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개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의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형관과 성장관
2. 교육개념의 정의 방식
3. 규범적 정의의 여러 유형
4. 서술적 정의의 여러 유형
5. 피터스의 교육개념 준거
6. 교육과 훈련
7. 교육과 교화

본문내용

조 및 습관의 변화
- 교육
→ 아동의 경험이나 습관을 특정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
→ 아동의 경험이나 습관이 교육으로 인해 어떻게 변화하고 개조되는지를 있는 그대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서술적 정의
5. 피터스의 교육개념 준거
ㆍ피터스의 교육관
- 교육:인간 자신이 경험한 것의 의미를 언어로 규정 → 다음 세대로 전수
- 교육을 통해 사람은 인간다운 삶을 살아간다고 주장
- 교육은 성년식에 해당하는 과정
ㆍ문명화된 삶의 양식
- 인간이 경험한 것을 의미화한 것 → 세상과 삶을 보는 안목을 집대성해 놓은 것
- 인간을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해주는 문명화된 삶의 양식
- 문명화된 삶의 양식을 체계화한 것 → 지식의 형식
ㆍ교육 → 성년식(成年式)
- 문명화된 삶의 형식 → 인간과 동물을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것
-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살려면 삶의 양식에 참여해서 그것을 받아들여야 함
- 문명화된 삶의 양식을 받아들이도록 이끄는 교육
→ 아동이 한 독립된 인간으로 거듭나게 되었다는 것을 선언하는 일종의 성년식
ㆍ교육개념의 준거
- 규범(規範)적 준거
→ 가치와 목적
→ 그 자체로서의 가치=본질적 가치=선험적 가치(배경지식)
→ 교육의 목표에 관한 것
→ 피터스의 교육:그 자체로서의 가치(내재적 가치 실현)
→ 내재적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교육은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됨)
→ 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함
- 인지(認知)적 준거
→ 교육의 내용에 관한 것
→ 지식과 이해(지적 안목)을 길러 줄 수 있는 것을 내용으로 해야 함
→ 인간이 세상을 보는 눈을 체계화한 지식의 형식이 교육의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
- 과정(過程)적 준거
→ 교육의 방법에 관한 것
→ 인간이 문명화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세상을 보는 눈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그 방법 또한 학습자의 이해와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봄
→ 교육이 인간의 성장이라는 본질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라면 교육의 방법 또한 학습자의 이해와 자율성에 토대를 두어야 진정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봄
6. 교육과 훈련
교육
훈련
안목과 신념체계의 변화
제한된 특수 기술의 연마를 통한 습관적인
반응 획득
지적 창조적인 이해와 참여
기계적 연습
전인적인 변화
인간 특성 일부의 변화
가치지향적
비교적 가치중립적
예) 성교육 : 미성년자들에게 인체의 기능,
인간관계 및 사회제도 등에 걸치는
일련의 복합적 신념체계를 이해하고
내면화시키는 일을 의미
예) 성훈련 : 성행위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나 기술을 익히게 하는 일
ㆍ목적
- 훈련:제한된 특수기술을 연마시켜 특정한 상황 속에서 습관적인 반응을 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
- 교육:지식과 이해를 통해 안목이나 신념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ㆍ변화의 대상
- 훈련:인간 특성의 일부 변화에 치중
- 교육:인간의 전인적인 변화에 관심을 둠
ㆍ과정
- 훈련:기계적인 연습을 더욱 강조
- 교육:학습자의 지적인 참여, 창조적인 개입을 요구
7. 교육과 교화
ㆍT.F. Green 의 입장
- 교육의 개념 정의를 위해 교육과 교화를 구분하고자 함
- 교육과 교화를 구분하고자 하는 기준의 방법
→ 이유나 증거를 사용하는 방법에 둠
ㆍ목적
- 교육은 안목과 신념체계를 변화시켜 합리적인 태도를 기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음
- 교화
→ 이데올로기적 신념을 주입하여 이를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게 함
→ 이데올로기적 신념이 외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ㆍ방법
- 교육 → 객관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증거를 정당한 방식으로 제시
- 교화
→ 객관적인 증거 없이 신념이나 가치를 맡게 하거나, 설사 증거를 사용하더라도 주입하고자 하는 신념을 합리화하기 위해 사용
→ Green은 교화를 \'비증거적 교수\' 그리고 교육을 \'증거적 교수\' 로 구분
ㆍ영향
- 교육:학습자의 자율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함
- 교화:학습자의 자율적인 판단 능력을 저해할 위험성을 내포
구분
교육
교화
목적
안목과 신념체계의 변화를 합리적인
태도로 형성
이데올로기적인 신념의 무조건적인 수용
증거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증거를 정당한
방식으로 제시
객관성이 없는 증거를 제시하거나
아예 제시하지 않음
구분
증거적 교수
비증거적 교수
※ 교화 : 자신의 이념이나 뜻대로 행동하도록 이념이나 신념 등을 무조건적으로 주입시킨다. 그래서 교육과 달리 교화는 개인의 자율적인 판단능력을 저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자율성 및 창의성을 저해시킬 수 있는 요인이 생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5.06
  • 저작시기201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