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비례(黃金比例)에 관한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금비례(黃金比例)에 관한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황금비례에 관한 보고서


[황금비례의 정의]

[황금비례의 기원과 발전]

1. 이집트 시대의 황금비
2. 그리스 시대의 황금비
3. 기하학적, 수학적 접근
4. 이후의 연구

[황금비례의 생성 – 유사한 이상적 비례들]

1. 루트구형
2. 조화삼각형
3. 비네켄의 조화율
4. 펜타그램

[황금비례와 인간의 심리]

[생각할 거리 – 동서양의 황금비례는 다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페흐너의 실험에서 서양인들이 골랐던,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주는 사각형의 장단변의 비와 일치한다. 이외에도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 르네상스기의 성당 건축 등 황금비례가 적용된 서양 건물은 셀 수 없이 많다.
한편 우리나라의 청동기 및 초기 철기 시대에 속하는 수혈 주거지 중 발견, 조사된 것의 장방형 평면의 단변과 장변의 비를 통계적으로 조사해 본 결과는 1:√2 (1:1.414...)가 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현재 우리는 이 비례를 금강비례라고 부르고 있다.(김정기 외, 한국미술의 미의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그렇다면 왜 이러한 차이가 발견되는 것일까, 이는 동서양의 황금비례를 대하는 기준의 차이에서 출발한다고 보여 진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황금비례의 근원은 우리가 내재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신체의 비율이고, 그러한 비율에 맞게 안정성과 편안함을 고안해 낸 것이 황금비례라고 한다면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의 사람들은 오랜 경험의 결과로 주거지의 평면의 장, 단변의 비가 1:1.4일 때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안락한 형태임을 알게 되어 그것을 계승해 온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황금비례가 통용될 때 편리하고 안락한 평면, 또는 그로 인해 만들어진 공간이 생긴다고 가정하면 여기서 공간의 미적인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도 당연해진다. 우리의 '미적 감각'도 본래 이러한 편리함과 안락함의 추구라는 본능적인 욕구에서 시작된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지금껏 인간 척도가 서양의 황금비례를 기초로 하는 건축원리였다면, 우리나라 암사동 수혈주거 평면에서 보이는 1:1.4의 비례는 이러한 기초를 꼭 우리가 보편적으로 따를 필요는 없다는 깨달음을 암시할 수도 있다. 이는 동서양인의 신체 조건의 미묘한 차이(7:8)가 이들의 비례미의 인식에 영향을 주어 이상적인 비례에 대한 서로 다른 기준을 갖게 한 것으로 추정될 수도 있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신체구조가 지닌 비례의 특수성으로 인해 동서가 서로 다른 비례감각을 지니게 되었고, 이것이 곧 동서양간 이상적인 미감의 차이를 가져온 원인의 하나로 볼 수 있다는 시각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1994. 윤성원 일부 인용).
참고문헌
윤성원(1994). 황금비, 주거환경과 이상적 신체 비율과의 연관 관계.
조용승(2004). 아름다움과 조화로움의 신비. [과학과 기술], 108~109.
야나기 료우(2012). [황금분할-피라미드에서 르꼬르뷔제까지]. 시공문화사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8.13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