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평가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다음에 근거하여 평가를 수행하시오.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10점)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15점)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10점)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5점)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다음에 근거하여 평가를 수행하시오.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10점)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15점)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10점)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5점)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본문내용
간을 준 후, 다 풀었으면 그대로 뒤 페이지로 넘길 수 있도록 하고 2번 검사 도구를 풀 때는 정답이 없이 1, 2, 3, 4번 문항 중에 가장 맞는 답인 것 같은 걸 고르라고 한다. 1번 검사 도구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알기 쉬운 문장들이므로 만 5세 유아들이 가볍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도록 유치원 선생님은 아이들이 편안하게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검사 시간은 대략 5분~10분 사이로, 혹시나 구체적으로 상황을 물어보는 유아가 있다면 유치원 선생님은 아이가 어떤 상황을 생각할 것인지를 직접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총 검사 시간은 15분에서 30분 사이이며, 아이들이 검사지에 다 표시했으면 혹시 표시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지는 않은지, 정확하게 표기되지 않은 문항이 있지는 않은 지 유치원 선생님은 현장에서 바로 확인한 후, 불분명한 부분이 있다면 바로 유아에게 확인하여 정확한 정답을 고를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답안지 확인 과정까지 끝냈으면 아이들을 퇴장시키면서 검사 도구를 활용한 검사 실시과정을 마친다.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 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1번의 경우는 정답과 정답이 아닌 경우가 나뉘어 있으므로, 평균을 구할 땐 문제별로 유아 5명이 올바르게 풀었는지, 틀리게 풀었는지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 평균을 낼 때는 연결형 질문과 선다형 질문 10가지를 모두 합쳐서 평균을 낼 수도 있고, 문제를 푸는 유아들이 연결형 질문이나 선다형 질문 중 어느 것에 더 적합하게 대답할 수 있는 형태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각각 따로 평균을 낼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 따로 낸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단순히 질문의 형태로 인해 유아들의 이해 정도가 달라 정답과 오답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이야기하기에는 비약적인 측면이 있으므로 함께 합쳐서 평균을 내도록 한다. 2번 검사 도구의 경우 1, 2, 3, 4번이 각각 성향의 차이이지 숫자의 크기 차이가 아니기에 1번과 같은 방식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소수점으로 구할 수는 없고, 가장 많이 답을 선택한 순으로 순위를 매겨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1번 검사 도구의 경우 총 10문제에 대해서 유아들의 정답은 0개부터 10개까지 있을 수 있지만, 만 5세 정도가 되었을 땐 어느 정도 도덕적 지식과 인지적 영역에 있어서 문제를 풀 기에 부족하지 않을 것이라 예상하므로 5명의 유아가 각각 7, 8, 7, 9, 8개의 정답을 맞혔다고 가정하자. 모든 유아의 정답 개수를 합쳐서 39개이고, 이를 5로 나누면 7.8개가 정답의 평균이다. 표준편차는 분산에 루트를 씌운 것으로, 각 유아의 정답에다 평균을 빼서 제곱한 뒤 제곱근을 구한 것이다. 따라서 0.8, 0.2, -0.8, 1.2, 0.2를 각각 제곱하여 모두 더해서 2.8이 되고, 여기에 제곱근을 구해서 약 1.67이 표준편차가 된다. 2번 검사 도구의 경우 평균을 구할 때 6개의 문항 별로 어떤 정답이 따로따로 가장 많았는지를 보고, 유아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답변부터 차례대로 순위를 매길 수 있다. 만약 유아들이 (1)번 문제에 대해서 선택한 답변이 3번이 3명, 4번이 2명이라고 하면 가장 많이 선택한 답변 1순위가 3번, 2순위를 4번이며 그 외에는 선택이 없었다고 표현할 수 있다. 결괏값도 위와 비슷한 가정을 두어 (2)번 문제에선 1순위가 1번, 2순위가 2번, 3순위가 3번이었고, 나머지 결괏값에 대해서도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5. 참고문헌
‘정의적 영역’, 교육학용어사전,
‘평정척도‘, 상담학 사전
’선다형문항’, 교육평가 용어사전
‘표준편차’, 수학백과,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 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1번의 경우는 정답과 정답이 아닌 경우가 나뉘어 있으므로, 평균을 구할 땐 문제별로 유아 5명이 올바르게 풀었는지, 틀리게 풀었는지를 각각 확인할 수 있다. 평균을 낼 때는 연결형 질문과 선다형 질문 10가지를 모두 합쳐서 평균을 낼 수도 있고, 문제를 푸는 유아들이 연결형 질문이나 선다형 질문 중 어느 것에 더 적합하게 대답할 수 있는 형태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각각 따로 평균을 낼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 따로 낸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단순히 질문의 형태로 인해 유아들의 이해 정도가 달라 정답과 오답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이야기하기에는 비약적인 측면이 있으므로 함께 합쳐서 평균을 내도록 한다. 2번 검사 도구의 경우 1, 2, 3, 4번이 각각 성향의 차이이지 숫자의 크기 차이가 아니기에 1번과 같은 방식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소수점으로 구할 수는 없고, 가장 많이 답을 선택한 순으로 순위를 매겨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1번 검사 도구의 경우 총 10문제에 대해서 유아들의 정답은 0개부터 10개까지 있을 수 있지만, 만 5세 정도가 되었을 땐 어느 정도 도덕적 지식과 인지적 영역에 있어서 문제를 풀 기에 부족하지 않을 것이라 예상하므로 5명의 유아가 각각 7, 8, 7, 9, 8개의 정답을 맞혔다고 가정하자. 모든 유아의 정답 개수를 합쳐서 39개이고, 이를 5로 나누면 7.8개가 정답의 평균이다. 표준편차는 분산에 루트를 씌운 것으로, 각 유아의 정답에다 평균을 빼서 제곱한 뒤 제곱근을 구한 것이다. 따라서 0.8, 0.2, -0.8, 1.2, 0.2를 각각 제곱하여 모두 더해서 2.8이 되고, 여기에 제곱근을 구해서 약 1.67이 표준편차가 된다. 2번 검사 도구의 경우 평균을 구할 때 6개의 문항 별로 어떤 정답이 따로따로 가장 많았는지를 보고, 유아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답변부터 차례대로 순위를 매길 수 있다. 만약 유아들이 (1)번 문제에 대해서 선택한 답변이 3번이 3명, 4번이 2명이라고 하면 가장 많이 선택한 답변 1순위가 3번, 2순위를 4번이며 그 외에는 선택이 없었다고 표현할 수 있다. 결괏값도 위와 비슷한 가정을 두어 (2)번 문제에선 1순위가 1번, 2순위가 2번, 3순위가 3번이었고, 나머지 결괏값에 대해서도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5. 참고문헌
‘정의적 영역’, 교육학용어사전,
‘평정척도‘, 상담학 사전
’선다형문항’, 교육평가 용어사전
‘표준편차’, 수학백과,
추천자료
2021년 1학기 교육평가 기말시험 과제물(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2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평가 )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평가 )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
교육평가 )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
교육평가 )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
교육평가 )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