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심리학] 10장 강화계획 (단순 강화계획, 간헐적 강화와 PRE, 복합계획, 선택과 대응법칙, 강화계획의 응용, 강화계획의 중요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습심리학] 10장 강화계획 (단순 강화계획, 간헐적 강화와 PRE, 복합계획, 선택과 대응법칙, 강화계획의 응용, 강화계획의 중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0장 강화계획

1.단순 강화계획
(1) 연속 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
(2) 고정비율 계획(fixed radio schedule)
(3) 변동비율 계획(variable ratio schedules)
(4) 고정간격 계획(fixed interval schedule)
(5) 변동간격 계획(variable interval schedule)
(6)기타 단순 계획들
(7) 비율늘리기
(8) 소거

2. 간헐적 강화와 PRE
(1) 변별가설
(2) 좌절가설
(3) 순서가설:
(4) 반응단위 가설

3. 복합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5. 강화계획의 응용
(1) 강박적인 도박
(2) 실험 경제학
(3) 꾀병

7. 강화계획의 중요성

본문내용

수반한 계획이다.
4. 선택과 대응법칙
병립 계획은 일종의 선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비둘기로 하여금 50번을 눌러야 먹이가 나오는 빨간색 원반과 20번을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노란색 원반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끔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쉽게 비둘기가 노란색 원반을 쪼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실제로 비둘기는 처음에는 두 개의 원반을 왔다 갔다 하면서 모두 쪼지만, 결국에는 더 풍성한 강화계획과 연관된 원반에 정착하게 된다.
사실 어떤 동물들은 '수입이 더 좋은' 일을 선택하는 데 비상한 재주가 있다.
그리고 인간에게도 유사한 강화계획들을 변별하는 똑같은 능력이 있다.
Richard Herrnstein(1961, 1970; Herrnstein과 Marzur, 1987)은 두 개의 강화계획 중 더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경향을 다음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B1/B2 = r1/r2
각각 강화계획 r1과 r2상에 있는 두 개의 반응 B1과 B2가 있을 때
각 반응의 상대적 빈도는 받을 수 있는 강화의 상대적 빈도와 같다는 것이다.
이를 대응법칙(또는 조합법칙, matching law)이라고 하는데, 이는 행동의 분포가 강화 가능성에 대응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간격 계획중에서 선택을 하는 경우, 대응법칙은 각각의 계획상에서 받을 수 있는 강화물의 양에 비례하게끔 반응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5. 강화계획의 응용
(1) 강박적인 도박
도박은 대부분의 경우 돈을 잃도록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투자한 돈 1달러에 대한 평균 반환액은 보통 90% 정도라고 한다.
이는 1달러를 걸면 0.9달러를 딴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도 왜 그렇게 도박에 환장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여러 설명이 있지만 지금까지 공부한 바를 토대로 보면, 도박이라는 우연의 게임이 제공하는 강화계획에 문제의 근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우연의 게임은 대부분 강화계획 중 변동비율 계획과 유사한데,
그와 같은 강화계획은 변화에 매우 저항적인 고비율의 행동을 낳는다.
그런데 도박을 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중독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왜 어떤 사람은 노름꾼이 되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까?
가장 유력환 설명은 강화계획이 순간순간 달라진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슬롯머신이 정해진 계획에 따라 돈을 내놓는다고 해서 그 기계에서 도박을 하는 사람들 모두가 정확하게 같은 경험을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20번중 연달아 서너번 따는 반면에 어떤 사람은 한번도 못딸 수 있다.
만약 이 두 사람이 계속해서 몇 시간 동안 도박을 한다면 이들의 운은 비슷해질 것이다. 즉, 둘 다 돈을 잃을 것이다.
그런데 계획상의 변동, 특히 초기의 변동이 도박을 계속할 경향간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비둘기를 대상으로 한 Alan Christopher(1988)의 실험은 흥미롭다.
그는 두 마리의 비둘기에게 불이 켜진 원반을 쪼아 매일 먹이를 얻도록 훈련시켰다.
원반을 50번 쪼면 3초간 보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었다.
하루에 30분 정도만 이 원반을 쪼면 비둘기는 정상체중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런 후 그는 비둘기들에게 일 과 도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슬롯머신처럼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보상이 되는 다른 원반을 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그는 그 도박 원반을 처음 3일 동안은 비둘기들이 전에 쪼은 원반보다 먹이가 훨씬 더 많이 나오도록 조작해놓았다.
그리고 다시 3일이 지난 후에는 도박을 하는 것보다 일하는 것이 더 낫도록 상황을 변화시켰다.
그러자 비둘기들은 도박에 빠져버렸다. 체중이 빠지는데도 계속해서 도박용 원반을 쪼는 것이었다.
Christopher는 이들이 굶어 죽을까봐 도박용 원반을 없앴다.
그러자 비둘기들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듯 했다.
그러나 도박용 원반을 다시 제공하자 비둘기들은 또다시 그것만을 쪼아댔고 체중이 줄기 시작했다.
따라서 Christopher는 여기서 실험을 끝냈다.
이 외에도 초반에 딸 뻔한 경험이 도박에 중독되도록 하는 실험 결과도 있다.
다른 여러 연구 결과도 강박적인 도박을 강화 경험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이를 토대로 보면 도박 사기꾼들이 처음에는 일부러 딸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참고로 도박에 빠지는 사람의 나이가 어릴수록 도박 기계로 돈을 버는 사람들의 수입은 올라간다.
이같은 상황은 흡연에서도 볼 수 있다.
대체로 어린 나이에 담배를 피운 사람일수록 대개 일생동안 흡연자가 되기 때문이다.

(2) 실험 경제학
실험경제학(experimental economics, 혹은 행동경제학(behavior economics))은 강화계획에 관한 연구와 경제학 사이의 유사점을 끌어내 만들어진 새로운 분야이다.
경제학 원리들 중 어떤 것들은 동물 실험에도 적용됨이 밝혀졌다.
(책에 나온이런저런 연구들은 생략합니다)
여러 연구들은 강화계획 연구가 경제학을 진정한 실험과학으로 바꿀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3) 꾀병
꾀병을 부릴 때는 일관되게 부려야하므로, 아파서 학교에 못 간다고 한 날 친구들과 술 마시러 갈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렇게 수입의 감소와 불필요하게 활동이 제한되는 결과가 생긴다 하더라도 사람들은 꾀병을 부리면서까지 할 일을 정말로 하지 않으려 할까?
Steven Goldberg와 Carl Cheney(1984)의 연구에서 그와 같은 생각을 뒷받침하는결과가 나왔다.
꾀병을 부리는 자를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이 손해를 입는데도 불구하고 꾀병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7. 강화계획의 중요성
모든 사람이 강화계획 연구가 가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비판자들은 이 연구가 인공적이고, 그 결과도 사소하며, 인간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강화계획 연구의 옹호자들은 인공성이 과학적 엄격함의 요점이며, 연구결과는 복잡한 행동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였고,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도 유사한 절차를 밟았을 경우 쥐와 비둘기를 대상으로 한 것과 유사한 경우가 흔히 있으며,
강화계획이 약물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같은 다양한 문제들을 연구하는 데 극히 유용한 방법을 제시한다고 대답한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1.18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