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 )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10점)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15점)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10점)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5점)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6.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갈 수 있었으며 이들의 난이도에서 문제를 출제했고, 일부는 교육기관을 통해서든 체험을 통해서든 배웠기 때문에 이들의 학습을 다시금 복기시키는 정도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준비된 것처럼 30분의 주어진 시간 내에서 1번의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총 10문제의 문제를 풀어나가기 시작했다. 이 중 남학생 한 명이 시간 내에 다 마치지 못해 10분의 추가 시간을 주었으며 10분의 추가시간을 주고 난 후 문제를 마무리 했다. 이렇게 1번의 검사도구와 이를 적용하는 과정은 마무리 되었다.
다음은 평가 척도를 활용한 2번의 검사 도구를 활용한 실험 과정을 다뤄보도록 할 것이다. 위의 검사 도구를 비롯한 평가를 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육 기관 내에서의 검사 도구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우선 검사자는 이들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함께 생활하는 교육자를 선정했으며 이들을 기반으로 검사를 진행했다. 교육기관 속 교육자와 그들의 반에서 생활하고 있는 5명의 아이들을 선정해 검사를 진행하도록 했다.
우선 2번의 평가척도 분야에서 질문의 번호가 포괄적인 것임을 인식하였고 정의영역의 포괄적인 분야를 세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이들의 기준의 정도를 따로 선생님들에게 제공해 주관의 감정은 배제된 채 이들의 정의 영역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했다.
평가척도의 기본은 정의 영역에서 주변인의 눈으로 바라본 이들의 평소 태도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따로 5명의 아이들을 한 자리에 모아 평가하는 것이 아니며 꾸준히 관찰된 변화된 태도를 작성하고 기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5명의 아이를 선정하며 위의 태도를 관찰하는 것에 평가가 시작되며 그렇기에 의도적으로 5명의 아이들을 모아두지 않았고 부모님의 사전 동의를 받아 이들의 평가와 검사도구의 활용이 진행되었다.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먼저, 1번의 검사 도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 그리고 결과에 대해 파악하도록 할 것이다. 여아 3명, 남아 2명의 결과 중에서 10점 만점 기준으로 검사 결과를 내렸다. 여1은 8점, 여2는 6점, 여3은 10점을 획득했으며 남1은 9점 마지막으로 늦게 제출한 남2는 5점이라는 결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채점 결과를 토대로 우선 평균을 계산해보자면 평균 계산에는 이들 점수의 총합을 구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총 합은 38점이며 평균을 구하기 위해 38점은 이들의 응시인원인 5명으로 나누면 평균 7.6점이라는 점이 나온다. 또한 평균을 기반으로 표준편차를 구해보자면 우선 이들의 분산은 3.44의 값이 나오며 나온 분산을 토대로 마련한 표준편차는 약 1.8585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평균, 표준편차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이들이 가지고 있는 평균값은 7.6점이며 이들이 가지고 있는 점수의 분산도가 일부 퍼져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평균값이 7.6점으로 높은 수준의 인지분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제일 낮은 점수가 5점이라는 점을 토대로 이들 대부분은 인지영역 수준은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2번 검사 도구를 통해 확인된 이들의 평가 척도는 총점수로 값을 매겼으며 30점 만점에 여1의 점수 총합 25점, 여2의 점수 총합 20점, 남1의 점수 총합 25점, 남2의 점수총합 20점, 남3의 점수 총합 30점의 점수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평가척도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평균을 매기자면 평균은 22점이 나왔다. 이러한 평균을 기반으로 분산 값은 28.4가 도출되었고 표준편차는 약 5.329라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평가척도라는 도구를 활용해 나온 결과는 우선 이들의 전반적인 정의영역의 태도 점수가 22점을 가지고 있으며 일정부분에서 점수가 낮은 친구들을 제외하고 모두 고르게 보통 이상의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30점 중 20점을 넘은 학생이 전체에 포함됨으로 이들의 정의영역 또한 올바른 태도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평가 전체 강의안
차기주 ( Ki Joo Cha ).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과 모의 상호작용 양상 및 특성 간 관계.\" 유아교육연구 35.2 (2015): 117-141.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50e569104d2de6b07f7a54760bb41745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