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언어교육 강의 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언어교육 강의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강> 유아언어교육의 개념 2주

제2강> 언어의 특성과 기능

제3강> 유아 언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3주

제4강> 음성 언어의 발달이론

제5강> 음성언어의 발달현상 4주

제6강> 문식성(문자언어의 사용 능력)의 개념과 성격 5주

제7강> 문식성 발달 이론

제8강> 문식성 발달 현상 6주

제9강> 유아 언어교육 방법

본문내용

개념
문자 언어의 여러 가지 형태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
글의 경험
(Experience with text)
여러 가지 다양한 글들을 읽어 주는 것을 듣고 그것에 반응하는 경험을 많이 가지는 것
단어 동일시(word identification)
낱자지식
자·모 낱자의 이름을 알고 인식하기
의미 중심의 단어 재인 전략
주변 환경 속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단어들을 의미 중심의 전략을 사용하여 통째로 기억하고 암기하였다가 문자 형태의 단어로 제시되면 이것을 말로 바꾸고 그 의미를 아는 것
자소·음소 대응 관계를 이용한
단어 재인
단어의 특징이나 맥락을 통해 추측하여 읽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고 자소·음소의 대응규칙을 적용하여 단어를 읽는 것
시각 단어
(sight word)
자주 보는 단어들은 의미를 추측하지도, 자소·음소의 대응 규칙을 적용시키지도 않고 그냥 보고 즉각적으로 읽을 수 있고 그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
단어 유창성
단어를 쉽게, 표현력 있게, 그리고 적절한 어조로 읽기
문학(literature)
문학 경험
정보와 즐거움을 제공해 주는 다양한 글들을 경험하고 그것들에 대해 다양한 관점과 전략을 가지고 반응하는 것
장르
문학 작품의 다양한 형태, 목적, 양식 등을 이해하는 것
습관과 태도(habits and attitude)
즐거움을 위해 읽기
<표1> 네 연구에서 말하는 초기 읽기 지도의 교육 내용과 그 정의
교육내용 미국 14개주 미국14개주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 일학년 교육과정 유치원 교육과정
문식성의 기초
음운인식 12(86%) 8(57%)
글과 글자의 개념 10(71%) 6(43%)
글의 경험 11(79%) 13(93%)
단어동일시 및 유창성
낱자지식 10(71%) 4(29%)
의미중심 단어재인 2(14%) 13(93%)
자소·음소 규칙적용 4(29%) 14(100%)
시각단어 6(43%) 11(79%)
유창성 1(7%) 9(64%)
내용이해(독해)
사전지식 5(36%) 9(64%)
독해전략 11(79%) 13(93%)
어휘 7(50%) 11(79%)
문학
문학경험 8(57%) 13(93%)
장르 8(57%) 12(86%)
습관과 태도
즐거움을 위한 읽기 4(29% 7(50%)
5. 초기 읽기 지도의 방법
① 초기 읽기 지도는 매우 균형적이고 종합적이어야 한다.
균형적이란 주어진 시간내에 읽기에 필요한 모든 기술과 지식들을 똑 같이 강조하여 가르친다는 말이 아니다. 오히려 교육 내용의 선정과 배열을 전략적으로 할 것을 권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읽기를 지도하는 사람은 유아들의 읽기 수준과 필요를 고려하면서 우선 순위와 중요한 것들을 먼저 결정해야 할 것이다. 특정 교육 내용들이 특정 수업에서 다소 더 강조되고 덜 강조되는 것들은 있지만 결과적으로 모든 읽기 기술과 지식들이 동시에 발달되어 나가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뜻이다.
종합적이란 사고, 학습, 의사소통을 위한 모든 형태의 읽기 도구들을 사용하여 읽기의 기초적 기능들을 학습시킨다는 뜻이다. 유아들은 궁국적으로 읽기를 통하여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고, 분석하고, 수행하고, 즐길 수 있는 쪽으로 변해 가야 한다. 그렇다면, 유아들은 자·모 체계의 이해, 해독에 필요한 기초 기능들의 학습 뿐 아니라 책이나 실제적인 읽기 자료들을 다룰 수 있는 경험도 반드시 가져야 한다.
② 초기 읽기 지도는 항상 능숙한 독자의 읽기 특징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대부분 아동들은 평균적으로 초등학교 3학년 말까지는 능숙한 독자로 변해갈 수 있다. 이 때의 아동들은 읽기를 즐길 수 있어야 하고, 동화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산문이나 정보를 위한 책들도 읽고 반응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튼튼한 어휘 실력과 단어 재인, 해독, 읽기를 즐기는 태도 등이 기초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③ 초기 읽기 지도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기술이 따로 학습될 수도 있고, 또 따로 가르쳐 질 수도 있지만 모든 기능들은 동시에 상보적 역할을 하며, 모든 교과를 통해서 학습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④ 초기 읽기 지도는 교정적이라기 보다 예방적 기능을 해야 한다. 예방적 기능이란 초기 읽기 지도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⑤ 모든 유아가 똑 같은 속도로 읽기 기술을 학습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초기 읽기 지도 모형은 각 유아들의 읽기 기술의 학습과 발달 정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개별적 지도를 해야 한다.
이상의 다섯 가지 원리들을 적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피라미드 모형으로 교수 활동을 조직하여 지도하면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이 것은 Bruneau(1997)가 미국 농업부가 미국민의 건강을 위하여 각 범주의 식품들을 적당량 섭취할 것을 권장하기 위해 모형화 해 놓은 것에 착안하여 본 연구자가 초기 읽기 지도 모형으로 수정한 것이다.
① 초기 읽기 지도는 무엇보다 먼저 음성 언어를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말하기·듣기 활동을 통해 어휘나 개념 발달이 먼저 일어나야 읽기 지도가 가능하다.
② 초기 읽기 지도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야 하고, 빠트려서 안되는 활동은 대집단에서 책 읽어주기 활동이다. 이 활동은 거의 매일 빠짐없이 일어나야 하는 활동이기 때문에 음성 언어 활동 다음으로 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바닥에다 놓았다. 이 활동은 특별히 가정에서 부모들이 책을 많이 읽어주지 못하는 유아들에게 더욱 중요하다.
③ 혼자 읽기, 짝으로 읽기, 들으면서 읽기, 반복해서 읽기 활동이다. 이 네 활동은 다소 중복적일
수도 있고, 또 각각 다른 활동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혼자 들으면서 반복적으로 책을 읽는다면 중복적 활동이다.
혼자 읽기는 자기의 읽기 수준에 맞는 진정한 읽기가 일어 날 수 있으며, 자신이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유아들은 그동안 배운 것들을 적용하고 응용해 볼 수 있는 혼자 읽기 시간이 꼭 필요하다. 자신이 관심있는 책을 선택하여 자기 마음대로 혼자서 읽는 경험은 읽기 동기나 흥미 지속에 필수적이다.
짝으로 읽기도 유아의 읽기 발달에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특별히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70페이지
  • 등록일2001.03.29
  • 저작시기20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3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