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조와 기능
1) 척추
2) 추간판
3) 후관절
2. 허리 근염좌
1) 증상과 징후
2) 간호사정
3) 치료와 간호
3. 척추 후만증
4. 척추 측만증
1) 비구조적 측만증
2) 구조적 측만증
(1) 특발성 측만증
(2) 선천성 측만증
(3) 신경근육성 측만증
5. 요통의 일반적 관리
1) 환자교육
2) 약물요법
3) 물리적 요법
4) 체중감량
5) 올바른 자세
6) 운동과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구조와 기능
1) 척추
2) 추간판
3) 후관절
2. 허리 근염좌
1) 증상과 징후
2) 간호사정
3) 치료와 간호
3. 척추 후만증
4. 척추 측만증
1) 비구조적 측만증
2) 구조적 측만증
(1) 특발성 측만증
(2) 선천성 측만증
(3) 신경근육성 측만증
5. 요통의 일반적 관리
1) 환자교육
2) 약물요법
3) 물리적 요법
4) 체중감량
5) 올바른 자세
6) 운동과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용한 근육 이완
4) 체중감량
5) 올바른 자세
① 바로 눕는 자세와 침대
단단하고 두꺼운 침요, 엎드려 눕지 말 것
척추전위증, 퇴행성 관절증 시 복위 제한 (요추전만 증가로 통증 증가)
② 기립체위
요통이 있을 때 서 있는 동안 허리를 바로 펴고 복부, 둔부에 힘을 줌
오래 서 있을 경우 교대로 한쪽 다리로 서고 발판에 올려 허리 근염좌를 예방
요추 전만증 감소로 편안해짐
등을 벽에 기대고 있기
③ 보행
굽이 높은 구두는 요추전만 증가, 굽이 낮은 편한 신발 착용
④ 앉는 자세
회전, 바퀴달린 의자 제한: 등이 곧고 팔걸이가 있는 의자
단단한 쿠션의 쇼파
오래 앉아 있을 때 통증 시 2~3분씩 일어나 걷도록 함
추간판 탈출 만성 요통환자는 휴식 시 반좌위 (추간판 내압 감소로 요통 완화)
⑤ 운전할 때
자동차 의자의 높이와 거리 조절
⑥ 등 굽히기
무릎과 고관절을 굴곡한 상태에서 등을 굽히면 등근육 긴장을 피할 수 있음
- 요추부 코르셋 착용이 도움이 됨
⑦ 물건 들어올리기
고관절과 무릎을 굽히고 물건을 몸체에 가까이 대면서 들어 올림
- 팔을 뻗쳐서 드는 경우 요추부 긴장감 증가
물건을 끄는 것X, 미는 것O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꺼낼 때는 발판 사용
⑧ 잠잘 때: 허리가 편평해 질 수 있는 체위를 만듦
침대 사용 시 단단한 스프링 침대 선택 (온돌 권장)
자세: 무릎 밑에 베게나 이불을 받쳐 고관절과 슬관절지지
- 복위: 복부 밑에 베게를 둠
- 낮은 베게 사용, 엎드려 눕는 것을 피함
6) 운동과 간호
(1) 허리근육 강화운동
William 운동 윌리엄운동(William exercise): 체간 위주로 요추 전만 감소와 척추 후방을 넓혀 주고, 복근을 강화.
: 복근강화를 위해 하는 운동
Mekenzie 운동 멕켄지운동(MeKenzie exercise): 요추 및 경추의 전만 개선, 척추후방인대와 근육의 탄력성 증대.
: 신전근 강화를 위한 운동
(2) 운동 시 주의할 점
전문가의 처방과 상담을 통해 적합한 운동을 하도록
어떤 동작이든 요통을 유발하면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어디서나 쉽게 할 수 있도록 계획, 실천
(3) 요통문제별 운동의 선택
하복부 비만, 과체중: 굴곡, 신전운동 모두 실시
척추골절: 신전운동을 점차적으로 실시, 굴곡운동 금지
급성 요통: 모든 운동 제한, 침상 안정
<요추간판 수술 대상자의 교육>
- 침대 한쪽 끝으로 굴러가서 일어난다.
- 허리는 똑바로 한 채 다리는 침대 밖으로 내리고 손을 짚고 똑바로 일어난다. 이때 몸
을 틀지 않는다.
- 의자에 비스듬히 앉는 자세를 피한다.
- 단단하지만 딱딱하지 않은 침요에서 잔다.
- 장거리 운전하거나 차를 타지 않는다.
- 허리를 꼿꼿이 펴고 앉는다.
- 낮은 소파를 피한다. 안락의자가 편안하다.
- 장시간 서 있어야 할 경우, 허리의 긴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한쪽 무릎을 굽혀 발판에
올려주고, 체중을 양다리에 교대로 이동시킨다.
- 허리근육 강화를 위해 운동, 걷기, 수영 등을 한다.
- 이상적인 체중을 유지한다.
- 굽이 낮은 구두를 신는다. 여성은 장시간 굽이 높은 구두를 신고 걷거나 서 있지 않는
다.
- 변비로 인해 배변 시 힘을 주지 않도록 수분과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 물건을 들 때는 신체역학을 이용한다. 즉, 허리를 굽히지 않고 곧게 편다. 무거운 물건
을 무리하게 혼자 들지 않는다.
- 물건 가까이에 몸을 대고 허리는 곧게 펴고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대퇴근육을 이용하
여 물건을 들어올린다.
- 물건을 들 때 등이나 몸을 비틀지 않는다.
- 물건이 무거우면 끌어당기기보다는 밀어서 이동시킨다.
Ⅲ. 결론
우리는 간호학 part 3. 에서 2개월 전부터 Lt. leg radiating pain 있고, Lt. leg weakness와 감각장애가 나타나 local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호전되지 않아 내원하였으며, 검사 후 HIVD(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진단을 받고 수술을 위해 입원하게 된 배영호(M/56)님을 위해 요통의 병태생리와 원인, 치료, 및 관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이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요통은 척추뼈, 추간판(디스크), 관절, 인대, 신경, 혈관 등의 기능 이상 및 상호 조정이 어려워짐으로써 발생하는 허리 부위의 통증을 말한다. 요통을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허리근염좌, 척추 후만증, 척추 전만증이 있다. 허리 근염좌는 허리를 삐끗해서 인대가 끊어지거나 근육이 파열되어 나타난다. 요통 및 압통, 둔부와 대퇴로 방사되는 통증, 하지 직거상 제한이 나타난다. 척추 후만증은 등이 굽은 상태로 흉부 및 천추부에 후방 만곡이 증가된 것으 로 나쁜 자세로 인해 나타나는 청소년 척추 후만증이 가장 흔하다.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측방으로 만곡, 편위되어 있는 상태로 비구조적, 구조적 측만증이 있다. 비구조적 측만증은 신체검진 시 비대칭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구조적 측만증은 비대칭적 변화가 나타나며 흉추에서 호발한다. 특발성은 가장 흔한 구조적 측만증이며 여자 청소년에서 주로 나타나며 우측만곡이 많다. 비대칭적 변화가 나타나며 심하면 심폐, 소화기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보존적 치료를 실시하고 완화되지 않을 시 수술을 시행한다. 선천성은 척추의 발육이상으로 기인하며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해야 한다. 신경근육성은 주로 소아마비로 인해 나타나게 된다. 요통의 일반적인 간호는 체중조절, 약물요법을 시행하고, 물리적 방법으로 진정, 순환을 돕는다.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자세를 교육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한다. 운동 시 통증이 나타나면 즉시 운동을 중단해야 함을 교육한다.
Ⅳ. 참고문헌
1.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하권). (2013), 서울: 현문사, pp. 540~547
2.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Ⅱ. (2012), 경기: 수문사, pp. 1181~1194
3. 이웅현 외. 성인간호학. (2009), 경기: 퍼시픽북스, pp. 560~562
4. 강정희 외. 성인간호학. (2013), 서울: 대한간호협회, pp. 652~654
4) 체중감량
5) 올바른 자세
① 바로 눕는 자세와 침대
단단하고 두꺼운 침요, 엎드려 눕지 말 것
척추전위증, 퇴행성 관절증 시 복위 제한 (요추전만 증가로 통증 증가)
② 기립체위
요통이 있을 때 서 있는 동안 허리를 바로 펴고 복부, 둔부에 힘을 줌
오래 서 있을 경우 교대로 한쪽 다리로 서고 발판에 올려 허리 근염좌를 예방
요추 전만증 감소로 편안해짐
등을 벽에 기대고 있기
③ 보행
굽이 높은 구두는 요추전만 증가, 굽이 낮은 편한 신발 착용
④ 앉는 자세
회전, 바퀴달린 의자 제한: 등이 곧고 팔걸이가 있는 의자
단단한 쿠션의 쇼파
오래 앉아 있을 때 통증 시 2~3분씩 일어나 걷도록 함
추간판 탈출 만성 요통환자는 휴식 시 반좌위 (추간판 내압 감소로 요통 완화)
⑤ 운전할 때
자동차 의자의 높이와 거리 조절
⑥ 등 굽히기
무릎과 고관절을 굴곡한 상태에서 등을 굽히면 등근육 긴장을 피할 수 있음
- 요추부 코르셋 착용이 도움이 됨
⑦ 물건 들어올리기
고관절과 무릎을 굽히고 물건을 몸체에 가까이 대면서 들어 올림
- 팔을 뻗쳐서 드는 경우 요추부 긴장감 증가
물건을 끄는 것X, 미는 것O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꺼낼 때는 발판 사용
⑧ 잠잘 때: 허리가 편평해 질 수 있는 체위를 만듦
침대 사용 시 단단한 스프링 침대 선택 (온돌 권장)
자세: 무릎 밑에 베게나 이불을 받쳐 고관절과 슬관절지지
- 복위: 복부 밑에 베게를 둠
- 낮은 베게 사용, 엎드려 눕는 것을 피함
6) 운동과 간호
(1) 허리근육 강화운동
William 운동 윌리엄운동(William exercise): 체간 위주로 요추 전만 감소와 척추 후방을 넓혀 주고, 복근을 강화.
: 복근강화를 위해 하는 운동
Mekenzie 운동 멕켄지운동(MeKenzie exercise): 요추 및 경추의 전만 개선, 척추후방인대와 근육의 탄력성 증대.
: 신전근 강화를 위한 운동
(2) 운동 시 주의할 점
전문가의 처방과 상담을 통해 적합한 운동을 하도록
어떤 동작이든 요통을 유발하면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어디서나 쉽게 할 수 있도록 계획, 실천
(3) 요통문제별 운동의 선택
하복부 비만, 과체중: 굴곡, 신전운동 모두 실시
척추골절: 신전운동을 점차적으로 실시, 굴곡운동 금지
급성 요통: 모든 운동 제한, 침상 안정
<요추간판 수술 대상자의 교육>
- 침대 한쪽 끝으로 굴러가서 일어난다.
- 허리는 똑바로 한 채 다리는 침대 밖으로 내리고 손을 짚고 똑바로 일어난다. 이때 몸
을 틀지 않는다.
- 의자에 비스듬히 앉는 자세를 피한다.
- 단단하지만 딱딱하지 않은 침요에서 잔다.
- 장거리 운전하거나 차를 타지 않는다.
- 허리를 꼿꼿이 펴고 앉는다.
- 낮은 소파를 피한다. 안락의자가 편안하다.
- 장시간 서 있어야 할 경우, 허리의 긴장을 감소시키기 위해 한쪽 무릎을 굽혀 발판에
올려주고, 체중을 양다리에 교대로 이동시킨다.
- 허리근육 강화를 위해 운동, 걷기, 수영 등을 한다.
- 이상적인 체중을 유지한다.
- 굽이 낮은 구두를 신는다. 여성은 장시간 굽이 높은 구두를 신고 걷거나 서 있지 않는
다.
- 변비로 인해 배변 시 힘을 주지 않도록 수분과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 물건을 들 때는 신체역학을 이용한다. 즉, 허리를 굽히지 않고 곧게 편다. 무거운 물건
을 무리하게 혼자 들지 않는다.
- 물건 가까이에 몸을 대고 허리는 곧게 펴고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대퇴근육을 이용하
여 물건을 들어올린다.
- 물건을 들 때 등이나 몸을 비틀지 않는다.
- 물건이 무거우면 끌어당기기보다는 밀어서 이동시킨다.
Ⅲ. 결론
우리는 간호학 part 3. 에서 2개월 전부터 Lt. leg radiating pain 있고, Lt. leg weakness와 감각장애가 나타나 local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호전되지 않아 내원하였으며, 검사 후 HIVD(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진단을 받고 수술을 위해 입원하게 된 배영호(M/56)님을 위해 요통의 병태생리와 원인, 치료, 및 관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이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요통은 척추뼈, 추간판(디스크), 관절, 인대, 신경, 혈관 등의 기능 이상 및 상호 조정이 어려워짐으로써 발생하는 허리 부위의 통증을 말한다. 요통을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허리근염좌, 척추 후만증, 척추 전만증이 있다. 허리 근염좌는 허리를 삐끗해서 인대가 끊어지거나 근육이 파열되어 나타난다. 요통 및 압통, 둔부와 대퇴로 방사되는 통증, 하지 직거상 제한이 나타난다. 척추 후만증은 등이 굽은 상태로 흉부 및 천추부에 후방 만곡이 증가된 것으 로 나쁜 자세로 인해 나타나는 청소년 척추 후만증이 가장 흔하다.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측방으로 만곡, 편위되어 있는 상태로 비구조적, 구조적 측만증이 있다. 비구조적 측만증은 신체검진 시 비대칭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구조적 측만증은 비대칭적 변화가 나타나며 흉추에서 호발한다. 특발성은 가장 흔한 구조적 측만증이며 여자 청소년에서 주로 나타나며 우측만곡이 많다. 비대칭적 변화가 나타나며 심하면 심폐, 소화기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보존적 치료를 실시하고 완화되지 않을 시 수술을 시행한다. 선천성은 척추의 발육이상으로 기인하며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해야 한다. 신경근육성은 주로 소아마비로 인해 나타나게 된다. 요통의 일반적인 간호는 체중조절, 약물요법을 시행하고, 물리적 방법으로 진정, 순환을 돕는다.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자세를 교육하고 적절한 운동을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한다. 운동 시 통증이 나타나면 즉시 운동을 중단해야 함을 교육한다.
Ⅳ. 참고문헌
1.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하권). (2013), 서울: 현문사, pp. 540~547
2.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Ⅱ. (2012), 경기: 수문사, pp. 1181~1194
3. 이웅현 외. 성인간호학. (2009), 경기: 퍼시픽북스, pp. 560~562
4. 강정희 외. 성인간호학. (2013), 서울: 대한간호협회, pp. 652~654
추천자료
자궁근종 case study
췌장염 간호 케이스스터디
췌장 질환의 종류및 특성, 진단, 중재
간호과정 사정도구- 임상환자의 case study 및 NANDA간호진단 적용
골다공증과 운동처방
대장암, 역류성 식도염, 협심증(PTCA)을 가진 대상자 case study
간암case study
ovarian tumor 케이스
[성인 case study] conference 기흉 (pneumothorax)
화상 케이스
간성혼수 환자사례 간호과정
(A+) 만성췌장염 케이스 스터디 Chronic Pancreatitis case study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 MI
폐색전증+간호과정3개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