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성뇌증 대상자의 급성혼돈 간호진단: 간호진단의 합리적 근거와 중요성》
《급성혼돈(Acute Confusion)의 정의 및 진단 특성 요약》
《암모니아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혼돈(Acute confusion)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1) 진단적
2) 치료적
3) 교육적
5. 이론적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급성혼돈(Acute Confusion)의 정의 및 진단 특성 요약》
《암모니아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혼돈(Acute confusion)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1) 진단적
2) 치료적
3) 교육적
5. 이론적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본문내용
인에 의해 악화될 수 있어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 조성 및 일상 관리가 중요하다. 보호자는 일관된 일상 유지, 자극 최소화, 충분한 휴식 제공 등의 비약물적 중재를 통해 혼돈 증상을 완화를 도울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재발 예방에 기여한다.
보호자에게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반복적인 지남력 제공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일관된 일상 루틴 유지, 과도한 자극 제한,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 조성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야간 조명 유지, 필요 시 안경과 보청기 사용, 낯선 환경에서의 적응 시간 제공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지도했으며 보호자는 교육 내용을 이해한 후, 혼돈 증상 발생 시 이러한 방법을 실천할 의지를 표현했다.
교육적
22. 대상자의 인지 기능이 회복되면 대상자에게 퇴원 후 간성 뇌증과 혼돈 증상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자가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간성뇌증은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반복적으로 재발할 수 있는 가역적 신경정신계 합병증으로, 증상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본인의 질환 이해와 자가관리가 필수적이다.
퇴원 전 대상자에게 약물 복용, 식이 조절, 배변 패턴 유지, 조기 증상 인지 등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재발 위험을 감소시키고, 치료 순응도와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퇴원 전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정확한 시간과 용량에 맞춰 복용하여 약물 대사로 인한 신체부담을 최소화하며 최적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안내했다. 알코올 섭취 제한이 간 기능 유지에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영양 지침을 제공했다. 체중 관리와 규칙적인 신체 활동이 비만 예방에 효과적임을 설명하고, 정기적인 간 기능 모니터링을 통해 질환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함을 설명했다. 교육 후 대상자의 이해도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 질문과 피드백을 통해 주요 내용을 재확인하였고 보호자와 함께 교육 내용을 복습했다.
간호
평가
단기
목표
① 3/10 입원 당시 암모니아 수치는 174 g/㎗였으며, 3/12 검사 결과 128 g/㎗로 확인됨. 달성
② 3/12 대상자는 간단한 문답에서 당일 아침에 있었던 식사 내용과 보호자 방문을 기억하는 모습을 보임. 달성
③ 초기 입원 시 손을 휘젓고 불안정한 자세를 보였으나 점차 안정되어 3/12 이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불필요한 움직임이나 흥분, 불안정한 반응이 현저히 감소함. 보호자와의 상호작용도 차분해졌으며, 유의미한 행동 양상의 안정을 보임. 달성
④ 3/15 검사 결과, 암모니아 수치가 109 g/㎗였으며, 3/17에 93 g/㎗ 확인됨. 목표했던 5일 이내(3/15)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이후 안정적으로 감소하여 추후 달성되었으며, 경과는 지속적인 호전 추세임. 미달성/재평가 → 달성
⑤ 3/15 질문 시 대상자는 “우리 아내입니다. ”, “지금 병원에 있죠. ”라고 정확히 말했고, 낮과 밤을 구분하며 현재 년도를 정확히 알고 달력을 보며 날짜를 말하는 모습을 보여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정확한 지남력이 있음이 확인됨. 달성⑥ 지속적으로 혼수나 중등도 이상의 의식 저하 소견은 없었으며 혼돈 증상도 회복되어 간성혼수(hepatic coma)로 진행되지 않고 목표가 명확히 달성됨. 달성
⑦ 교육 후 보호자(대상자의 아내)에게 혼돈 증상을 최소화하는 방법 질문 시 “주변에 혼란스럽지 않게 차분하고 안정적인 환경에 있게 해주고, 주변 사람들 누군지, 시간, 여기가 어딘지 자주 알려주면 되는 거죠? ” 라고 말함. 달성
장기
목표
① 입원 당시(3/10) 암모니아 수치는 174 g/㎗였으나, 락툴로스 관장 및 경구투여, 리팍시민 복용 등의 중재 이후 꾸준히 감소하였고, 3/20 검사에서 74 g/㎗로 확인되어 수치상 현저한 개선을 보임. 달성
② 초기에는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지남력 저하, 주의력 감퇴, 비논리적 사고 등 혼돈 양상이 나타났으나, 점차 CAM 도구를 활용한 평가 항목 모두에서 개선 반응을 보였고 입원 10일 이후부터는 일상적 대화와 최근 기억 회상, 판단력 등 전반적인 인지 기능이 정상 범위로 회복됨. 2주 후 입원 종료 시까지 혼돈 증상 재발 없이 명료한 의식 상태가 유지되어 장기 목표는 완전하게 달성함. 달성
참고자료
최신기본간호학(2020)/ 수문사/ 송경애 외
성인간호학Ⅰ(2019)/ 수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2019)/ 수문사/ 윤은자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간호과정의 실제(2019)/ 현문사/ 최순희 외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2019). 대한간학회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13th Edition 20242026/ Nanda International/ Thieme Medical Publishers
학술자료: 『간성뇌증』(2008)/ 대한내과학회지(Korean J Med)/ 75(1): 27-36/ 김창욱
학술자료: 『간경변 환자의 관리』(2012)/ 대한내과학회지(Korean J Med)/ 82(2): 159-163/ 이창형
학술자료: 『간경변증 환자의 재입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5): 111-120/ 윤미림 외
학술자료: 『Hepatic Encephalopathy』(2025)/ StatPearls/ Mandiga P et al.
학술자료: 『Hepatic Encephalopathy』(2016)/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5(17): 1660-1670/ Wijdicks EF
대한간학회: https://www.kasl.org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본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보호자에게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반복적인 지남력 제공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일관된 일상 루틴 유지, 과도한 자극 제한,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 조성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야간 조명 유지, 필요 시 안경과 보청기 사용, 낯선 환경에서의 적응 시간 제공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지도했으며 보호자는 교육 내용을 이해한 후, 혼돈 증상 발생 시 이러한 방법을 실천할 의지를 표현했다.
교육적
22. 대상자의 인지 기능이 회복되면 대상자에게 퇴원 후 간성 뇌증과 혼돈 증상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자가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간성뇌증은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반복적으로 재발할 수 있는 가역적 신경정신계 합병증으로, 증상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본인의 질환 이해와 자가관리가 필수적이다.
퇴원 전 대상자에게 약물 복용, 식이 조절, 배변 패턴 유지, 조기 증상 인지 등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재발 위험을 감소시키고, 치료 순응도와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퇴원 전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정확한 시간과 용량에 맞춰 복용하여 약물 대사로 인한 신체부담을 최소화하며 최적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안내했다. 알코올 섭취 제한이 간 기능 유지에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영양 지침을 제공했다. 체중 관리와 규칙적인 신체 활동이 비만 예방에 효과적임을 설명하고, 정기적인 간 기능 모니터링을 통해 질환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함을 설명했다. 교육 후 대상자의 이해도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 질문과 피드백을 통해 주요 내용을 재확인하였고 보호자와 함께 교육 내용을 복습했다.
간호
평가
단기
목표
① 3/10 입원 당시 암모니아 수치는 174 g/㎗였으며, 3/12 검사 결과 128 g/㎗로 확인됨. 달성
② 3/12 대상자는 간단한 문답에서 당일 아침에 있었던 식사 내용과 보호자 방문을 기억하는 모습을 보임. 달성
③ 초기 입원 시 손을 휘젓고 불안정한 자세를 보였으나 점차 안정되어 3/12 이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고 불필요한 움직임이나 흥분, 불안정한 반응이 현저히 감소함. 보호자와의 상호작용도 차분해졌으며, 유의미한 행동 양상의 안정을 보임. 달성
④ 3/15 검사 결과, 암모니아 수치가 109 g/㎗였으며, 3/17에 93 g/㎗ 확인됨. 목표했던 5일 이내(3/15)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이후 안정적으로 감소하여 추후 달성되었으며, 경과는 지속적인 호전 추세임. 미달성/재평가 → 달성
⑤ 3/15 질문 시 대상자는 “우리 아내입니다. ”, “지금 병원에 있죠. ”라고 정확히 말했고, 낮과 밤을 구분하며 현재 년도를 정확히 알고 달력을 보며 날짜를 말하는 모습을 보여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정확한 지남력이 있음이 확인됨. 달성⑥ 지속적으로 혼수나 중등도 이상의 의식 저하 소견은 없었으며 혼돈 증상도 회복되어 간성혼수(hepatic coma)로 진행되지 않고 목표가 명확히 달성됨. 달성
⑦ 교육 후 보호자(대상자의 아내)에게 혼돈 증상을 최소화하는 방법 질문 시 “주변에 혼란스럽지 않게 차분하고 안정적인 환경에 있게 해주고, 주변 사람들 누군지, 시간, 여기가 어딘지 자주 알려주면 되는 거죠? ” 라고 말함. 달성
장기
목표
① 입원 당시(3/10) 암모니아 수치는 174 g/㎗였으나, 락툴로스 관장 및 경구투여, 리팍시민 복용 등의 중재 이후 꾸준히 감소하였고, 3/20 검사에서 74 g/㎗로 확인되어 수치상 현저한 개선을 보임. 달성
② 초기에는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지남력 저하, 주의력 감퇴, 비논리적 사고 등 혼돈 양상이 나타났으나, 점차 CAM 도구를 활용한 평가 항목 모두에서 개선 반응을 보였고 입원 10일 이후부터는 일상적 대화와 최근 기억 회상, 판단력 등 전반적인 인지 기능이 정상 범위로 회복됨. 2주 후 입원 종료 시까지 혼돈 증상 재발 없이 명료한 의식 상태가 유지되어 장기 목표는 완전하게 달성함. 달성
참고자료
최신기본간호학(2020)/ 수문사/ 송경애 외
성인간호학Ⅰ(2019)/ 수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2019)/ 수문사/ 윤은자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간호과정의 실제(2019)/ 현문사/ 최순희 외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2019). 대한간학회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13th Edition 20242026/ Nanda International/ Thieme Medical Publishers
학술자료: 『간성뇌증』(2008)/ 대한내과학회지(Korean J Med)/ 75(1): 27-36/ 김창욱
학술자료: 『간경변 환자의 관리』(2012)/ 대한내과학회지(Korean J Med)/ 82(2): 159-163/ 이창형
학술자료: 『간경변증 환자의 재입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5): 111-120/ 윤미림 외
학술자료: 『Hepatic Encephalopathy』(2025)/ StatPearls/ Mandiga P et al.
학술자료: 『Hepatic Encephalopathy』(2016)/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5(17): 1660-1670/ Wijdicks EF
대한간학회: https://www.kasl.org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본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 및 복제를 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추천자료
간경화(간경변, 간경변증)의 분류와 병태생리, 간경화(간경변, 간경변증)의 현미경학적 변화,...
간경변증 LC liver cirrhosisCase Study
불안장애 환자의 간호
간경변증 케이스
간호과정 내과실습 간경화 LC (Liver cirrhosis)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간경화 간호시나리오,간호진단과 간경화 병태생리 및 예방과 치료법
간호학과 케이스스터디 간경화증(간경변증) Liver Cirrhosis
암모니아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혼돈(간경화)
고혈압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과정 및 고혈압 병태생리,진단,치료법 연구
소개글