 절실한 것은 놀 시간과 공간,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고 본다.
4. 앞으로의 방향
민속놀이의 현대화는 절실하지만 이는 민속놀이를 충분히 익혀 본 후에 놀이의 원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접근해야 한다. 정형화된 놀이 형태가 제대로 보존되지 않는 현실에서 놀이 자체의 무분별한 변형은 신중할 필요가 있음도 유의해야 한다.
우리 조상들이 남긴 문화유산에는 얼마나 훌륭한 것이 많은가? 세계 문화유산으로 당당히 인정받은 우리의 판소리며, 또 명절 때마다 즐겨왔던 우리의 윷놀이는 전 세계 수많은 놀이들의 원형이며 특히 판 위에서 주사위를 가지고 하는 모든 놀이들의 원형이라고 스튜어트 컬린(Stewart Culin, 1858-1929)이라는 미국인은 『한국의 놀이』(윤광봉 역, 2003)라는 책을 써서 밝히고 있다. 이 얼마나 자랑스러운 일인가?
참고문헌
김선풍(1996), 민속놀이와 민중의식, 집문당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2012), 의식주와 민속놀이를 통해 바라본 조선의 근대, 채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2011),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민속놀이의 문화정책과 변모양상, 단국대학교출판부
박창영(2006), 전통놀이 민속놀이 환경놀이 레크리에이션, 일신서적출판사
이강로(2000),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조채영 외 1명(2003), 민속놀이를 통한 아동 놀이문화의 방향 모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가격9,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