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하고,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작성하시오
가. 생활습관
1) 수면
2) 운동
3) 식생활
4) 자세
5)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6) 주위환경
7) 유해물질
8) 건강검진
9) 보통 발생하는 이상
10) 총평
나. 대사증후군
1) 대사증후군이란
2) 생활습관에서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될 만한 지점
가) 비만
나) 혈당 증가
다) 고혈압
라) 고지혈증
3) 예방법
가) 비만
나) 혈당 증가
다) 고혈압
4) 관리법
2. 75세 박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가. 필요한 응급처치
나. 하임리히법
1) 하임리히법이란
2) 하임리히법의 시행 방법
3. 참고문헌
가. 생활습관
1) 수면
2) 운동
3) 식생활
4) 자세
5)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6) 주위환경
7) 유해물질
8) 건강검진
9) 보통 발생하는 이상
10) 총평
나. 대사증후군
1) 대사증후군이란
2) 생활습관에서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될 만한 지점
가) 비만
나) 혈당 증가
다) 고혈압
라) 고지혈증
3) 예방법
가) 비만
나) 혈당 증가
다) 고혈압
4) 관리법
2. 75세 박씨가 식사 도중 얼굴이 붉어지면서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 함께 식사하던 가족은 박씨에게 기침하여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응급처치를 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응급처치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그 시행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가. 필요한 응급처치
나. 하임리히법
1) 하임리히법이란
2) 하임리히법의 시행 방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도의 일부분이 막히는 경우와 기도가 완전히 막히는 경우로 나뉘며 각 상황에 적절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한다. 우선 환자가 이물질이 기도에 걸려 고통을 호소하거나 의식이 없는 경우, 당황해서 급하게 등을 두드리거나 인공호흡을 실시하거나 물을 먹이면 이물질이 더 깊이 들어갈 수 있으니 앞의 방법을 무의식적으로 시행하지 말고 우선 빠르게 이성적으로 환자 상태를 먼저 파악하도록 한다. 먼저 힘 있게 기침을 해서 이물을 뱉어 내도록 유도하고, 환자가 자발적으로 기침을 하여 이물을 빼내려고 할 때 중단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기침을 해도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을 이용한 응급처치를 시행한다(어린이의 경우도 성인과 동일).
나. 하임리히법
1) 하임리히법이란
폐에 있는 공기를 강제로 밀어내어 기도의 이물질이 밀려 나오게 하는 방법이다. 배꼽과 명치 중간 부위를 등 쪽으로 누르면서 올려 치듯이 정확하고 빠르게 압박하면 순간적으로 공기가 밀려나오면서 이물이 배출된다. 천천히 진행할 경우 순간적인 공기 배출이 안 되어 통증만 있고 이물질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하임리히법은 음식 조각이나 다른 사물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시행할 수 있는 응급처치로 성인과 어린이에게 모두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으나, 1세 미만의 유아는 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장기 손상의 위험이 높으므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시행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는다.
2) 하임리히법의 시행 방법
우선 환자를 지탱하여 세울 수 있을 때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첫째, 환자의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를 팔로 감싸고 한쪽 다리를 환자의 다리 사이에 지지하여 쓰러지지 않게 환자를 지탱하며 서는 자세를 잡는다.
둘째, 구조자는 한 손으로 주먹을 쥐고 주먹 쥔 손의 엄지를 환자의 배꼽과 명치 부위의 중간에 놓는다.
셋째, 다른 한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고 환자의 배를 누르듯이 빠르게 위로 쳐 올린다.
넷째, 이물질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계속 시행한다.
단, 임신한 여성이나 비만이 심한 사람처럼 복부에 처치하기 어려운 경우 가슴 부위를 밀어낸다. 서울대학교병원, 성인 기도 이물 폐쇄, 응급처치 가이드, 네이버 지식백과
의식이 없어 구조자가 지탱하기 힘든 완전기도폐쇄 환자는 변형된 하임리히법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시한다.
첫째, 환자를 바닥에 반듯하게 눕힌다.
둘째, 구조자는 환자의 허벅지 쪽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셋째, 한 손의 손꿈치를 환자의 배꼽과 명치사이에 놓고 다른 한 손을 그 위에 겹쳐 놓는다. 이때 손꿈치 부위가 좌우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한다.
넷째, 쳐 올리기를 4~5회 실시한 후 입안의 이물질을 꺼낸다.
응급 상황이므로 통증이나 상처를 걱정하거나 신경 쓰며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
3. 참고문헌
정성희, 간호학과 「생활과 건강」 강의안, 2020
서울대학교병원, 성인 기도 이물 폐쇄, 응급처치 가이드, 네이버 지식백과
나. 하임리히법
1) 하임리히법이란
폐에 있는 공기를 강제로 밀어내어 기도의 이물질이 밀려 나오게 하는 방법이다. 배꼽과 명치 중간 부위를 등 쪽으로 누르면서 올려 치듯이 정확하고 빠르게 압박하면 순간적으로 공기가 밀려나오면서 이물이 배출된다. 천천히 진행할 경우 순간적인 공기 배출이 안 되어 통증만 있고 이물질도 나오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하임리히법은 음식 조각이나 다른 사물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시행할 수 있는 응급처치로 성인과 어린이에게 모두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으나, 1세 미만의 유아는 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장기 손상의 위험이 높으므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시행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는다.
2) 하임리히법의 시행 방법
우선 환자를 지탱하여 세울 수 있을 때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첫째, 환자의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를 팔로 감싸고 한쪽 다리를 환자의 다리 사이에 지지하여 쓰러지지 않게 환자를 지탱하며 서는 자세를 잡는다.
둘째, 구조자는 한 손으로 주먹을 쥐고 주먹 쥔 손의 엄지를 환자의 배꼽과 명치 부위의 중간에 놓는다.
셋째, 다른 한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고 환자의 배를 누르듯이 빠르게 위로 쳐 올린다.
넷째, 이물질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계속 시행한다.
단, 임신한 여성이나 비만이 심한 사람처럼 복부에 처치하기 어려운 경우 가슴 부위를 밀어낸다. 서울대학교병원, 성인 기도 이물 폐쇄, 응급처치 가이드, 네이버 지식백과
의식이 없어 구조자가 지탱하기 힘든 완전기도폐쇄 환자는 변형된 하임리히법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시한다.
첫째, 환자를 바닥에 반듯하게 눕힌다.
둘째, 구조자는 환자의 허벅지 쪽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셋째, 한 손의 손꿈치를 환자의 배꼽과 명치사이에 놓고 다른 한 손을 그 위에 겹쳐 놓는다. 이때 손꿈치 부위가 좌우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한다.
넷째, 쳐 올리기를 4~5회 실시한 후 입안의 이물질을 꺼낸다.
응급 상황이므로 통증이나 상처를 걱정하거나 신경 쓰며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
3. 참고문헌
정성희, 간호학과 「생활과 건강」 강의안, 2020
서울대학교병원, 성인 기도 이물 폐쇄, 응급처치 가이드, 네이버 지식백과
추천자료
2023년 생활과건강)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실천방안 생...
(생활과 건강, 공통)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
[생활과건강 2023]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한 후 특징 기...
[2023 생활과건강]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생활과건강(공통)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
건강생활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 이어질 수도 있다
건강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 )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과건강 )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생활건강 ) 일상생활 속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