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사서
1)논어(論語)
2)맹자(孟子)
3)대학(大學)
4)중용(中庸)
2.삼경
1)시경(詩經)
2)서경(書經)
3)주역(周易)
3.역사서
1)사기(史記)
2)한서(漢書)
3)후한서(後漢書)
4.입문서
1)천자문(千字文)
2)소학(小學)
3)명심보감(明心寶鑑)
4)동몽선습(童蒙先習)
5)격몽요결(擊蒙要訣)
1)논어(論語)
2)맹자(孟子)
3)대학(大學)
4)중용(中庸)
2.삼경
1)시경(詩經)
2)서경(書經)
3)주역(周易)
3.역사서
1)사기(史記)
2)한서(漢書)
3)후한서(後漢書)
4.입문서
1)천자문(千字文)
2)소학(小學)
3)명심보감(明心寶鑑)
4)동몽선습(童蒙先習)
5)격몽요결(擊蒙要訣)
본문내용
모범』에 대응하는 책이다. 사림은 종래의 학문이 시가와 문장을 중시하며 학자들이 학문의 방향을 알지 못했다고 비판하면서 먼저 자신을 수양(修己)하여야 한다는 측면을 강조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학문에 뜻을 두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자기 몸을 바로 세우고 사회에 나가 활동하도록 하는 성리학의 근본이념을 적용한, 조선시대에는 가장 기본적인 교과서였다.
♧유학의 경전을 배우는 순서: 『천자문, 사자소학, 계몽편, 동몽선습, 통감』 『대학』 『중용』 『맹자』 『논어』 『시경』 『서경』 『주역』
<참고자료>
도서-『논어』황희경. 시공사. 2000년
『주역입문』 德山 金秀吉, 乾元 尹相喆. 대유학당. 1997년
『중국 고전학입문』 양계초. 형성사. 1995년
인터넷- 네이버 백과사전 (www.naver.com)
♧유학의 경전을 배우는 순서: 『천자문, 사자소학, 계몽편, 동몽선습, 통감』 『대학』 『중용』 『맹자』 『논어』 『시경』 『서경』 『주역』
<참고자료>
도서-『논어』황희경. 시공사. 2000년
『주역입문』 德山 金秀吉, 乾元 尹相喆. 대유학당. 1997년
『중국 고전학입문』 양계초. 형성사. 1995년
인터넷- 네이버 백과사전 (www.naver.com)
추천자료
고려시대의 교육
삼국시대의 교육
2003년 6월의 어느 날에 쓴 중국 유학생 공구의 일기
역사의 라이벌 4단7정론에 대해
[인간과 가치] 내가 지향하는 인간상
우리의 유교문화
강의 : 나의 동양 고전 독법
조선전기의 성리학
고려시대교육 개요, 고려시대교육기관 관학 국자감, 고려시대교육기관 관학 학당, 고려시대교...
한국교육발달사 - 근대 이전의 교육, 근대 이후의 교육, 현대의 교육
[교육사회학]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발전과 교육과의 관계
고려, 조선시대의 관학, 사학, 인재양성에 대하여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인사행정(교육제도,과거제도)과 재무행정(토지제도,조세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