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10점)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15점)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10점)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5점)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6. 참고문헌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15점)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10점)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5점)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의적 영역은 개념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도 하며 학습 과정 속에서 성공과 실패의 경험, 교수방법에 따라 수정되거나 변화되기도 한다.(황은경, 2002 재인용). Krashen(1981)은 정의적 여과 가설이라는 개념으로 정의적 특성을 설명하였는데 정서적 여과막(affective filter)은 학생 개인의 정서적 상태나 태도가 언어 자료의 투과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써 학습동기, 자신감, 심정 불안감 등의 세 가지 요소와 관련이 깊다. 이 여과막은 투과가 잘 될수록 습득에 효과적이라고 본다. 불안감이 적고 자신감이 크면 새로운 목표 언어를 접했을 때 저항감이 적고 따라서 보다 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이완기, 2000). 또한 schumann(1975)은 태도, 동기, 감정이입 등이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방해하여 성공적인 L2 습득의 장애가 된다고 지적하여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만 5세 유아의 영어몰입 학습환경 적응 양상과 정의적 인지적 영역의 변화, 이윤미, 2018,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10쪽
정의적영역의 특성에 따라 2번의 형식으로 하는 것이 알맞다.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5점)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으로 구성된 10문항을 유아 5명에게 실시 하였다. 유아의 이미 지각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 알기 위해 검사가 진행 되었다. 연결형 문항은 문제와 보기가 제시 되어 있어 문항에 맞는 답을 골라 연결하면 된다. 선다형은 5지선다형으로 문제의 빈칸에 들어갈 정답을 선택하면 된다. 연결형과 선다형 모두 객관식 평가방법으로 복수의 정답이 없어 다수가 보았을 때 수긍 가능 한 것이 정답으로 인정된다.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책상을 배치하고, 유아 5명을 앉혀 문항을 풀 수 있도록 하였다. 문항에 관하여 헬리콥터와 같은 단어에 대한 의미를 질문하여 의미를 설명하여주었다. 10분간의 검사 시간이 종료되어 문항지를 걷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참가자는 5점, 세 번째와 네 번째 참가자는 6점 다섯 번째는 8점이었다.
2번의 검사도구에서 5명의 유아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있는 자리에 앉을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10분간 검사 시간을 가졌다. 검사 시간이 종료되고, 문항지를 걷어 점수를 매겼다. 첫 번째와 두 번째는 4점, 세 번째와 네 번째는 3점, 다섯 번째는 6점이었다.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1) 2번 검사도구의 점수
이름
A
B
C
D
E
점수
5
5
6
6
8
n=5, 평균 6
이름
A
B
C
D
E
점수-평균
-1
-1
0
0
2
(점수-평균)²
1
1
0
0
4
합계
6
분산 = 합계÷(n-1) = 6÷4 = 1.5
표준편차 = √1.5 = 1.224744871392
2) 2번 검사도구의 점수
이름
A
B
C
D
E
점수
4
4
3
3
6
n=5, 평균 4
이름
A
B
C
D
E
점수
4
4
3
3
6
점수-평균
0
0
-1
-1
2
(점수-평균)²
0
0
1
1
4
합계
6
분산 = 합계÷(n-1) = 6÷4 = 1.5
표준편차 = √1.5 = 1.224744871392
6. 참고문헌
1)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공유하는 정서와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 조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 만 5세 유아의 영어몰입 학습환경 적응 양상과 정의적 인지적 영역의 변화, 이윤미, 2018,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정의적영역의 특성에 따라 2번의 형식으로 하는 것이 알맞다.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5점)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으로 구성된 10문항을 유아 5명에게 실시 하였다. 유아의 이미 지각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 알기 위해 검사가 진행 되었다. 연결형 문항은 문제와 보기가 제시 되어 있어 문항에 맞는 답을 골라 연결하면 된다. 선다형은 5지선다형으로 문제의 빈칸에 들어갈 정답을 선택하면 된다. 연결형과 선다형 모두 객관식 평가방법으로 복수의 정답이 없어 다수가 보았을 때 수긍 가능 한 것이 정답으로 인정된다.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책상을 배치하고, 유아 5명을 앉혀 문항을 풀 수 있도록 하였다. 문항에 관하여 헬리콥터와 같은 단어에 대한 의미를 질문하여 의미를 설명하여주었다. 10분간의 검사 시간이 종료되어 문항지를 걷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참가자는 5점, 세 번째와 네 번째 참가자는 6점 다섯 번째는 8점이었다.
2번의 검사도구에서 5명의 유아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있는 자리에 앉을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10분간 검사 시간을 가졌다. 검사 시간이 종료되고, 문항지를 걷어 점수를 매겼다. 첫 번째와 두 번째는 4점, 세 번째와 네 번째는 3점, 다섯 번째는 6점이었다.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20점)
1) 2번 검사도구의 점수
이름
A
B
C
D
E
점수
5
5
6
6
8
n=5, 평균 6
이름
A
B
C
D
E
점수-평균
-1
-1
0
0
2
(점수-평균)²
1
1
0
0
4
합계
6
분산 = 합계÷(n-1) = 6÷4 = 1.5
표준편차 = √1.5 = 1.224744871392
2) 2번 검사도구의 점수
이름
A
B
C
D
E
점수
4
4
3
3
6
n=5, 평균 4
이름
A
B
C
D
E
점수
4
4
3
3
6
점수-평균
0
0
-1
-1
2
(점수-평균)²
0
0
1
1
4
합계
6
분산 = 합계÷(n-1) = 6÷4 = 1.5
표준편차 = √1.5 = 1.224744871392
6. 참고문헌
1)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공유하는 정서와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 조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 만 5세 유아의 영어몰입 학습환경 적응 양상과 정의적 인지적 영역의 변화, 이윤미, 2018,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추천자료
2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평가 )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평가 )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
교육평가 )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