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 )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육평가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다음에 근거하여 평가를 수행하시오.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10점)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15점)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10점)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5점)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본문내용

하여 협동 놀이를 한다.
2)
[사회/정서] 29. 자신의 능력을 정확하게 말한다.
3)
[사회/정서] 30. 교사를 탐색과 문제 해결의 자원으로 활용한다.
4)
[사회/정서] 32. 행동에 자신감을 보인다.
5)
[사회/정서] 34. 새로운 상황에서 도전과 위험을 감수한다.
6)
[사회/정서] 37. 다른 사람이 힘들어할 때 위로한다.
위의 기준을 바탕으로 문항을 제작한 이후, 문항에 오타 및 잘못된 표현, 오류가 없는지, 문항 안에 답을 고를 수 있는 단서가 없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검토의 과정이 끝나면 미리 섭외한 유치원에 방문하여 만 5세 유아를 무작위로 선별하여 평가에 참여하도록 한다. 이때 유아 선별 과정은 성별이나 개월 수 차이 등 개별 요소를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즉, 같은 만 5세 유아여도 개월 수의 차이로 인해 발달영역에 차이가 나는 것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
우선 <1번 검사도구>는 유아가 직접 평가 문항을 풀도록 하되, <연결형 5번 문항>은 문장을 듣고 올바른 문장을 연결해야 하므로 이때는 교사가 개입하도록 한다. 정답을 맞추려고 교사의 직접적인 도움을 받는 것을 제외하고는 교사의 도움을 받는 것을 허락한다. 평가 문항을 풀 때 시간제한은 없지만, 유아가 평가 문항을 시작한 시각과 마친 시각을 따로 표기한다.
<2번 검사도구>는 유아 혼자 평가 문항을 해결하기에 어려운 표현도 많고 문항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학부모나 교사의 도움을 받아 함께 평가 문항을 이해하고 답안을 작성하도록 한다. <1번 검사도구>와 마찬가지로 역시 시간제한을 두지 않는다.
5. 위의 1번과 2번 검사도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각각 제시
<1번 검사도구>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1번 검사도구>에서 각 문항에 정답일 경우에는 1점을, 오답일 경우에는 0점을 부여하였다. 그 결과, 유아 A와 C는 총 9점, 유아 B와 D는 총 7점, 유아 E는 총 8점의 결과가 나왔다. 유아별 획득한 총점에서 문항 수를 나누면 평균값이 산출된다. 즉, 유아 A와 유아 C는 총 9점을 획득하였고 문항 수는 10이므로 유아 A와 유아 C의 평균값은 0.9가 된다.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유아의 평균값을 구하면, 유아 B와 유아 D의 평균값은 0.7, 유아 E의 평균값은 0.8이 된다.
표준편차는 유아 5명의 정답표를 엑셀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즉, 정답일 경우 ‘1’을, 오답일 경우 ‘0’을 대입하여 표준편차 함수인 ‘=STDEV’ 공식을 대입하였다. 표준편차값은 편의상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그 결과 유아 A와 유아 C의 표준편차는 0.32, 유아 B와 유아 D는 0.48, 유아 E는 0.42로 나왔다.
<2번 검사도구>
총 6문항으로 구성된 <2번 검사도구>에서 각 문항 최고 5점, 최저 1점으로 계산하면 최고 총점 30점, 최저 총점 6점으로 계산된다. 유아 A는 총 30점, 유아 B는 총 15점, 유아 C는 총 20점, 유아 D는 총 9점, 유아 E는 총 22점의 결과가 나왔다. 유아별 획득한 총점에서 문항 수를 나누면 평균값이 산출되는 것은 <1번 검사도구>에서의 평균값 산출 방식과 동일하다. 단, 문항 수가 6이므로 유아별 획득한 총점에서 6을 나누어 계산하였다. 그 결과, 유아 A의 평균값은 5, 유아 B는 2.5, 유아 C는 3.33, 유아 D는 1.5, 유아 E는 3.67이 나왔다. 유아 C와 유아 E의 경우에는 편의상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표준편차 역시 <1번 검사도구>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유아 5명의 정답표를 엑셀에 대입하여, 각 문항에 유아가 표시한 숫자로 계산하였다. 여기에도 표준편차 함수는 ‘=STDEV’ 공식을 대입하였다. 그 결과 유아 A의 표준편차는 0, 유아 B와 유아 D의 표준편차는 0.55, 유아 C와 유아 E의 표준편차는 0.52로 나왔다.
위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유아 A
유아 B
유아 C
유아 D
유아 E
1번
검사도구
평균
0.9
0.7
0.9
0.7
0.8
표준편차
0.32
0.48
0.32
0.48
0.42
2번
검사도구
평균
5
2.5
3.33
1.5
3.67
표준편차
0
0.55
0.52
0.55
0.52
<참고문헌>1) 이종숙 신은수 박은혜 김영태 유영의 최일선 유흥옥,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도구 문항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교육과학연구』 제40집 제3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1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