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노동자 인권 침해 실태와 극복 방안 (외국인근로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노동시장의 변화와 외국인노동자의 유입

2. 차별의식의 근원

3. 외국인노동자와 더불어 사는 사회

4. 통일된 땅에서 더불어 사는 연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발생할 것이고(Bohm, Brune, Florchinger, Helbing and Pinther, 1993), 집단 수준에서는 예멘 사회가 경험한 것과 같은 '내전' 상황으로 치닫게 될 것이다(임현진·공유식·김병국·설동훈, 1996).
이러한 불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해(understanding)와 관용(tolerance)의 정신이 절실히 요구된다. 관용은 참아준다는 뜻이다. 당사자에게는 모욕일 수 있다.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인정하여야 한다(강정숙, 2001: 8). 즉 남북한 주민 누구나 "그 처지에서는 충분히 그럴 수 있다"는 자세를 견지하여야 한다.
'통일된 땅에서 더불어 사는 연습'을 위해서 외국인노동자는 매우 소중한 존재다. 현재 한국에는 중국, 필리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몽골,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등지에서 온 노동자들이 온갖 멸시와 불이익을 당하며, 산업재해를 무릅쓰고 노동하고 있다. 한국사회가 전지구화된 세계 속에서 발전을 거듭하며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권'과 '민주주의'를 존중하여야 한다. 그 방법은 바로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는 데 있다. '더불어 사는 사회'는 모습과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 한 데 어울려 화합하며 같이 살아감으로써 건설된다. 상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너의 성공은 곧 나의 패배" 또는 "너의 고통은 나의 즐거움"과 같은 제로섬게임(zero sum game)의 논리에서 벗어나야 한다. 너와 나, 또는 그들과 우리가 한 데 어울림으로써 시너지(synergy) 효과를 발휘하는 포지티브섬게임(positive sum game)의 논리가 지배하는 사회를 건설하여야 한다. 그 기초 역시 이해와 관용이다. 한국인 각자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점, 국적과 성별·인종·직업 등 어떤 사회적·생물학적·경제적·정치적 요인에 의해서도 차별 대우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실천에 옮겨야 한다. '우리'가 아닌 사람들에 대한 인간적인 이해와 연대(solidarity)가 정말 절실하다. 연대는 '차별적 신분'을 극복한 '평등한 공동체와 조직' 형성의 기반이자 그것을 유지·발전시키는 힘이다.
□ 참고문헌
강정숙. 2001. 「독일의 이민자 동화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FES-Information-Series 2001-03. pp. 1∼8.
김필동. 1999. 『차별과 연대: 조선 사회의 신분과 조직』. 문학과지성사.
박노자. 2000. 「외국인이 본 한국의 인권 상황」. 한국인권재단 편, 『일상의 억압과 소수 자의 인권』. 사람생각. pp. 69∼88.
박완서. 1991. 「우황청심환」. ≪창작과 비평≫ 19(2):155∼174.
박혜란. 1996. 「다름 속에서 찾은 같음: 연변 체류 경험」. 『통일된 땅에서 더불어 사는 연습』. 또 하나의 문화. pp. 97∼108.
설동훈. 1999. 『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 서울대학교출판부.
______. 2000a. 『노동력의 국제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______. 2000b. 「외국인노동자 인권 및 연대를 위한 시민단체 조사연구」. 『2000 외국인 이주노동자 단체 조사보고서』.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pp. 16∼28.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 2000. 『외국인 산업기술연수생 인권백서: 인권 침해의 현장보 고』.
유길상. 2000. 「외국인 고용 및 관리효율화를 위한 정책방향」. 『외국인의 고용 및 관리 효율화 방안에 관한 정책토론회』. 한국노동경제학회·한국노동연구원. Pp. 1∼ 23.
유명기. 2000. 「한국의 '제3국인', 외국인노동자」. 『우리 안의 파시즘』. 당대. pp. 149∼ 173.
임현진·공유식·김병국·설동훈. 1996. 「한국에서의 민족국가 형성 및 전개의 동학에 관한 비교사적 연구: 통일 민족국가의 건설을 위하여」. ≪성곡논총≫ 27(3):59 7∼672.
임현진·설동훈. 2000.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 도입 방안』. 노동부.
최병권. 1999. 『뉴 밀레니엄,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할 것인가』. 두리.
함한희. 1995.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유입에 따른 인종과 계급문제」. ≪한국문화인류학≫ 28:199∼221.
Bohm, Jurgen; Brune, Joachim u. a.: Deutsch-Stunden. Aufsatze. Was Jugendliche von der Einheit denken. Mit einem Vorwort von Wolf Biermann, Berlin: Argon 1993.
Bohm, Jurgen, Joachim Brune, Heribert Florchinger, Antje Helbing, and Annegret Pinther (Eds.). 1993. Deutsch-Stunden ― Aufsatze: Was Jugendliche von der Einheit denken. Berlin: Argon Verlag. (이학로 역. 1994. 『헤이, 오씨 안 녕, 베시: 독일 학생들의 통일 소감집』. 자작나무.)
Linard, Andr . 1998. Migration and Globalization: The New Slaves. Brussels: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
McGuire, William J., and Claire V. McGuire. 1988. "Content and Process in the Experience of Self."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1:97∼ 144.
Seol, Dong-Hoon. 2000. "Foreign Workers in Korea 1987-2000: Issues and Discussions." Kasarinlan: Philippine Journal of Third World Studies 15(1):115∼138.
Willis, Paul E. 1977. Learning to Labor: How Working Class Kids Get Working Class Jobs. Farnborough: Saxon House. (끝)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8.16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1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