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의 역사 11장 근대사회 형성 노력과 건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건축의 역사 11장 근대사회 형성 노력과 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황권 회복을 상징하는 궁궐 조성
Ⅱ. 서양건축의 유입
Ⅲ. 개화를 위한 노력과 건축적 대응
Ⅳ. 목조건축의 확산과 기술적 향상
Ⅴ. 시대 변화에 대한 장인의 자세

본문내용

철저히 배제하고, 엄격한 좌우 대칭을 살림으로서 긴장감 넘치는 공간의 짜임을
갖추었다.
* 경운궁의 중건은 조선왕조 건축술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이었다.
- 중화전의 준공 2년 후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으나, 1906년 재건되었으며, 중화전이 단층으로
축소되어 중건되고 왕과 왕비의 침전 등 모든 전각들이 전의 격식에 맞추어 재건되었다.
- 재건된 건물들은 경복궁 때 보여주었던 최고의 기법과 섬세한 기량이 유감없이 발휘되었고
경복궁에서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창호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2. 사회의 변화
* 주택 역시 또 다른 세련미를 확보하여 이 시기 건축 수준을 향상시켰다.
- 시대변화의 여파는 농촌지역 주택에서 곧 바로 나타났으며, 혈연관계를 가진 일족이 마을을
형성, 큰집들을 집단으로 짓는 경향이 생겼다.
* 양반들은 달라지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문중의 결속을 강화하였으며, 자신의 존재를 과시할 큰
저택을 지어냈다.
* 주택에서 달성된 세련된 건축술은 지배층의 별당에서 나타났다.
- 복잡한 생활 기능의 구속을 받는 주택보다 기능이 단순한 별당에서 건축술은 더 자유롭고
융통성 있는 표현의 세계를 열었다.
* 이 시기 불교 건축은 주택 건축술의 영향으로 또 다른 길을 열었다.
- 안동 봉정사는 주택 건축이 갖고 있는 세부 요소와 기존 불교 건축이 달성한 공간 구성
방식이 결합하여 하나의 완결되고 압축된 빼어난 건축을 보여준다.
* 영산암을 구성하는 요사채나 응진전등의 건축 요소는 불전이라고 하기보다 주택에 가까웠으며,
이는 자칫 불교 건축의 쇠퇴로 치부될 수 있지만 여기에는 기존 불교 건축이 가져보지 못한
공간의 율동감과 또 다른 긴장감이 살아 있게 되었다.
<봉정사 영산암> <봉정사 안마당>
Ⅴ. 시대 변화에 대한 장인의 자세
1. 조직화의 진전 : 19세기 후반 지방 각지에는 민간의 고급 주택 건설이 활기를 띄고 있었다.
* 특정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서울과 지방을 오가면서 큰 일거리를 장악하는 장인들이 적지 않았다.
- 도성과 지방간 기술 수준은 평준화되어 갔고, 건축술의 보편화는 확산되어 갔다.
* 한편 고종 왕실은 갑오경장 이후 중앙 관제를 개편 왕실의 건축공사를 전담하는 관서를 편성한다.
- 궁내부가 신설되고, 그 안에 제용원을 두어 토목건축 업무를 관장하는 영선사(營繕司)를
두었다.
- 과거의 영선 조직이 나라의 공사 전반을 책임진 것에 반하여 영선사의 업무는 왕실과
관련된 업무에 한정되었다.
* 동대문 개수공사 때 공답편수를 맡았던 송계창(宋啓昌)은 진전을 증축하는 공서에서 별감동이란
직책을 맡아 감독관으로 활약하였으며, 왕실 관련 공사에 종사하고 1905년에는 승진하여 진임관
5등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과 같은 장인들은 전통적인 한식 건축에 한정되어 있었고, 서양식 건물에는
전혀 참여하지 못하였다.
* 벽돌은 한국인에게도 낯설은 재료가 아니었으며 당시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민간의 벽돌 수요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를 제작할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았고, 그로인한 서구인들의 국내 건축인력
수요는 없을 수 밖에 없었다.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