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경영학 (독일의 경영경제학, 프랑스의 경영학, 미국의 경영관리학),우리나라의 경영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의 경영학 (독일의 경영경제학, 프랑스의 경영학, 미국의 경영관리학),우리나라의 경영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외국의 경영학

Ⅰ. 독일의 경영경제학

1. 독일 경영경제학의 생성
2. 독일 경영경제학과 3대 학자
3. 독일 경영경제학의 제학파
1) 경험학파
가. 기술학파
나. 이론학파
2) 규범학파

Ⅱ. 프랑스의 경영학

Ⅲ. 미국의 경영관리학

1. 테일러시스템
1) 테일러시스템의 배경
2) 테일러리즘의 기본이념과 내용
3) 테일러리즘의 공과
2. 포드시스템
1) 포드시스템의 기본이념과 내용
2) 생산의 표준화
3) 이동조립법
4) 포디즘의 공과
3. 인간관계론
1) 호손실험
가. 호손실험의 내용
나. 호손실험의 경영학적 의의
4. 바나드, 사이몬의 조직이론
1) 바나드의 조직이론
2) 사이몬의 조직적 의사결정론
5. 행동과학론
6. 제도론학파
7. 상황부응이론

Ⅳ. 우리나라의 경영학

본문내용

요약되고 있다. 버남은 생산수단에 대한 근접적 지배(control over access)가 경영자에게 돌아갔고 그로써 경영자들은 분배에 있어서도 우선적 지배
(preferential treatment in distribution)권을 갖게 됨으로써 자본가 사회가 경
영자 사회로 대치될 수밖에 없었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그같은 견해에 대해서 Sweezy는 반대하였는데, 그 이유는 자본가
가 실제로는 경영자를 임면할 수 있는 실권을 쥐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다. 이 점에 관해서는 시각에 따라 두 견해가 모두 타당성이 있다고 보아 마
땅할 것이다. 이 사회를 지배하는 주체가 생산수단에 대한 근접적 통제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인 전문경영자에게 돌아감으로써 전문경영자가 오늘날
이 사회의 실권자가 된다고 하는 주장에 대하여 견해를 달리 하는 입장이
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J.K. Galbraith에 의한 Technostmcture지배론이다.
갈브레이스는 1967년 “신산업국가”(The new industrial state)란 저술에서
현대 미국자본주의 경제를 분석해본 결과 현자본주의 경제를 지배하는 주
체세력은 개별자본가도 또 전문경영자도 아닌 테크노스트럭처 집단이라고
한다. 이들은 사회를 주도해 나가는 저명한 전문가집단들이고, 그들은 집단
적 의사결정을 통해서 현대 산업사회를 주도적으로 지배해 나간다는 결를
이다.
(7) 상황부응이론(contingency theory)
오늘날 경영이론에서는 상황이 관리적 유효성을 지배한다(Situations
govern the effectiveness of managerial action)라든지, 또는 경영 은 상황적
(Management is situational)이라고 하는 사실에 입각해서 모든 관리적 문제
에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고, 또 그것이 상당한 설득력을 갖는데 이같
은 이론을 일컬어 상황부응이론이라고 한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 이론을 상황이론, 우연성이론 등으로 설명하고 있는
데, 본인으로서는 1977년 기업행동과학론에서 Fiedler의 리더십이론을 "상
황부응이론"이라고 이름하였다. 까닭은 contingency라고 하는 고유용어
(contingent upon, XXX에 부응하다)와 내용면에서 contingency이론이 담
고 있는 "상황지향적 접근"의 특성을 두루 포용하기 위해서였다.
4. 우리나라의 경영학
우리나라의 경영학은 우선 상학으로부터 비롯되어 발전되어 왔다고 말
할 수 있다. 고상(서울상대 전신)이나 보전(고려대 전신), 연전(연세대 전신)
기타 각 대학에서 상학과 또는 상과의 명칭으로 상업학의 형태로서 교육을
해왔고, 또 그 내용도 매매학이나 회계학 등에 초점이 맞추어진 채 오늘날
의 경영학과는 내용이 다른 학문적 특성을 보여왔었다.
그러나 1950년의 6 - 25동란 후 파산된 경제를 다시 재건시켜야 한다는
현장의 요구와 함께 기업경영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커짐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관심도 점증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각 대학에서는 상
술한 바 있는 판매관리와 회계학 이외에 개별과목으로서 경영경제학을 교
과목으로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던 중, 1955년 4월에 고려대학교 상과대학에 처음으로 경영학과가 신
설되어 상학과와 함께 상과대학으로 운영되었다. 그 후 1959년에는 연세대
와 동국대 서울대 성균관대 등 다수 대학에서 경영학과를 신설하게 되었
고 그 후 수년간에 걸쳐 전국 각 대학에서 우후죽순격으로 경영학과를 설
립,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1958년에는 고려대와 연세대가 워싱턴대학교와 공동으로 교수교환계획
을 체결, 미국경영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고, 1964
년 고려대에서 경영대학원(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을 설
립하여 산학협동의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수많은 경영인계를 양성하였다.
그 후 연세대에서도 똑같은 시도를 통하여 같은 효과를 거두었다.
그 후 서강대 등 다수 대학에서도 똑랄은 성격의 특수대학원을 통하여 차
별화된 교육으로 경영인재를 양성,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서울대에서는
시작은 늦었지만 경영대학원에 최고경영자 과정을 두어 사회의 지배층 인
사를 길러내는 데 역점을 두어온 바 있고 그 효과도 괄목할 만하다.
또한, 경영학 교과자료로서는 1954년에 고려대학교의 정수영 교수가 저
술한 "경영경제학"과 1957년 동교의 윤병욱 교수가 독일의 기술론적 경영
학파의 대표자인 Mellerowicz의 "일반 경영경제학" 번역판 그리고 그가
1958년에 독자적으로 간행한 "경영경제학"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그 다음
해인 1959년에는 정수영, 소진덕, 윤병욱의 공편에 의한 우리나라 최초의
"경영경제학사전"이 편집 간행되었다.
이들 교과자료는 일본의 경영학이나 독일의 경영학에 주로 의존해 온 특
성을 보였으나 그 후 많은 후진 교수들의 학계진출로 경영학의 총본산이라
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경영학이 급속히 소매됨으로써, 오늘날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산업국의 이론체계가 경영학의 모든 분야에서 널리 후학
들에게 소개되고 있는 현실에 있다. 그 밖에도 고려대의 기업경영연구소나
서울대, 연세대 등의 경영관련 연구소가 그간의 한국경제발전(1960년대 후)
에 기여한 공헌도는 말할 나위 없이 켰고, 한국생산성본부와 한국능률협회,
한국표준협회, 중소기업진흥공단 기타 경영관련 기관들이 우리나라의 경
영실무발전에 기여한 가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현재로서는 선진산업사회의 선험적 지식과 기술에 기초한 이론을 우리
나라의 경영현실에 접목시킴으로써 토착화된 우리의 경영기법을 개발하여
야 할 숙제가 남아있다. 뿐만 아니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은 저자가 1981
년 즐저 U경영학원론"에서 우리나라 경영학이나 경영실무가 해결하여야
할 최대과제로써 부각시켰던 '산업화에 따른 환경문제'라든지 '기업경영의
윤리적 차원의 문제'를 원만히 해소시키는 것이다.
우리 인류와 기업에 의해서 주도된 환경파괴는 이제 인간파괴로 이어질
것이며, 기업경영의 도덕적 해이나 윤리성 상실은 기업을 고독한 파산자로
이끌 것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06.15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