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 ) 만 5세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고자 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3. 결론

본문내용

로 선발한 유아의 심리, 교육적 특성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야한다. 자신의 생각에 대한 정확하고 명확한 표현이 가능하도록 문장력을 갖춰야하고 검사이론에 대한 충분한 지식도 요구된다. 연결형 문항의 내용이 유아가 이해할 수 있어야하며, 너무 과도한 문항으로 만들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응답 요령이나 채점 기준도 요구된다. 학생과 관련된 이해와 평가내용에 대해 언어를 통해 정확하며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선다형의 경우 정답과 오답 위치가 골고루 배치되고 답지가 비슷해야하나 다를 땐 짧은 길이 답지부터 배열하며 분법적으로 일치해야하고, 답에 대한 단서를 주지 않아야 한다.
주의사항을 바탕으로 문항에 대한 검토가 가능하며 문항의 평가 내용이 타당성이나 범위에 대한 여부, 정답과 시비 가능성 여부나 단서 포함 여부와 난이도 및 소요 시간에 대한 검토도 요구된다. 문항을 구성하고 형식의 경우도 표현과 표기법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무작위로 선별된 유아에 대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답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완료된 설문지를 받아 검토해 답안을 조사 결과에 포함한다.
평정척도에서는 관찰되는 행동의 질적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연속성을 가진 단계와 수령화 된 점수 등 가치 부여가 가능한 기록지에 표시하는 기록 방법을 사용한다. 문항을 만들 때 질적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 범주를 구분해 기술 및 관찰해 행동을 잘 나타내는 진술을 선택할 수 있다. 기술 범주에 따라 평정하고 숫자 평정척도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각 척도지에 수량적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평정된 자료는 통계적 분석이 가능해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오류나 관용 오류 중앙 집중 오류 등 다양한 오류가 포함되며 만 5세 유아를 무작위 선발하여 문항을 제시하고 부모나 교육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생각을 충분히 반영하도록 지원하고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평균을 구하는 것은 전체 값을 더한 후 총 사례(ΣN)로 나눈 값이다. 표준편차는 평균에서 떨어진 개별 편차의 평균으로 분산에 제곱근을 씌운 값이다. 연결형 선다형 평균의 경우 만점이 10점이며, 5명의 만 5세 유아의 점수가 5,6,8,8,7점으로 나타났을 때 평균은 6.6이며 표준편차는 1.67이다. 평정척도의 경우 총 6가지 문항으로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해 총 점수를 구하게 되는데 유아 1이 각각 3, 4, 2, 4, 5, 1점으로 나타난 경우 총 합계는 19고 평균은 3.2고 표준편차는 1.47이다. 유아 2는 21점, 유아 3은 19점, 유아 4는 24점, 유아 5가 25점이라고 했을 때 유아 2의 평균은 3.5점, 유아 3은 3.2점, 유아 4는 4점, 유아 5는 4.2점이다. 표준편차는 각각 1.38, 1.17, 0.89, 0.75로 계산됐다.
3. 결론
유아의 교육 평가는 학습자의 현재 상태나 변화 정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교육 활동의 가치와 효과성의 분석과 수정이 가능하다. 교육활동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검토함으로써 유아에게 필요한 교육에 대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교사의 역할과 역할수행 정도의 검토와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아교육 평가를 통해 유아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며 활동 프로그램의 결정이나 교수 방법, 유아에게 필요한 필요한 자극과 경험을 결정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정의적 영역 평가가 더 요구되며 유아교사의 관찰 능력이 중요함으로 현재 상태와 변화 정도를 파악하여 교육정책 계획수립에서 자료 제공과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