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시중의 사교육에 대한 맹신이 단순히 신화에 불과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사교육과 같은 외적인 요인보다는 학생 본인의 의지가 학생의 성적 향상에 더욱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 수 있다.
Ⅳ. 결론
원논문은 가족자원(가구소득과 모학력)과 부모양육태도(애착과 감독)와 청소년 학업성적과의 관계가 어떠한 지를 보았으며, 빈곤가족(가구소득의 하위 33.3%)과 비빈곤가족을 대비하여 부모양육태도가 가족자원과 성적 간의 관계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즉 가족자원과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빈곤가족의 경우 가족자원이 부모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그를 통해 청소년의 성적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저자는 가족자원이 청소년의 성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빈곤의 대물림을 막기 위해서는 교육의 평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빈곤가족의 경우 전문가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양육기술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청소년 성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이외에 사교육비, 본인의지, 모취업여부 변수가 있다고 보아 이것을 원논문 회귀모형에 추가하여 발전된 모형을 제시하여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해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원논문에서 가족자원과 부모양육태도 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가족자원 중 ln소득 변수, 부모양육태도 중 감독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원논문의 모델보다 발전시킨 모델의 Adjusted R-squared 값이 더 크게 나온 것을 볼 때, 원모델보다 발전시킨 모델이 더 청소년 학업 성적을 설명해내는데 더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모델을 원모델과 비교해봤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가 달라지는 것을 원논문이 사교육, 본인의지, 모취업여부와 같은 학생의 성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원논문에서는 저자가 임의적으로 가구소득의 33.3%(월200만원)이하를 빈곤가족으로 간주했는데, 연구자들은 소득변수가 청소년 성적에 미치는 중요성을 고려하여 소득변수를 보다 세분화해보았다. 즉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소득5분위배율 지표를 이용하여 소득 상위20%(400만원)이상과 소득 하위20%(195만원)이하로 전체대상을 나눠보았다. 그 결과 상위20%이상 그룹은 모델4를 기준으로 할 때 모학력, 1차 애착, 4차 본인의지 변수가 유의하게 나온 반면, 하위20%이하 그룹은 모델4를 기준으로 할 때 1차 본인의지 변수가 유의하게 나와서 소득수준별로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득수준별로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에 대한 연구가 향후 진행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이 새롭게 추가한 변수들의 유의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델4를 기준으로 할 때 전체에서는 모취업여부와 4차 본인의지 변수가, 상위20%에서는 4차 본인의지 변수가, 하위20%에서는 1차 본인의지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에서도 소득수준에 따라 새롭게 추가한 변수들의 유의성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구자들의 예상과 달리 사교육비 변수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할수록 자녀의 학업성적이 좋을 것이라는 부모님들의 일반적 생각과는 다르게 나온 점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해볼 수 있다. 첫째, 연구자들이 사교육비 변수를 측정함에 있어서 사교육 받는 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월별 지출비만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측정상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사교육과 성적간의 인과성을 지나치게 높게 생각하는 고정관념으로 사교육의 영향력을 높게 간주한 편견의 오류도 있을 수 있다.
지금까지 청소년의 학업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성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의 노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더 나은 변수를 발견해가는 과정의 하나로서 이해하고 이후의 작업을 통해 본 연구의 주제를 더 심화시킬 필요가 있겠다.
※ 참고 문헌 ※
김태근(2006).『유 캔 회귀분석』. 인간과 복지.
Gujarati, Damodar N. (2009). 『Basic Econometrics』. McGrawHill College.
구인회(2003).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2권, 가을, 5-32.
박영신김의철(2003). 「한국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청소년학 연구, 10(1), 139-165.
이은우(2006). 「중학생 가정의 소득 및 사교육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6), 247-273.
이선애(2009). 「가족자원 및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4(1), 5-24.
이화순(200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학업성적 차이 연구」. 아동교육, 12(2), 137-150.
최형재(2008). 「사교육의 대학진학에 대한 효과」. 국제경제연구, 73-110.
추상엽임성문(2007). 「가족구조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간의 관계: 부모소득, 학업지원행동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4(3), 135-157.
홍순옥문명순(2007).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에 미치는 영향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과의 관계」. 아동교육, 16(2), 57-70.
Duncan, G., Yeung, W, J., Brooks -Gunn, J., & Smith, J. R.(1998). 「How much does childhood poverty affect the life chances of childr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406-423.
한국 아동청소년 데이터 아카이브 (http://archive.nypi.re.kr/)
  • 가격2,8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4.09.20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