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 호응에 관한 국어교육적 소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분 호응에 관한 국어교육적 소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성분 호응에 관한 문법적 논의
1. 문장의 이원 구조
2. 의존과 지배의 의미 기능

Ⅱ. 성분 호응의 교육적 실제
1. 성분 호응의 언어 구조적 제한
가. 동반 제한
나. 결속 제한
2. 성분 호응의 범주화 전략
가. 범주화 전략의 이론적 배경
나. 범주화 전략의 구조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른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후자의 용어를 따르겠다. 이것은 하나의 문장이 주제+서술처럼 되어 있다는 것이, 우리가 한번에 산출하거나 처리하는 정보가 단수적이고 단편적인 것이 아니라 복수적이고 위계적인 정보 구조로 본다는 의미가 된다.
의미 중심의 관계 인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성분들의 결합 관계를 확인하는 자가 인지 확인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이것은 스스로 질문을 하여 문제를 의식적으로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이다.
< 자가 인지 확인법 >
· 주체 대상의 확인
① 내용 : 문장을 보고 주체가 무엇인지 우선 파악한다. .
② 방법 :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주체를 인식한다.
-- 누가? 무엇이?, 어떤 것이?
· 서술 내용의 확인
① 내용 : 문장을 보고 서술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
② 방법 :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서술 의미를 인식한다.
-- 어떻게 되었다?, 어찌하다?
(무엇이 어찌되었는지를) 어떠하다?
· 주체와 서술의 관계 확인
① 내용 : 문장에서 주체와 서술의 관계를 연결하여 파악한다. ② 방법 :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그 관계를 인식한다.
-- 누가 - 어떻게 됐나?, 누가 - 어찌 했나?
무엇이- 어찌 됐나?, 무엇이 - 어떠한가?
무엇이 - 무엇인가?
· 객체와 서술의 관계 확인
① 내용 : 문장에서 객체와 서술의 관계를 관련지어 파악한다.
② 방법 :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그 관계를 인식한다.
-- 무엇을-어찌하나?, 무엇을-어떻게 하나?
· 수식과 서술의 관계 확인
① 내용 : 문장을 보고 수식 부분과 서술의 관계를 파악한다.
② 방법 :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그 관계를 인지적으로 확인한다.
-- 어떻게-어찌 하는가?, 어떻게-어찌 되는가?
다음에서 몇 관계를 예로 들어 살펴 보자. 이것은 언어 요소들간의 [주체+서술], [피·사동주+서술], [객체+서술], [수식+서술] 관계에 대한 명확한 성분 호응 인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주체> <서술>
은/는, 이/가
+ 어찌하다, 어떠하다, 무엇이다
<피·사동주> <서술>
은/는, 이/가
+ 어찌되다, 당하다, 시키다 (의미중심)
<객체> <서술>
을/를
+ 어찌하다, 어떠하다, 무엇이다
<수식> <서술>
수식 성분(격)
+ 어찌하다, 어떠하다, 무엇이다
한편 성분 호응의 문제에서 성분이 결여되어 있을 때에는 의미적 공백을 확인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주 체
서 술
주 체
수 식
여기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자가 인지를 할 수 있고 범주화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자일 뿐이며, 모든 문제 해결은 학습자 스스로 해야 한다. 성분 호응을 교수 학습하는 과정을 단계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것은 비호응 관계를 인식하여 호응이 되도록 유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단계 : 호응 성분과 비호응 성분 관계의 인식[교사+학습자]
2단계 : 성분 비호응 단위의 발견 [학습자 중심]
3단계 : 성분 비호응의 문제 지적·설명 [학습자 중심]
4단계 : 전체적인 형태와 의미 확인·문제 해결[학습자 중심]
5단계 : 성분 호응의 인식과 구문 정리 [교사+학습자]
1단계에서는 교사의 보조적 설명과 학습자의 활동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문장에서의 호응과 비호응 성분 관계를 구별하여 인식하고, 다음 단계에서는 성분간 비호응일 경우를 발견하는 단계로서, 여기에서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활동이 중요하다. 3단계에서는 비호응 성분의 구체적인 원인과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다음에 적격한 성분으로 대치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단계까지 역시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성분 호응에 대한 인식과 호응 구문에 대한 정리가 교사의 도움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 문헌
김기혁(1995), 국어 문법 연구, 박이정.
김진우(1994), 언어와 의사 소통, 한신문화사.
박승윤(1994), “기능문법”, 현대언어학 지금 어디로, 한신문화사.
박영목·한철우·윤희원(1995),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탐구, 교학사.
박영순(1993), 현대 한국어 통사론, 집문당.
서정수(1996), 현대국어문법론, 한양대 출판원.
송현정(1996), “국어 호응성의 개념과 관계 유형 연구”, 국어교육 91, 한국 국어교육연구회.
우형식(1990), 국어 타동 구문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 논문.
이기동(1994), “인지문법”, 현대언어학 지금 어디로, 한신문화사.
이남순(1987), 국어의 격표지 생략에 대한 연구, 서울대 박사 논문.
이용주(1993), 한국어의 의미와 문법1, 삼지사.
이정민·배영남(1993), 언어학 사전, 박영사.
조성식 編(1990), 영어학 사전, 신아사.
최현배(1982), 우리말본, 탑출판사.
허웅(1983), 국어학, 샘문화사.
de Beaugrande, R. & Dressler, W.(1981),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don ; Longman. 김태옥이현호 공역(1991), 담화텍스트 언어학 입문, 양영각.
Fillmore(1968), The Case for Case, Universal in Linguistic theiry, Holt Reinhart. 찰스 필모어·남용우 外역(1988), 격문법이란 무엇인가, 을유문화사.
Ford, M.(1982), “Sentence Planning Units : Implications for the Speaker's Representation of Meaningful Relations Underlying Senteces”, The Mental Reprentation of Grammatical relations, cambridge, M.I.T.
Matthew(1981), Syntax, Cambridge Univ. Press.
May(1985), Logical Form : Its Structure and Derivation, Cambridge, Mass. : MIT Press.
Tarvainen, K.(1981), Einfhrung in die Dependenzgrammatik, Tbingen, 이점출 옮김(1991), 의존문법 개론, 한신문화사.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4.10.16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