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기원, 탈,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공연방식,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표현매체,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교육자료, 탈춤(가면극, 탈놀이)와 놀이꾼, 탈춤(가면극, 탈놀이)와 꼭두각시놀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기원, 탈,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공연방식,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표현매체,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교육자료, 탈춤(가면극, 탈놀이)와 놀이꾼, 탈춤(가면극, 탈놀이)와 꼭두각시놀음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기원

Ⅱ.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탈

Ⅲ.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공연방식
1. 상연시기와 시간
2. 연희형태
3. 악기
4. 연희자
5. 탈

Ⅳ.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표현매체

Ⅴ. 탈춤(가면극, 탈놀이)의 교육자료
1. 프로그램 작성
1) 초기 화면 만들기
2) 첫 메인 화면 만들기
3) 전체 탈놀이 유래 및 분포 만들기
4) 탈놀이 해설 육성 녹음
5) 탈놀이 대본 마당 만들기
6) 탈마당 만들기
7) 동영상 마당 만들기
2. 자료 적용 단계

Ⅵ. 탈춤(가면극, 탈놀이)와 놀이꾼

Ⅶ. 탈춤(가면극, 탈놀이)와 꼭두각시놀음
1. 제1막
2. 제2막
3. 제3막
4. 제4막
5. 제5막
6. 제6막
7. 제7막
8. 제8막

참고문헌

본문내용

법(善舞法)에 만인이목(萬人耳目)당연(然)일새. 선학선무(善謔善舞) 범기인(凡幾人)고. 개두환면(改頭換面) 윤회(輪回)로다. 차(此) 탈 피(彼) 탈 돌려 쓰니 이훤동인(異同人) 기사(奇事)로다. 예의지방(禮義之邦) 향인나(鄕人儺)는 구제역귀(驅除疫鬼) 성속(盛俗)이오, 기두씨(麒頭氏)는 벽사(邪)하고 처용무(處容舞)는 정서(呈瑞)인데, 산대연희(山臺演戱) 절도(絶倒)로다. 여진여퇴(旅進旅退) 구경하쇼.(현대철자 표기 필자)
인용문은 현존하는 탈놀이와 완전히 일치한다. 앞부분인 “오문(吾們)은 산사(山寺)에 납량(納凉)하다가 …… 소상반죽십이절(瀟湘班竹十二節)로 유출유기(逾出逾奇) 차례 춤에”는 봉산탈춤의 팔먹중춤과 같은 내용이다. 봉산탈춤의 팔먹중과장에서 팔먹중들이 한 명씩 차례대로 기괴한 탈에 화려한 의상을 입고 나와, 자기들은 원래 산속의 절에 있었는데 풍악소리를 듣고 놀고 가려고 나왔다면서 “소상반죽 열두 마디” 등의 불림을 외치며 춤추는 장면과 일치한다.
그리고 소무당노장승생원(양반)은 물론 현재도 여러 탈놀이에서 두루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권수돌빈(拳鬚突) 불승(不僧)”은 탈의 이마 윗부분에서부터 한 줄기의 꼬인 머리카락이 이마를 타고 내려와 길게 늘어져 있는 모습에 술이 취해 등장하는 중인 취발이를 가리킨다. 팔먹중들의 대사에 의하면, 취발이는 팔먹중들의 스승으로서 그들이 타락하도록 유도한 인물로 묘사된다. 취발이는 중이면서도 그가 하는 행동은 중이 아니기 때문에 불승(不僧), 즉 중이 아니라고 설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미 통일신라시대부터 전문적 놀이꾼이 존재했고, 이들이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일반 잔치, 과거급제자의 축하 잔치, 나례나 중국사신 영접 같은 국가적 행사, 서울의 시정 등에서 계속 현존하는 탈놀이와 관련있는 탈놀이를 전승해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전문적 놀이꾼은 흥행을 위해 공연 종목이나 연희 내용을 세련되고 다채롭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중국 등 외국의 연희가 유입되었을 때 즉시 그들의 연희에 수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존하는 탈놀이에 남아 있는, 기악(伎樂)이나 사자춤 같은 외래적 놀이의 흔적은 전문적 놀이꾼이 시대에 따라 외국에서 유입된 연희를 그들의 놀이에 수용한 결과이다.
Ⅶ. 탈춤(가면극, 탈놀이)와 꼭두각시놀음
<꼭두각시놀음>의 내용은 채록본에 따라 다소 다른데, 이는 민속극의 구전성이라는 점에서는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대동소이하다. 채록본은 김재철 채록본, 최상수채록본, 박헌봉채록본, 남운룡 구술, 이두현채록본 ,심우성채록본의 여섯가지가 있다. 그 내용은 보통 7~10막으로 나뉘는데, ‘최상수 채록본’은 발표한 적이 있으니, 여기에선 ‘김재철 채록본’을 소개하겠다.
1. 제1막
장소는‘곡예장’으로, 부득이 파산하여 버린 박첨지는 늙은 몸으로 팔도강산 유람길에 올라 방방곡곡을 편력한다. 어느 날인가 해가 저물 무렵, 시골 주막에 든 노인은 때마침 곡예장에서 남녀와 사당들의 음악소리를 듣게 된다. 풍류에 피로도 잊은 노인은 곡예장으로 달려가 한바탕 노래와 춤을 엮어낸다. 남사당패 놀이판에 끼어든 박첨지는 산받이(인형과의 대화자)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기소개를 한다.
2. 제2막
장소는 ‘뒷절’로서, 뒷절의 상좌들이 박첨지의 질녀와 놀아나는 것을 보고 박첨지가 노해서 호통을 치자 무녀 둘이 모두 자기의 조카임을 알게 된다. 그는 힘이 센 자기 조카 홍동지를 불러 중을 내쫓는다.(제2막은 파계승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다.)
3. 제3막
‘최영로의 집’으로서, 박첨지가 사돈 최영로의 집에 가서 새를 쫓으러 가는데 사람이 나오는 족족 잡아먹는 용강 이시미에게 막 잡아먹힐 뻔했을 때 홍동지와 박첨지의 아우가 와서 협력하여 이시미를 죽이고 그를 구해낸다.
4. 제4막
‘동방노인’으로서, 동방삭이 잠시 곡예장에 나와서 가무를 한 후 한마디의 예언을 남기고 퇴장한다. 해남에 사는 표생원이 첩을 두었기 때문에 본부인은 행방불명이 되고 말았는데, 그 본부인을 찾기 위해 강원도까지 갔다가 귀로에 이곳에 들리게 될 것이라고.
(동방삭이 눈을 감고 등장한 이유가 세상이 부정하기 때문이라고 하여,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풍자를 볼 수 있다.)
5. 제5막
‘표생원’으로서, 본부인을 찾으려다 실패한 표생원이 첩을 데리고 등장한다. 거기서 표생원이 오랫동안 헤어져 있던 본처 꼭두각시를 만나는데, 그들 사이에는 삼각관계가 생기고 본처는 재산의 분배를 강요하기에 이른다. 첩인 돌머리집을 상면시키자 싸움이 벌어지고, 박첨지는 살림을 나누어준다면서 첩에게만 후하게 나누어주자 꼭두각시는 금강산으로 중이 되러 가겠다고 퇴장한다.
(일부처첩제로 인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모순과 서민층의 생활상을 보여준다.)
6. 제6막
‘매사냥’으로서, 평안감사가 새로 부임해오자 마자 매사냥을 하겠다며 포수와 사냥하는 매를 대령하도록 한다.
(지배계급의 횡포와 그에 대한 퐁자를 보여준다.)
7. 제7막
‘평안감사 상여’로서, 평안감사가 모친상을 당해 상여가 나가는데 상제는 오히려 좋아하며, 상여가 나가는 도중 상두꾼 한 사람이 발병이 나자 발가벗은 홍동지가 불려와서 상여를 멘다.(지배계급에 대한 신랄한 풍자와 조롱을 보여준다.)
8. 제8막
‘건사(建寺)’로서, 박첨지가 나와 장례 후 명당에 절을 짓겠다고 알리면 중 2명이 나와 조립식 법당을 짓고는 다시 헐어버린다.
(절을 짓는 것은 주인공의 종교에의 귀의로 해석할 수 있으며, 마지막에 다시 절을 하는 것은 토속사상과 외래종교인 불교와의 상극이라는 해석으로, 또는 종교마저 뛰어넘는 주인공의 초월사상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참고문헌
박진태(2005) : 문학과 탈놀이에 나타난 소외의 극복 방식과 소외인의 형상, 비교민속학회
박진태(2005) : 세시풍속의 관점에서 본 탈놀이의 유형과 갈등구조, 한국공연문화학회
이미원(2011) : 한국 탈놀이 연구, 연극과인간
정형호(2009) : 한국 탈놀이의 형성 관련 쟁점에 대한 토론문, 한국민속학회
전경욱(1997) : 탈놀이의 역사적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정형호(2007) : 한국 탈놀이에 나타난 무언의 의미와 기능, 한국공연문화학회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