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1) 연결형 5문항
2) 선다형 5문항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최현주(2010). ‘유아영재와 일반유아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참고하여 작성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1) 인지적 영역을 연결형, 선다형 문항으로 평가해야 하는 이유
2) 정의적 영역을 평정척도 문항으로 평가해야 하는 이유
4. 1번 검사 도구와 2번 검사 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 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표집 및 표본
2) 검사 도구
3) 검사 과정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1) 인지적 영역
2) 정의적 영역
3) 결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였다. 인지적 영역을 평가의 검사 시간은 유아 당 20분으로 진행했으며, 정의적 영역을 평가는 해당 반의 담당 교사의 아동에 대한 평가를 통해 진행했다. 인지적 영역을 평가는 아동에게 질문을 보여주고 읽어주며, 아동이 각 문항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했다.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1) 인지적 영역
(1) 연결형 문항
인지적 영역 평가 연결형 문항은 5문항으로 각각의 문항에 대해 적절한 답변에 대한 각 유아에 대한 최종 점수를 산출했다. 1번과 2번은 알맞은 답변 2개를 모두 연결하면 5점, 잘못된 것을 연결하면 1점, 모든 답변을 다 틀렸을 경우 0점으로 하였다. 3번과 4번은 각각 알맞은 답변을 했을 때, 5점씩 책정하였다. 5번은 모든 답변을 알맞게 한 경우 5점, 틀린 답변을 한 경우 1점, 모든 답변을 다 틀렸을 경우 0점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전체를 다 맞추면 25점 총점이 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해 아동 5명의 총점을 합산한 후 아동의 수만큼 즉, 5로 나누어 조사대상의 평균을 구하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2) 선다형 문항
선다형 문항도 총 5개로 하나의 문항을 맞출 때마다 5점을 주었다. 이에 대해 아동 5명의 총점을 합산한 후 아동의 수만큼 즉, 5로 나누어 조사대상의 평균을 구하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2) 정의적 영역
정의적 영역은 6문항을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의 평가는 교사가 아동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에 각 문항에 대한 최소 점수는 1, 최대 점수는 5이다. 모든 점수에 만점을 받으면 총 점수는 30점이 된다. 동일하게 아동들의 총점을 더한 후 평균을 구하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3) 결과
조사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인지적 영역 중 연결형 문항의 평균점수는 22점, 선다형 문항의 평균점수는 23점이며, 표준편차는 연결형 문항 2.75점, 선다형 문항 2.89점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의 평균점수는 25.4점이며, 표준편차는 1.71점로 나타났다.
<표 1> 조사 결과
(단위 점수)
아동
인지적 영역_연결
인지적 영역_선다
정의적 영역
여1
25
25
26
남1
20
20
25
여2
24
25
27
남2
23
25
26
남3
18
20
23
평균
22
23
25.4
표준편차
2.75
2.89
1.71
조사 결과에 의하면 00시 00어린이집의 만 5세 반 아동 5명의 인지적 영역 중 연결형으로 평가한 점수는 25점 중 22점으로 조금 높은 편이었으며, 선다형으로 평가한 점수 또한 비슷한 수준인 총점 25점 중 평균 23점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의 경우 교사가 측정한 것으로 30점 만점 중 평균 25.4점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표준편차는 인지적 영역의 두 가지 측정과 정의적 영역의 측정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표준편차는 조사 자료에서 측정 결과의 값이 평균을 중심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대표적인 수치이다. 표준편차가 0과 가까운 경우 측정한 자료값들이 전체 평균의 근처에 집중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표준편차가 크면 클수록 자료값들이 중심에서 널리 퍼져 있는 것이다. 인지적 영역의 두 가지 측정과 정의적 영역의 측정 결과를 보면, 인지적 영역의 두 가지 측정의 표준편차가 정의적 영역의 측정 결과의 표준편차보다 크므로, 아동들 간의 점수의 차이가 크다는 것으로 알 수 있으며, 정의적 영역의 경우 인지적 영역보다 각 아동들 간의 차이가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최현주(2010). 유아영재와 일반유아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