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와 한국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역사와 한국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개요 및 일본 역사 공부의 필요성


■본론
- 시대별 일본의 역사와 한국


■결론
-앞으로 일본과의 관계 및 우리의 자세

본문내용

문화정치의 실시로 언론출판결사집회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허용되어 한글로 된 신문잡지가 발간되고 각종 단체, 특히 610만세운동을 계기로 신간회(新幹會)가 결성되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정책전환은 효과적인 식민지 수탈의 수단으로 이용되었고, 비밀결사와 그 운동의 표면화를 노린 계략에 불과하였다. 국내에서는 1929년 11월 광주학생사건을 계기로 학생운동이 1930년까지 지속되었고, 해외에서는 독립군의 무장항일투쟁이 만주 일원 및 시베리아 등지를 거점으로 끈질기게 지속되다가 만주사변 이후 임시정부 산하의 광복군에 통합되었다. 한편 일본은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킨 후부터 한국을 대륙침략을 위한 병참기지로 재편성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풍부한 지하자원과 수력자원 및 값싼 식민지 노동력의 착취를 전제로 일본독점자본의 한국진출이 본격화되었다. 동시에 한국인의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정책을 강화하여 한국어교육의 금지, 창씨개명(創氏改名)의 강요, 황국신민의 서사(誓詞) 구송(口誦), 신사참배 강요 등 민족말살정책을 실시하였다. 또 태평양전쟁 중에는 한민족에 대한 탄압과 착취가 한층 심해져서 1938년 지원병제, 1939년 징용제(徵用制)가 실시되어 한국 청장년에게 병역노역(勞役)이 강요되었고, 1942년에는 지원병제가 징병제로 바뀌었다. 또 한국학생에게도 일본학생에게 과해진 학병제(學兵制)가 똑같이 과해졌다.
다른 한편으로 각계각층의 한국국민이 농산물 공출, 유기(鍮器)철물 등 군수물자 공출, 군용기 헌납금 갹출, 송근유(松根油) 채취 등 패색이 완연한 전쟁을 강행하려는 그들의 억지시책에 시달렸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게 되면서 한국은 그 동안의 독립운동의 결실로 1945년 815광복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 후 1951년 샌프란시스코 대일(對日)강화조약의 성립과 때를 같이하여 한일국교정상화를 위한 회담이 시작되었으나 회담은 난항을 거듭하였다. 회담진전을 저해한 주된 요인으로는 1953년 10월 제3차 회담에서의 구보타[久保田]망언사건(일본측의 대표 구보타가 일본에 의한 1936년 간의 한국통치는 한국에 유익한 것이었다고 망언한 사건), 1959년 8월 일본과 북한 적십자사 간에 체결된 재일교포 북송협정 및 일본의 독도(獨島) 영유권 주장 등을 들 수 있다.
1961년 516군사정변으로 박정희 정권이 등장하면서 그 해 11월 최고회의의장 박정희와 일본총리 이케다[池田] 간의 회담, 1962년 11월 김종필오히라[大平] 메모 작성 등 한일관계의 조속한 타결을 위한 양국의 노력이 경주되어 1965년 6월 22일 ① 기본조약, ② 어업협정, ③ 경제협력협정, ④ 재일 한국인의 법적 지위협정, ⑤ 문화협정의 5개 협정으로 된 한일협정이, 이어 1966년 3월에는 무역협정, 1967년 8월에는 항공협정이 체결되었다. 그 후 양국관계는 특히 경제면에서 급속히 진전되어 1967년 이후부터는 한일정기각료회의를 발족시켜 연례회의를 개최하고 있으며, 1981년 4월 한국측에서 제기한 대일(對日) 차관교섭은 1983년 l월 대통령 전두환과 일본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간의 정상회담에서 최종타결을 보았다.
그 결과 정부개발협력자금 18억 5000만 달러, 수출입은행 차관 21억 5,000만 달러를 합하여 총 40억 달러를 7년에 걸쳐 연리 6%로 대여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일무역적자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대해 한국의 시정요구가 있었으나 일본은 전혀 성의를 보이지 않고 있다가 1993년 11월 대통령 김영삼과 일본총리 호소카와 모리히로[細川護熙] 간의 정상회담에서 경제관계의 균형적 발전을 협의하기 위한 한일신경제협력기구(NIEP)를 설치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국과 일본이 주요 무역상대국이라는 양국 상호간의 인식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일본은 미국에 이어 제2위의 수출상대국이면서 동시에 미국을 앞지르는 제1위의 수입상대국이고, 또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은 미국에 이어 독일과 맞먹는 제2~3위의 수출상대국이다. 1994년만 하더라도 일본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135억 2285만 달러인 데 비해, 수출은 253억 8998만 달러였다. 1998년에는 수입 122억 4000만 달러, 수출 168억 4000만 달러, 2001년에는 수입 161억 달러, 수출 260억 1000만 달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으로는 계속 불편한 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 일본은 한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인정한 한일기본조약을 위배하면서까지 민간차원을 빙자하여 대(對)북한접촉을 계속하고 있으며, 또 정부관계자들의 망언 등으로 한국과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1994년 5월에는 법무장관 나가노 시게토[永野茂門]가, 8월에는 환경청장관 사쿠라이 신[櫻井新]이, 10월에는 통산장관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郞]가 태평양전쟁은 침략전쟁이 아니라 구미열강으로부터 아시아제국(諸國)을 구하기 위한 방어전쟁이었다라고 망언을 하는가 하면, 1995년 6월과 10월에는 전(前) 부총리 겸 외무장관 와타나베 미치오[渡邊美智雄]와 총리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가 한일병탄조약의 합법성을 주장하여 한일관계를 악화시켰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을 양국이 공동개최하게 되었고 1999년 3월 총리 오부치 총리의 방한 때 한일문화교류회를 발족시키기도 했다.
1998년 10월 대통령 김대중의 국빈 방일시 양국 정상은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과 이에 따른 부속서인 \'행동계획\'을 공동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양국은 현재 해당 부처별로 후속조치를 추진중이며, 양국 외교부에서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2001년 10월과 2002년 3월에는 일본 총리 고이즈미 준히치로[小泉 純一郞]가 방한하였다.
■결론
이번 일본 문화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일본의 개국신화와 역사에 대해서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요즘 들어 일본과 중국에서 우리나라 역사의 왜곡문제가 점점 심해졌다. 이런 문제들을 똑바로 잡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역사도 물론 잘 알아야 하지만 중국과 일본의 역사 또한 알고 있어야 그에 대처하고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가격2,4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6.02.23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0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