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식사하는 곳
2. 낮잠이나 휴식하는 곳
3. 역할놀이 영역
4. 언어 영역
5. 과학, 수학 영역
6. 쌓기놀이 영역
7. 미술 영역
8. 조작놀이 영역
9. 음률 영역
10. 컴퓨터 영역
11. 실외놀이 영역
12. 기타
참고문헌
1. 식사하는 곳
2. 낮잠이나 휴식하는 곳
3. 역할놀이 영역
4. 언어 영역
5. 과학, 수학 영역
6. 쌓기놀이 영역
7. 미술 영역
8. 조작놀이 영역
9. 음률 영역
10. 컴퓨터 영역
11. 실외놀이 영역
12. 기타
참고문헌
본문내용
꼭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컴퓨터는 서로 볼 수 있는 각도로 설치하고, 컴퓨터의 조작 방법을 위한 그림 설명서를 제시하는 것이 좋다. 좋은 소프트웨어의 선택 기준은 기억이나 연습지 같은 프로그램보다는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고, 무엇보다 사용이 용이하며, 유아와 즉각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난이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반응시 적절한 효과음이 수반되고, 유아가 즐길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1. 실외놀이 영역
실외놀이는 취학전 유아에게 실내놀이와는 질적으로 다른 종류의 놀이 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곳이다. 흔히 그네 타기. 미끄럼틀 타기, 자전거 타기, 올라가기, 뛰기 등의 신체적인 활동을 위한 영역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외놀이는 긴장 해소 및 신체적인운동이나 도전을 허용할 뿐 아니라 동 식물 등 자연 환경을 탐색하고, 실험하며, 조사하는 활동, 좀 더 활동적인 극놀이, 창의적인 구성놀이, 소음이 나는 목공놀이, 물과 모래놀이, 휴식하면서 할 수 있는 조용한 놀이, 책 읽기 등 다양한 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많은 실외놀이들은 활동적이어서 위험에 노출될 경우가 많으나 오히려 제지받지 않고 자유롭게 탐색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안전에 대한 점검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 기타
이 외에도 교실의 크기 사정에 따라물놀이, 모래놀이, 요리 활동, 목공놀이 등을 위한 영역을 추가할 수 있다. 물놀이 영역이나 모래놀이 영역은 놀이 후 정리가 용이한 이점 때문에 그리고 목공놀이는 소음 때문에 실외에 설치하기도 한다.
물놀이는 모든 연령의 유아들이 좋아하는 것으로 어린 연령의 유아에게는 물을 퍼 담을 수 있는 그릇, 병, 뜨고 가라앉는 것 등의 단순한 놀잇감의 제공으로도 충분하지만, 큰 유아에게는 호스, 분무기, 깔때기, 물레방아 등 좀 더 복잡한 놀이를 할 수 있는 도구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래놀이 영역을 실내에 설치할 때는 서서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모래 대신 쌀, 콩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외에 설치할 경우는 물과 감이 사유하여 모형을 찍어 보는 놀이도 할 수 있다. 목공놀이는 도구의 사용에 대한 안전여부 때문에 이 영역의 설치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으나 유아가 사용할 수 있는 도구와 자료를 제공한다면 홍미를 유발하고 가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초기에는 단단한 나무보다는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못 박기가 용이하도록 배려하거나, 또는 여러 형태로 잘라진 스티로폼이나 고무조각 또는 나무조각 등을 제공하면 훨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못과 망치뿐 아니라 사포지, 작은 톱, 접착제, 자, 연필 등의 도구는 초보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도구라 하겠다.
참고문헌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정정옥, 김광자 저, 최신 보육학 개론(영유아 교사를 위한), 교육아카데미 2012
윤은종 저, 보육학개론(영유아를 위한), 동문사 2014
이순형, 이혜승 외 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13
11. 실외놀이 영역
실외놀이는 취학전 유아에게 실내놀이와는 질적으로 다른 종류의 놀이 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곳이다. 흔히 그네 타기. 미끄럼틀 타기, 자전거 타기, 올라가기, 뛰기 등의 신체적인 활동을 위한 영역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외놀이는 긴장 해소 및 신체적인운동이나 도전을 허용할 뿐 아니라 동 식물 등 자연 환경을 탐색하고, 실험하며, 조사하는 활동, 좀 더 활동적인 극놀이, 창의적인 구성놀이, 소음이 나는 목공놀이, 물과 모래놀이, 휴식하면서 할 수 있는 조용한 놀이, 책 읽기 등 다양한 놀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많은 실외놀이들은 활동적이어서 위험에 노출될 경우가 많으나 오히려 제지받지 않고 자유롭게 탐색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안전에 대한 점검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 기타
이 외에도 교실의 크기 사정에 따라물놀이, 모래놀이, 요리 활동, 목공놀이 등을 위한 영역을 추가할 수 있다. 물놀이 영역이나 모래놀이 영역은 놀이 후 정리가 용이한 이점 때문에 그리고 목공놀이는 소음 때문에 실외에 설치하기도 한다.
물놀이는 모든 연령의 유아들이 좋아하는 것으로 어린 연령의 유아에게는 물을 퍼 담을 수 있는 그릇, 병, 뜨고 가라앉는 것 등의 단순한 놀잇감의 제공으로도 충분하지만, 큰 유아에게는 호스, 분무기, 깔때기, 물레방아 등 좀 더 복잡한 놀이를 할 수 있는 도구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래놀이 영역을 실내에 설치할 때는 서서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모래 대신 쌀, 콩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외에 설치할 경우는 물과 감이 사유하여 모형을 찍어 보는 놀이도 할 수 있다. 목공놀이는 도구의 사용에 대한 안전여부 때문에 이 영역의 설치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으나 유아가 사용할 수 있는 도구와 자료를 제공한다면 홍미를 유발하고 가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초기에는 단단한 나무보다는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못 박기가 용이하도록 배려하거나, 또는 여러 형태로 잘라진 스티로폼이나 고무조각 또는 나무조각 등을 제공하면 훨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못과 망치뿐 아니라 사포지, 작은 톱, 접착제, 자, 연필 등의 도구는 초보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도구라 하겠다.
참고문헌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정정옥, 김광자 저, 최신 보육학 개론(영유아 교사를 위한), 교육아카데미 2012
윤은종 저, 보육학개론(영유아를 위한), 동문사 2014
이순형, 이혜승 외 저, 보육학개론, 학지사 2013
키워드
추천자료
[영유아 교수방법] 영아를 위한 교육환경, 유아를 위한 교육환경 구성 원리와 영역별 특성비교
보육환경의 구성원리와 영역별 환경구성
영유아 보육 환경구성을 위한 교사의 역할
영유아 보육환경구성
영유아를 위한 교육환경과 유아를 위한 교육환경의 구성원리와 영역별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보육환경의 구성
[보육학개론] 보육의 개념과 특성(아동중심성, 보육학 학문의 성격, 다양한 가족형태의 보완,...
[보육학개론] 우리나라 보육프로그램 - 주제통합 프로그램, 생태 프로그램, 생화주제 프로그...
[보육학개론] 보육시설종사자의 역할 - 시설장(역할과 자질), 보육교사(역할과 자질, 윤리강...
[보육학개론] 보육시설종사자 관리 - 보육시설 종사자의 배치, 보육시설 종사자의 자격, 보육...
[보육학개론] 보육시설종사자 교육 - 사전교육(보육교사 2급, 보육교사 3급)과 보수교육(보수...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영유아에게 적합한 보육환경의 특성과 실내 환경구성에 대한 이해
[보육학개론] 보육시설의 공간 구성 - 보육실의 기능적 요구파악과 보육실의 영역구성(입구, ...
[영유아교수방법] 자유선택활동 시 유아를 위한 영역별 환경 구성을 기술하시오 [자유선택활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