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론] 영아기의 발달 특성과 발달 과제 및 영아기애착과 정신건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건강론] 영아기의 발달 특성과 발달 과제 및 영아기애착과 정신건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아기의 발달 특성과 발달 과제
1) 영아기의 발달 특성
⑴ 영아기
⑵ 신체적 발달
⑶ 심리적 발달
⑷ 사회적 발달
2) 영아기의 발달 과제
⑴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
⑵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⑶ 애착 형성
⑷ 분리–개별화(생후 4-5개월에서 30-36개월 사이)
⑸ 대소변 훈련
3)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
⑴ 기질(temperament)
⑵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

2. 영아기애착과 정신건강
1) 애착발달의 이론
2) John Bowlby의 애착형성의 4단계
3) Ainsworth의 애착형성의 4단계 및 애착유형
4) Ainsworth의 애착유형
5) 애착반응-낯가림과 분리불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위 탐색 위해 어머니로부터 쉽게 떨어짐.
낯선 사람보다 어머니에게 더 확실한 관심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
② 회피애착형 : 어머니와 격리되었을 때 별 고통을 보이지 않는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친밀감 추구하지 않고
낯선 사람과 어머니와 비슷한 반응 보임.
③ 저항애착형 : 어머니와 함께 있어도 잘 울고 보채며, 떠나면 매우 불안해한다.
어머니가 방을 떠나기 전부터 불안 : 탐색을 별로 하지 않음.
어머니가 돌아오면 접촉 시도는 하나, 안아주어도 분노를 보임
④ 혼란애착형 : 저항애착과 회피애착이 결합된 것으로 어머니가 돌아왔을 때 처음에는 안겼다가 이내 밀쳐버리는 등의 양극적 반응을 보인다.
불안정애착의 가장 심한 형태 (회피애착 + 저항애착).
어머니와 재결합했을 때 얼어붙은 표정으로 접근, 안아줘도 먼 곳을 쳐다봄.
안정된 애착관계 형성 -> 능동적으로 환경 탐색, 낯선사람과의 상호작용 가능
불안정 애착관계 형성 -> 원만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불안-회피경향의 애착관계 : 부모와 분리 후 재결합 시 부모와의 접촉 회피
불안-저항경향의 애착관계 : 부모와 분리 후 재결합 시 부모에게 분노감 표시
애착관계는 아동기 이후에도 여전히 중요하여 부모와 안정애착을 맺지 못한 경우 청소년기에 우울이나 불안, 대인관계가 부정적으로 발달될 가능성이 크다.
5) 애착반응-낯가림과 분리불안
착의 발달은 동시에 낯가림과 격리불안과 연결
① 낯가림 : 낯가림이란 애착이 강해질수록 다른 사람에 대해 배타적이 되며 두려워하는 경향성을 말한다. 대개 5~6개월에 시작하여 8~10개월에 최고조에 이르고 15개월이 되면 점차 감소한다. 낯가림의 반응 정도는 영아들의 인지적 발달, 기질, 부모의 존재여부, 양육자의 수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② 분리불안 : 애착대상이 떠날 때 보이는 공포반응이다. 친숙한 사람과의 분리에서 나타나는 불안이라 할 수 있다. 영아가 부모나 애착대상과 떨어질 때 나타나는 불안반응으로 낯가림과는 다르나 같은 기제에서 비롯된다. 생후 8~9개월 경 나타나 15개월경에 최고조에 달하고 20~24개월 이후에 점차 감소한다. 이것은 낯가림에서와 같이 유아의 기질적인 요인과 부모와의 애착 정도에 따른 것으로 안정애착을 형성한 영아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보다 분리불안 반응을 덜 나타낸다.
Bowlby : 분리불안 반응단계
첫째, 분리될 때 영아가 반항
둘째, 절망하나 엄마가 돌아오리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음
셋째, 엄마와 분리되어 탈 애착 됨
(분리 기간이 짧으면 다시 애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반응성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DSM-Ⅳ진단 기준
A. 대부분의 상황에서 현저한 장애가 있고 발달학적으로 사회적 유대관계가 5세 이전에 시작되고 다음의 ⑴이나 ⑵로 나타난다.
⑴ 대부분의 사회 상호교류에 대하여 발달학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시도하거나 반응하는 것에 지속적으로 실패하여 지나치게 억제하거나 과도하게 경계하거나 또는 고도로 양가 감정적이고 상반된 반응으로 나타난다(예, 소아는 돌보는 사람이 편안하게 해준 것에 대해서 접근, 회피, 저항하는 혼합된 방식으로 반응하거나 또는 냉담하게 경계하는 태도를 보인다).
⑵ 방만한 애착으로 무분별한 사회성과 더불어 적절하고 선택적인 애착을 보이는 데 현저한 지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예, 비교적 낯선 사람에게 극단적인 친밀감을 보이거나 또는 애착 대상을 정하는 선택성이 결여된다).
B. 기준 A의 장애는 단지 발달 지연(지적 장애처럼)으로 인한 것이 아니며, 그리고 전반적 발달 장애의 진단 기준에 맞지 않는다.
C.병적 양육은 다음 중 최소 1개로 나타난다
⑴ 편안함, 자극 및 사랑에 대한 소아의 기본적 정서 욕구를 지속적으로 무시한다.
⑵ 소아의 기본적인 신체적 욕구를 지속적으로 무시한다.
⑶ 돌보는 사람을 반복적으로 바꿈으로 확고한 애착이 형성되지 못한다(예, 보육원에서 양부모가 자주 바뀐다).
D. 기준C의 양육이 A에서의 장애가 있는 행동에 책임이 있다(예, 기준 A의 장애는 기준 C의 병적 양육으로 시작되었다)
분류
억제형 : 임상 양상에서 기준 A⑴이 우세한 경우이다.
탈억제형 : 임상 양상에서 기준 A⑵가 우세한 경우이다.
참고문헌
박상규 저, 정신건강론, 학지사 2014
채경선, 김주아 저, 아동정신건강론, 창지사 2014
이현주, 전수미 외 저,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4
이순민 저, 정신건강론, 학지사 2014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5.22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8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