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 )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이론적 배경
2.1.1. 인지적 영역
2.1.2 정의적 영역
2.2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2.2.1 선다형 문항을 통한 인지적 영역 평가
2.2.2 연결형 문항을 통한 인지적 영역 평가
2.3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2.4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2.4.1 인지적 영역을 선다형, 연결형 문항으로 평가해야 하는 이유
2.4.2 정의적 영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이유
2.5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 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6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 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 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6.1 인지적 영역 검사도구의 평가 결과
2.6.2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의 평가 결과
3. 결론
출처

본문내용

을 의미한다. 정의적 영역은 다양한 성격, 즉,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느끼고 있는 감정에 대한 것, 자신이 반응하는 것 등을 설명할 수 있다.
정의적 영역은 자신과 관련된 감정, 그리고 접촉하는 타인에게 느껴지는 감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성적이고 인지적인 기능을 파악하기 위한 척도를 이용해서는 어려움이 있다. 또, 정의적 영역은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정답을 가지고 판단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감정 자체를 타인이 평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정의적 영역의 경우 모든 동일한 문항을 가지고 유아가 직접 자신의 영역을 평가함으로써 느끼고 있는 가치관과 흥미 등을 교사가 판단할 수 있도록 평정척도 형식을 이용하여 유아의 정의적 특성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2.5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 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본 검사 도구는 만 5세~6세의 유아 5명에게 실시되며, 모든 유아는 한 어린이집에서 2년 이상 교육을 받은 아이들이다.
(2) 검사도구의 평가 시간은 오후 일과 중이며, 인지적 영역의 경우 총 2회 수행한다.
(3) 아이들에게 각각의 검사 도구를 배정 후, 1번 검사 도구는 10분의 문제 풀기 시간, 2번 검사 도구는 5분의 시간을 줬다.
(4) 검사 도구를 실시하기에 앞서 교육자들은 아이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단어가 있는지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아이들이 검사 도구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지 않도록 한다.
(5) 검사 도구를 실시하는 동안 서로 공유를 하지 못하도록 지도하며, 교사들은 아이들이 문제를 이해하지 못하였음에도 추측으로 정답을 제시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6) 1회 평가가 끝난 일주일 후, 신뢰도 파악을 위해 1회 반복 평가를 수행하며 2 번의 평가도구에 대한 일치도를 확인한다.
2.6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 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 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6.1 인지적 영역 검사도구의 평가 결과
(1) 인지적 영역 중 선다형 정답 수
유아1
유아2
유아3
유아4
유아5
정답 수
1회
4
5
3
4
5
2회
4
4
4
3
5
평균
4
4.5
3.5
3.5
5
(2) 인지적 영역 중 연결형 정답 수
유아1
유아2
유아3
유아4
유아5
정답 수
1회
5
4
4
5
4
2회
5
5
3
4
5
평균
5
4.5
3.5
4.5
4.5
(3) 평균 및 표준편차
(3-1) 선다형 평균 및 표준편차
(3-2) 연결형 평균 및 표준편차
2.6.2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의 평가 결과
번호
평균 및 표준편차
1
2
3
4
5
6
번호
내용
인원 수
1
2
3
4
5
1
다른 친구가 다쳤을 때 도와줄 수 있다.
1
4
2
자신이 화가 났을 때 조절할 수 있다.
3
2
3
영어 읽기를 할 수 있고, 알파벳을 쓸 수 있다.
1
3
1
4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한다.
1
4
5
음식을 가리지 않고 잘 먹는다.
3
2
6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등의 인사를 잘 한다.
2
3
3. 결론
바람직한 유아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 후, 그들의 욕구와 흥미에 기초하여 교육 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발달에 적합한 학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유아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만 5 세 이상 유아의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제작 후, 이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물론 제대로 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평가도구의 신뢰도 평가 및 많은 유아에게 설문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검사 도구는 유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고, 추후 유아를 교육할 때 올바르게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출처
이영애, (2009). 자유놀이 및 집단활동 상황과 유아의 사회지능에 따른 인지적 행동과 정의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baa0095b0577661affe0bdc3ef48d419
이영순, (2014). 만 3-5세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 및 유아의 정의적 특성, 아주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def9d7d736a35f3ffe0bdc3ef48d419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