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 )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으로 연결형 5문항, 선다형 5문항을 각각 제작하시오.
(1) 인지적 영역의 특성
(2) 연결형 문항
(3) 선다형 문항
2. 유아들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는 평가 문항을 평정척도 형식으로 6문항을 제작하시오.
(1) 정의적 영역 특성
(2) 정의적 평가 평정척도 형식
3.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1번의 형식과 2번의 형식으로 평가해야 하는 타당한 이유(목적)를 설명하시오.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연구대상
(2) 사전 관찰
(3) 본 관찰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1) 점수 측정
(2) 점수 결과
(3) 평균 및 표준편차

본문내용

. 다만 부모가 객관적으로, 다른 영유아와의 비교 관점에서 자녀를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위의 평가방법이 가장 적절하다. 즉, 다양한 상황에서 유아를 오래 관찰하고 평가해야 하고, 일상 업무와 운영에서 놀이와 일상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자신의 능력을 표현하는 것을 따라서 영유아의 전반적인 활동과 연계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어야 한다.
4. 1번 검사도구와 2번 검사도구를 만 5세 이상 유아 5명에게 실시하고 그 검사도구의 실시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1) 연구대상
유아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를 위해 각각 5문항, 6문항으로 구성된 질문 및 평가를 위해 연구대상을 S시에 속한 K구의 A유치원 유아 5명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유아들이 다니는 어린이집은 대도시인 S시에 위치해 사회경제적 기준이 비슷한 아파트 단지에 있었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결석이 잦거나 특정장애 진단을 받은 유아는 연구 참여가 어렵다는 이유로 연구대상에서 제외됐다. 실험에 참여한 모든 유아들은 사전에 작성된 부모 동의서에 서명을 받고 연구에 참여할 것이라는 부모의 동의를 얻었다.
(2) 사전 관찰
본 연구를 위한 관찰이 시행되기 전, 어린이집에 방문하여 2020년 5월 9일부터 2020년 5월 13일까지 총 5일간 유아들의 실내 자유 놀이 및 선택 활동을 관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유아 관찰자는 어린이집 교사와 함께 유아 수준에 맞춰 준비된 자유 선택 놀이 활동에서 유아의 놀이와 학습 태도, 생활 태도 등을 자세히 관찰하고 평가했다. 그 결과 제한된 한 공간에서 유아의 평균 놀이시간은 유아 당 약 14분이었으며, 자유선택 놀이 활동 시 선택 공간 간의 유아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사전 관찰 결과, 연구대상이 될 유아들의 실내 활동과 놀이, 행동 등에 특별한 이상 상태가 특이점이 없었고, 유아의 놀이 활동 및 교우 관계를 자세히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에 문제가 발견되지 않아 그대로 본 관찰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3) 본 관찰
본 관찰은 어린이집의 하루 일과 중 실내에서 하는 자유 활동이 진행되는 날에 주로 실시하였다. 어린이집 교사가 유아들에게 실내에 제한된 공간에서 자유롭게 선택 놀이를 하도록 지도하는 동안, 관찰자는 유아들 각각의 놀이 과정과 선택, 행동 등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이 관찰 기간 동안 연구 대상인 유아들은 총 25번 참여했습니다.
5. 위의 1번과 2번의 검사도구에서 ①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과정과 ②그 결과를 각각 제시하시오.
(1) 점수 측정
유아가 획득할 수 있는 각각의 점수는 인지적 평가 영역의 연결형 5문항과 선다형 5문항에서 정답을 맞췄을 때 1점, 오답을 대답했을 때 0점으로 처리 되었고, 각 유아가 획득한 원점수를 분석에 가공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정의적 평가 영역에 해당하는 평정척도 형식 문항 6개는 0~4점이 각각의 유아가 각각의 문항 당 획득할 수 있는 점수이고, 문항을 모두 합하면 총 0∼24점이 된다.
따라서 모든 문항의 점수를 합쳤을 때,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에 해당하는 유아의 점수는 각각 최저 0점, 최고 34점이 된다.
(2) 점수 결과
연구대상
인지적 연결형
인지적 선다형
정의적 평정척도형
총계
유아1
3
4
20
27
유아2
5
4
24
33
유아3
2
3
19
24
유아4
4
5
23
32
유아5
2
3
18
23
(3) 평균 및 표준편차
연구대상인 유아1~5의 총계 점수의 평균은 점이고,
표준편차는
6. 출처 및 참고문헌
유정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충청북도 (http://www.riss.kr/link?id=T12670798)
정혜영.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의 인지·정의적 발달 및 부모의 자녀평가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001. 부산 (http://www.riss.kr/link?id=T8002901)
신윤숙. \"유아의 기질, 기질에 대한 부모만족도, 유아의 인지조절력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과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12. 경상북도 (http://www.riss.kr/link?id=T12889385)
김선희. \"유아의 인지 능력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충청북도 (http://www.riss.kr/link?id=T13414666)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1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